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등 지역 거점국립대 1인당 교육비…서울대 절반도 못 미쳐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충남대 등 지역 거점국립대 1인당 교육비…서울대 절반도 못 미쳐

지난해 학생 1인당 교육비 서울대는 6302만원
지역 국립대 9곳 1인당 교육비 평균 2530만원
중도탈락 학생 비율 충남대, 충북대 4%대 높아
정부 '서울대 10개 만들기' 격자 문제 해소할까

  • 승인 2025-08-31 17:57
  • 신문게재 2025-09-01 10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GettyImages-jv12511884
사진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충남대와 충북대 등 충청권을 포함한 전국 9개 지방거점국립대의 학생 1인당 교육비가 서울대 1인당 교육비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새 정부가 대선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해 내년부터 9000억 원에 가까운 예산을 거점국립대에 투입하기로 결정해 수도권 대학과 지방 국립대의 격차 문제가 조금이나마 해소될지 관심이 쏠린다.



31일 교육부가 '대학알리미'에 공시한 학생 1인당 교육비(국·공립대, 국립대 법인, 특별법 국립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서울대 학생 1인당 교육비는 6302만 1143원으로 조사됐다.

반면 지역 거점국립대 9곳 학생 1인당 교육비 평균액은 2530만 원으로 나타났다.



학교별로는 충남대 2325만 576원, 충북대 2486만 282원, 경상대 2350만 6518원, 전남대 2648만 3123원, 부산대 2722만 754원, 제주대 2631만 1876원, 경북대 2708만 2775원, 전북대 2507만 6414원, 강원대 2397만 3254원이다.

이는 서울대 1인당 학생 교육비의 40% 수준에 그치는 것이다.

특히 충남대, 충북대 등 충청권 대학의 1인당 학생 교육비는 전국 거점 국립대 평균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생 1인당 재학생 장학금 수혜 역시 서울대가 349만 9102원이지만 충남대는 259만 4443원, 충북대 301만 716원, 경상대 315만 3568원, 전남대 331만 4028원, 부산대 323만 4952원, 제주대 302만 6141원, 경북대 310만 6796원, 전북대 326만 915원, 강원대 301만 391원 등으로 격차를 보였다.

재적 학생 대비 중도 탈락 학생 비율은 서울대 2.2%, 충남대 4%, 충북대 4.4%, 강원대 3.1%, 경북대 3.6%, 부산대 3.8%, 전북대 3.9% 등으로 차이가 났다.

특히 충남대와 충북대의 중도탈락 학생 비율은 2023년에 이어 지난해도 4%대로 전국 거점 국립대 중 높은 수치를 보였다. 학생 중도탈락 비율은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기업들이 몰려 취업이 상대적으로 쉬운 서울대 등 수도권 대학으로의 유출 현상도 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서울대 10개 만들기'는 학생 1인당 투입되는 교육비를 서울대생 1인당 교육비의 70% 수준으로 맞춰 교육 여건을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골자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교육부는 지난 8월 29일 국무회의에서 내년도부터 본격적으로 서울대를 제외한 전국 9개 거점 국립대에 약 87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2025년 예산(3956억 원)의 2배가 넘는 규모다. 거점국립대학을 지역 기술주도성장을 견인하는 교육·연구 허브로 육성하겠단 계획이다. 이런 계획이 지역 거점대학 경쟁력을 강화할지 귀추가 주목되는 부분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를 착실히 추진하기 위해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라며 "2026년도 예산을 마중물 삼아 지역교육 혁신으로 지역 인재를 양성하고, 인공지능 디지털시대의 미래 인재를 양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2.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3.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4.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5. 대전시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학폭 예방 교육 실효성·대학 사업 점검
  1. 2025 '도전! 세종 교육행정' 골든벨 퀴즈 대회 성료
  2. 세종교육청 '수능' 앞둔 수험생 유의사항 전달
  3.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유득원 행정부시장 "세계로 잇는 든든한 주인공 뒷받침 최선"
  4.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박태구 중도일보 편집국장 “문화·언어 달라도 마음이 통하면 우리는 하나”
  5. 세종교육청 2026년 살림살이, 1조 1817억 원 편성

헤드라인 뉴스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대외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코스피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돌파하자 충청권 상장사들의 주가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의 대규모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한 달 새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이 전월 대비 19조 4777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11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10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74조 5113억 원으로 전월(155조 336억 원) 보다 12.6% 늘었다. 10월 한 달 동안 충북 지역의 시총은 27.4% 상승률을 보였고,..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국가유산청은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조선 세종(1438~1450년) 무렵에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던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둘레 1645m 규모에 이른다. 조선 초기 국가가 해안 요충지에 세운 방어용 읍성인 연해읍성 가운데 하나다. 산지 지형을 활용해 쌓은 점이 특징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 속에서도 성벽 대부분이 원형을 유지해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현재 전체 둘레의 약 93.3%(1535.5m)가..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청소년 인구 최다' 지표를 자랑하는 세종시가 정작 청소년 예산 지원은 물론 전담 인력조차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에 이어 청소년 예산까지 감축된 흐름 속에 인력·자원의 재배치와 공공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미래 세대를 위한 전사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세종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동청소년 인구(0~24세)는 11만 4000명(29.2%)이며, 이 중 청소년 인구(9~24세)는 7만 8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에 달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 15.1%를 크게 웃도는 규모로, 청소년 인구 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