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상장법인 매출·영업이익 증가에도 순이익은 오히려 '감소'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충청권 상장법인 매출·영업이익 증가에도 순이익은 오히려 '감소'

주요 15개 업종 중 4개 업종 제외 11개 실적 저조
기타제조, 전기전자, 제약, 운송장비·부품 등 하락
순이익 1년 전과 비교 시 491억원 감소한 -4.2%
부채 비율도 35조 8714억원으로 9048억 증가키도

  • 승인 2025-08-26 16:20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상장법인실적
충청권 250개사 상장법인 실적.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 제공
충청권 상장법들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소폭 증가했으나 순이익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15개 업종 중 4개 업종만 실적 개선이 이뤄지고, 11개 업종은 순이익 감소와 적자 전환, 적자 폭 확대 등으로 부진했다.

26일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12월 결산법인 2025년 상반기 결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충청권 250개사의 2025년 상반기 매출은 26조 2524억원으로, 전년 같은 26조 682억원보다 0.7%(1842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도 이 기간 1조 7304억원에서 1조 8553억원으로 7.2%(1249억원) 상승했다. 다만, 순이익은 2024년 상반기 1조 1771억원에서 2025년 상반기 1조 1280억원으로 4.2%(491억원) 감소했다. 250개사 중 148개사인 59.2%가 전년 동기 대비 흑자를 냈으나, 나머지 102개사인 40.8%는 적자를 기록했다. 148개 기업 중 흑자를 지속한 기업은 122개사, 흑자로 전환된 기업은 26개사다. 102개사 중 적자를 지속한 곳은 55개사였으며, 적자로 전환된 기업도 47개사나 됐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53곳의 올 상반기 매출액은 15조 399억원으로, 1년 전(14조 9201억원)보다 0.8%(1198억원)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도 이 기간 1조 3778억원에서 1조 4525억원으로 5.4%(746억원) 각각 증가했다. 다만, 순이익은 2024년 상반기 1조 2879억원에서 2025년 상반기 1조 17억원으로 22.2%(2862억원)나 빠졌다. 53개사 중 흑자기업은 39개사로, 1년 전과 비교하면 5개사가 감소한 수준이다.

코스닥시장 상장사 197곳의 매출액은 2025년 상반기 11조 21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11조 1482억원)보다 0.6%(644억원)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3526억원에서 4028억원으로 14.2%(502억원) 상승했다. 순이익은 2024년 상반기 -1109억원에서 2025년 상반기 1263억원으로 상승하며 플러스로 전환됐다.



충청권 250개사가 분포한 15개 업종 중 기계·장비와 의료·정밀기기, 화학, IT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11개 업종은 실적이 저조했다. 기타제조가 전년 동기 대비 -83.5%로 가장 크게 줄었으며, 전기전자(-80.3%), 제약(-67.9%), 운송장비·부품(-66.7%), 음식료·담배(-34.6%), 유통(-30.6%), 섬유·의류(-28.2%), 일반서비스(-9.4%), 건설(-1.7%) 등이다.

250개사의 부채 비율도 늘어나는 모습이다. 2025년 6월 말 기준 자산은 총 90조 8163억원으로 2024년 6월 말(89조 6972억원)보다 1.2%(1조 1191억원) 늘어났고, 부채도 이 기간 34조 9666억원에서 35조 8714억원으로 2.6%(9048억원) 증가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2.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3.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4.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5.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