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다문화] 한국불교 사찰음식, 국가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

  • 다문화신문
  • 공주

[공주다문화] 한국불교 사찰음식, 국가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

  • 승인 2025-08-31 13:28
  • 수정 2025-08-31 13:29
  • 신문게재 2025-01-04 1면
  • 충남다문화뉴스 기자충남다문화뉴스 기자
[9-5]박진희 명예기자_사찰음식
지난 5월 19일(월), 국가유산청은 사찰음식을 국가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한 바 있다. 흔히 ‘절밥’으로 불리는 사찰음식은 본디 불가(佛家)에서 수행하는 정신을 계승하고, 정진하여 지혜를 얻기 위해 먹는 음식을 일컫는다. 
 사찰음식은 육류와 생선, 술 외에 오신채(五辛菜)를 사용하지 않는 점에서 속세의 그것과 가장 두드러진 차이를 보인다. ‘오훈채(五葷菜)’, ‘오신반(五辛盤)’, ‘입춘채(立春菜) 등으로 불리는 오신채는 파, 마늘, 부추, 달래, 흥거를 말한다. 이른바 불가에서 신체적˙ 정신적 번뇌를 유발하여 수행에 방해가 된다고 여기는 다섯 가지 자극적인 채소를 지칭한다. 지역과 시대에 따라 오신채의 구성에는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는 흥거 대신 양파를, 일본에서는 생강을 포함한다. 서양에서는 양파, 마늘, 리크(leek), 차이브(chive) 등을 오신채로 분류하기도 한다.

 얼마 전 계룡산(鷄龍山)의 정기를 느낄 수 있는 곳에 자리 잡은 약선˙·사찰음식 전문점에 다녀온 일이 있다. 약차(藥茶)를 시작으로 더덕잣배무침, 들깨사과샐러드, 곱게 채 썬 무전, 연잎밥과 된장국 등이 제공됐다. 불교에서 금하는 육류나 생선을 재료로 쓴 불고기나 조기찜도 식탁에 올랐으나, 조리 과정에서 오신채를 사용하지 않는 점은 일관되었다. 이렇듯 사찰에서만 접할 수 있었던 사찰음식은 근래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까지 참살이음식(웰빙식) 또는 비건밥상으로 알려지면서 일반 음식점이나 대중매체 등을 통해서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대한불교 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은 직접 보고 듣고 배우는 사찰음식 강좌를 꾸준히 운영하고 있다. 주식과 부식, 찜류, 구이, 면류, 죽류 등의 사찰음식 재료와 조리법도 공개하고 있다. 8월 중순, 사찰음식이 국가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것을 기념하여 사찰음식 국제학술 심포지움도 열렸다. 
사찰음식은 자비, 생명 존중, 비폭력, 건강 실천 등 불교의 가르침과 생태적 삶의 태도를 식문화로 실천하는 문화유산이다. 사찰음식의 국가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4세기 초에 전파되어 뿌리내린 한국불교의 면면을 만방에 알릴 수 있는 창구가 활짝 열리기를 바라 마지않는다.
박진희 명예기자 (대한민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2.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3.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4.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5. 대전시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학폭 예방 교육 실효성·대학 사업 점검
  1. 2025 '도전! 세종 교육행정' 골든벨 퀴즈 대회 성료
  2. 세종교육청 '수능' 앞둔 수험생 유의사항 전달
  3.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유득원 행정부시장 "세계로 잇는 든든한 주인공 뒷받침 최선"
  4.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박태구 중도일보 편집국장 “문화·언어 달라도 마음이 통하면 우리는 하나”
  5. 세종교육청 2026년 살림살이, 1조 1817억 원 편성

헤드라인 뉴스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대외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코스피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돌파하자 충청권 상장사들의 주가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의 대규모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한 달 새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이 전월 대비 19조 4777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11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10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74조 5113억 원으로 전월(155조 336억 원) 보다 12.6% 늘었다. 10월 한 달 동안 충북 지역의 시총은 27.4% 상승률을 보였고,..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국가유산청은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조선 세종(1438~1450년) 무렵에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던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둘레 1645m 규모에 이른다. 조선 초기 국가가 해안 요충지에 세운 방어용 읍성인 연해읍성 가운데 하나다. 산지 지형을 활용해 쌓은 점이 특징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 속에서도 성벽 대부분이 원형을 유지해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현재 전체 둘레의 약 93.3%(1535.5m)가..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청소년 인구 최다' 지표를 자랑하는 세종시가 정작 청소년 예산 지원은 물론 전담 인력조차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에 이어 청소년 예산까지 감축된 흐름 속에 인력·자원의 재배치와 공공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미래 세대를 위한 전사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세종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동청소년 인구(0~24세)는 11만 4000명(29.2%)이며, 이 중 청소년 인구(9~24세)는 7만 8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에 달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 15.1%를 크게 웃도는 규모로, 청소년 인구 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