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취침 냉방 모드로 동작된 시간에 대한 사용이력, 날씨 데이터, 취침정보(취침·기상시간)에 기초해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 취침 정보의 특성을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조화장치를 취침 냉방 모드로 동작시키는 '공기조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출처=특허청] |
특허청에 따르면 인공지능을 활용한 에어컨 특허 출원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연평균 약 8.6% 증가했다. 특히 2024년에는 전년도(35건) 대비 42.8% 증가한 50건을 기록해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전체 에어컨 특허출원 중 인공지능을 활용한 에어컨 특허출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2020년 14.3%에서 2024년 25.9%로 증가했는데, 에어컨 특허 4건 중 1건은 인공지능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인공지능을 에어컨 제품의 경쟁력과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로 생각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에 집중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A사는 인공지능이 사용자별 데이터(얼굴형태, 체형, 음성)와 생체정보(맥박, 체온, 얼굴표정)를 학습해 개인 맞춤형으로 온도·습도·풍속을 조절하는 에어컨 기술로 특허를 받았다. 연구소 B는 인공지능이 실내장소의 용도별 특징과 사용자 재실 여부 등을 각각 학습해 각 장소의 용도와 사람의 위치·수에 따라 자동으로 에어컨 냉각방향과 온도를 맞춰주는 기술을 특허 출원했다.
출원인 유형별로는 중소기업이 83건(41.7%)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대학 41건(20.6%), 대기업 37건(18.6%), 연구소 23건(11.6%) 순으로 나타났다. 과거 가전기술의 혁신이 대기업 중심으로 이뤄졌다면, 현재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에어컨분야 기술 혁신은 중소기업, 대학 등 다양한 산업 주체가 참여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특허청 박용주 기계금속심사국장은 "기후변화로 폭염이 더욱 심해지면서 에어컨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인공지능이 에어컨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인공지능을 활용한 특허출원이 에어컨 기술 분야에서 강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