과기정통부 2026년 본예산 23조 7000억 원… 기초연구 역대 최대

  • 경제/과학
  • 대덕특구

과기정통부 2026년 본예산 23조 7000억 원… 기초연구 역대 최대

기초연구 예산 17.2% 증가, 폐지 기본연구 복원에 1150억 원 편성
출연연 총 2조 6931억 원, 대형·중장기 임무 전환 위해 출연금 확대
우주항공청 1조 원 예산 시대… 민간 생태계 조성 예산 대폭 늘어

  • 승인 2025-09-01 17:35
  • 신문게재 2025-09-02 1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clip20250901165146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1일 오전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2026년도 과기정통부 예산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과기정통부 제공
2026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예산안이 올해보다 12.9% 늘어난 23조 7000억 원 규모로 편성됐다. 연구개발(R&D) 예산은 올해보다 21.6% 증가한 11조 8000억 원이며 이중 기초연구에 역대 최대 규모인 2조 7363억 원을 투자한다. 이와 별도로 우주항공청 예산은 1조 1131억 원으로 1조 원 시대를 열었다.

과기정통부와 우주항공청은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된 예산안을 각각 1일 발표했다.

과기정통부 2026년 예산안은 역대 최대치로 편성됐다. 2024년 우주항공청 개청에 따른 예산 분리 전 18조 6000억 원이었던 총 예산은 2026년 23조 7000억 원으로 크게 늘었다.

과기정통부 예산은 4대 중점 투자방향을 중심으로 각각 ▲AI 대전환 ▲NEXT 전략기술 육성 ▲튼튼한 R&D 생태계 조성 ▲과학기술·디지털 기반 균형성장에 투입된다.



clip20250901165249
이중 25%를 차지하는 NEXT 전략기술은 2025년 4조 6400억 원에서 5조 9300억 원 규모로 확대된다. 전략기술 확보 투자 강화 기조를 바탕으로 바이오·의료기술개발에 4343억 원, 양자컴퓨팅에 500억 원, 나노·소재 기술개발에 3307억 원 등 원천기술 분야별 R&D 예산에 총 2조 4698억 원을 투입한다.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예산은 총 2조 6302억 원이다. 소규모 과제 중심으로 파편화된 재정구조를 대형·중장기 임무중심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기관전략개발단 신규 예산 3636억 원 등 출연금을 2025년 대비 총 4092억 원가량 늘렸다.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 예산을 1521억 원에서 2104억 원으로 확대하며 성과 기반 연구 분위기 조성을 위해 출연연 1% 내 최우수 연구자 성과상여금 51억 원도 신규 편성했다.

AI 대전환을 위해 총 4조 4600억 원을 편성했다. 이중 AI 고속도로에 2조 5735억 원, AI 혁신기술·인재에 1조 1991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튼튼한 R&D 생태계 조성을 위해선 18.4% 증가한 4조 5100억 원을 편성했다. 이중 기초연구 예산은 2025년 대비 17.2% 늘어난 총 2조 7363억 원 규모로, 2024년 폐지된 기본연구 사업 복원에 1150억 원을 신규 편성해 총 2조 2657억 원을 개인기초연구에 투입한다. 해외에 있는 박사후연구원의 국내 복귀 분야 트랙을 신설해 26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과학기술·디지털 기반 균형성장엔 전체 예산 중 3.1%인 7400억 원을 편성해 지역 R&D에 3108억 원, 국민 체감 2197억 원, 디지털 격차 해소에 2109억 원을 각각 안배했다.

과기정통부 예산과 별도로 편성된 우주항공청 2026년 예산안은 2025년보다 15% 늘어난 1조 1131억 원이다. 우주청은 우주수송 역량강화와 신기술 확보, 위성기반 통신·항법·관측 혁신, 도전적 탐사로 미래 우주 먹거리 창출 등 6대 분야에 중점 투자할 계획이다. 차세대발사체 개발 등 우주수송 역량 강화에 총 2642억 원,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등 위성 기반 통신·항법·관측 혁신에 2362억 원, 달탐사 2단계 사업 등 도전적 우주탐사에 968억 원, 성층권 드론 실증 등 미래 항공기술 선점·공급망 안정성 확보에 511억 원을 각각 편성했다.

또 뉴스페이스 투자지원 예산 대폭 확대하는 등 민간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에 1698억 원, 인력양성 확대와 외교에 2549억 원을 계획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교원임용시험 합격 응원해요" 공주대 사범대 응원 간식 선물
  2. 우승 겨냥한 한화이글스 응원전 대전이 '들썩'…야구장에 7천명 운집
  3. [2025 국감] R&D 예산 삭감 여파·포스트 PBS 대응 등 과기계 현안 점검
  4. '아쉬운 첫 출발'…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1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5. [르포] 한남대 학생이 체험한 행복동행 힐링축제
  1. [대전시 국감]농수산물시장 도매법인과 하역노조 갈등 수면 위
  2. 대전 동구, '2025 대전 동구동락 축제'… 3년 연속 흥행
  3. [월요논단] 대전체육 역대 최고 성적, 최고 흥행
  4. [대입+] 의대 쏠림 꺾이고 이공계 부상하나… 과기원 수시 지원 5년 새 최고치
  5.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전국 최고 사회복지 서비스에 감사"

헤드라인 뉴스


한화, 26년만의 우승 도전… 한국시리즈 원정경기 응원전

한화, 26년만의 우승 도전… 한국시리즈 원정경기 응원전

대전시는 한화이글스의 한국시리즈 진출을 축하하고 시민과 함께 승리를 기원하기 위해 26일 1차전을 시작으로 원정경기마다 대전한화생명볼파크에서 '한화이글스 승리기원 응원전'을 개최한다. 25일 시에 따르면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대규모 응원 축제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경기장 내 대형 전광판을 통해 한국시리즈 경기를 생중계하며, 시민들은 선착순 무료입장으로 한화이글스의 선전을 함께 응원할 수 있다. 대전시는 이번 응원전을 통해 한화이글스를 중심으로 지역의 정체성과 시민의 자긍심을 높이고, 경기장 인근 상권 활성화 등 지역경제에도 활력..

대전 평균 외식비 여전히 고가... "점심 사먹기 부담스럽네"
대전 평균 외식비 여전히 고가... "점심 사먹기 부담스럽네"

대전 평균 외식비용이 여전히 고가에 머물고 있다. 김치찌개 백반은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비싼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부 품목은 전국에서 높은 가격으로 순위권에 올라있다. 26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9월 기준 대전 김치찌개 백반 가격은 1만 200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비싸다. 김치찌개 백반은 점심시간 직장인 등이 가장 많이 찾는 음식으로, 1만원 한 장으로 점심을 해결하기 어렵다. 대전 김치찌개 백반은 1년 전(9700원)과 비교하면 5.1% 오른 수준이다. 점심 단골 메뉴인 비빔밥 역시 1만..

지역 유일 향토백화점 세이백화점 탄방점 계룡건설이 매입
지역 유일 향토백화점 세이백화점 탄방점 계룡건설이 매입

지역 유일 향토 백화점인 세이백화점 탄방점을 계룡건설이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계룡건설은 세이백화점 탄방점을 지난 8월 낙찰했다. 금액은 401억 원으로 2024년 5월 공매가 진행된 이후 1년 3개월 만에 낙찰을 받았다. 세이백화점 탄방점은 33회 유찰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으며, 매각가도 올해 7월 공매 최저입찰가(1278억 원)와 비교해 877억 원 줄었다. 세이백화점은 2022년 5월 대형 백화점과의 경쟁과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매출 감소를 이기지 못하고 자산관리회사인 투게더투자운용과 매각을 위한 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19년 만의 한국시리즈 진출…대전 시민들 한화 응원전 ‘후끈’ 19년 만의 한국시리즈 진출…대전 시민들 한화 응원전 ‘후끈’

  •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 성료 2025 함께 가는 행복동행 힐링축제 성료

  •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대전시 국감…내란 옹호 놓고 치열한 공방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