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날 국정기획위의 브리핑 모습. 사진 왼쪽부터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박수현 균형성장특별위원장, 조상호 국정기획위원, 강주엽 행복청장. 사진=이희택 기자. |
박수현 국정기획위원회 산하 균형성장특별위원장은 8월 5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3층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와 관련한 내용을 설명했다. 이 자리에는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과 강주엽 행복청장, 조상호 국정기획위원 등이 함께 했다.
2022년 여·야 합의로 행복도시법 개정안이 통과되고 집무실 건립의 법적 근거가 마련된 만큼, 행정수도 완성의 첫 단추로 건립 절차를 보다 신속하게 착수하겠다는 취지를 담았다.
앞선 8월 1일 이재명 대통령이 17개 시·도지사 간담회를 통해 "청와대로 다시 대통령실을 옮긴다고 하더라도,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은 당초 계획대로 차질 없이 추진될 것"이라고 언급한 부분을 재확인하는 의미도 있다.
![]() |
대통령 세종 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이 들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상징구역도. 사진=중도일보 DB. |
그러면서 국정기획위 차원에서도 후속 절차가 차질 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겠다는 약속도 했다.
박 위원은 "수도권 중심의 불균형은 여전히 심화되고 있다. 행정수도 완성의 필요성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라며 "이재명 대통령께서도 세종 집무실을 임기 내 건립하고 국민적 합의를 거쳐 행정수도를 완성하겠다는 약속을 한 바가 있다"며 실행 의지를 강조했다.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은 "5극(수도·동남·중부·대경·호남 초광역권)과 3특(강원·제주·전북특별자치도)을 넘어 1행(행정수도)을 분명히 명시하는 추진안 의견을 알고 있다. 적극 동의한다"라며 "대통령 집무실은 해수부 이전과 다른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라는 입장을 내보였다.
한편, 행복청은 현재 서울 청와대 면적과 유사한 25만㎡ 유보지를 확보해뒀다. 대통령 집무실 성격상 잠시 업무를 보더라도 다양한 기능들이 다 들어와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예컨대 비서실과 경호실, 외빈 접견실, 관사 등의 패키지화를 뜻한다.
이를 위해 58억 원 예산안을 바탕으로 국가상징구역을 포함한 도시건축 통합설계 국제공모 관리용역으로 본격화하고 있다. (사)한국건축가협회가 계약 당사자로서 4.4억 원의 용역을 수행하게 되는데, 빠르면 올해 말 본격적인 설계 공모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