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남면 금강수목원 정문 전경. 7월 1일부터 문을 굳게 닫았다. 사진=이희택 기자. |
1993년 문을 연 뒤 33년 간 쌓아온 산림 자원은 사장될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실제 그동안 중부권 최대 휴양림과 수목원으로서 충청도민을 넘어 전국적인 힐링 치유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현재의 결과물은 2012년 세종시 출범 당시 골든타임을 놓친 데 따른다. 중앙정부와 충남도·세종시는 지난 13년 간 '소유권은 충남도, 행정구역은 세종시'란 딜레마를 풀지 못했다.
역시나 최상의 선택지는 국유화로 모아진다. 과거부터 산림청의 인수 후 대국민 친화 시설로 키워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관련 용역안이 진행되기도 했고, 마이스(MICE) 기능을 더한 산림·휴양 인프라 강화 방안도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명박·박근혜·문재인·윤석열 전 정부 기간 어떤 해법도 나오지 않았다. 결국 지난 6월 말 폐원 이후 민간 매각과 난개발 우려가 커졌다. 일각에선 '골프장' 건설 가능성도 제기됐다.
![]() |
금강수목원 내 전시관과 잔디광장 입구 모습. |
그렇다고 세종시가 30여 년 세월과 민의를 거스르는 난개발 등의 카드를 받아들이기는 어려웠다. 용도 변경 등의 인허가권을 신중히 사용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한 배경이다.
이 과정에서 시민사회단체와 지역구(갑구) 김종민 국회의원, 조국혁신당 세종시당 등 정치권까지 민간 매각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정부와 지자체 매칭이나 산림청 또는 행복청 예산을 통해 행정수도 위상에 걸맞은 기능을 갖춰야 한다는 제언이 쏟아졌다.
이는 충남도와 세종시의 입장 변화를 가져왔다. 김태흠 지사와 최민호 시장은 지난 6일 새 정부의 국정기획위원회를 통해 금남면 충남산림자원연구소 부지의 국가 자산화를 촉구하는 건의문을 전달했다. 수목원의 생태적 가치 및 자연환경 보존과 시민 여가·휴식 등의 공공성 확보의 의미를 담았다.
세종시가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휴양림 시설을 갖추지 못한 만큼, 정부가 현재의 수목원을 잘 살려 활용안을 찾아야 한다는 제언을 했다.
이와 관련, 금강수목원 공공성 지키기 네트워크는 민간 매각 중단을 촉구하는 한편, 양 지자체의 입장 변화에 환영 의사를 나타내고 있다.
기본소득세종네트워크와 세종교육연구원, 세종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사)세종여성, 세종YMCA, 세종교육희망네트워크, 세종통일만드는사람들,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 장남들보전시민모임, 전교조세종지부, 416세종시민모임, 세종환경운동연합, 세종시니어시민포럼, ㈜온숲 세종마을교육협의회, 세종시 작은도서관연합회, 공주농민회, 마을교육연구소, 동해리 골프장반대 공주시민대책위, 마곡천 생태보존위원회,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11개), 충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32개)가 이 같은 움직임에 동참하고 있다.
이에 범시민·범정당 공동의 국유화 대책위원회 구성으로 실질적인 대응을 이어가야 한다는 제언도 했다. 이들 단체는 범충청권 10만 명 서명 운동도 지속 진행할 계획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