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양농업기술센터 김학균 팀장이 '2026년 기술보급 블렌딩 협력모델 시범사업'공모 심사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
이번 시범사업은 연구기관, 농업기술센터, 민간이 협력해 지역 농업의 문제를 해결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부 공모사업이다. 전국 15개 지자체가 참여한 가운데 서류심사와 발표심사를 거쳐 단양군이 최종 대상지로 결정됐다.
군 농업기술센터는 심사 과정에서 단양 특산물인 한지형 마늘의 품질과 특성을 바탕으로, 재배·가공·유통을 연결하는 산업 모델을 제시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 |
김문근 단양군수가 마늘 전과정 기계화 재배 현장 연시회에서 작업모습을 살펴보고 있다. |
이에 따라 단양군은 2026년부터 2027년까지 2년에 걸쳐 국비와 군비 각각 5억 원씩 총 1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우선 씨마늘(주아)을 양액 재배 방식으로 생산해 우수 종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상품성이 낮은 마늘은 풋마늘로 활용해 연중 출하 기반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또한 재배 과정 전반에 기계화 기술을 도입해 농가의 노동 부담을 줄이고, 단양의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자원과 연계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브랜드 경쟁력도 높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소비 변화에 맞는 가공제품을 개발하고, 유통망을 확장해 마늘 산업의 부가가치를 키우는 데에도 집중할 방침이다.
단양군 농업기술센터는 이번 사업이 마늘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지역 경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문근 단양군수는 "이번 선정은 단양마늘의 품질과 가능성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단양마늘이 전국적인 명성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단양=이정학 기자 hak482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