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오늘 눈에 띈 제목이 있었나요?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오늘 눈에 띈 제목이 있었나요?

안희연 편집부 기자

  • 승인 2025-08-04 10:07
  • 수정 2025-08-04 10:08
  • 신문게재 2025-08-04 18면
  • 안희연 기자안희연 기자
증명사진작은사진
하루에도 수많은 문장이 종이 위를 채우지만 그중 단 한 줄이라도 독자의 눈을 붙잡았다면 그 제목을 만든 누군가는 그걸로 충분히 보람을 느꼈을지 모릅니다.

신문 한 면을 만드는 데에는 많은 손이 닿습니다. 그중에서도 '제목'을 고민하는 편집기자의 손은 조용하지만 집요하게 움직입니다.

편집부에 입사한 지 1년 3개월. 저는 여전히 매일 배우고 있습니다.

처음엔 빈 화면 앞에 앉아 그날 발행된 신문을 그대로 따라 만들어보며 편집 프로그램을 익혔습니다. 아무것도 모른 채 'Ctrl+C'와 'Ctrl+V'만 반복하던 날들. 기사 제목과 사진을 배치한 뒤 저장하는 법조차 몰라 멈춰 선 적도 있었습니다.



지면을 직접 만들기 시작한 뒤에는 선배들이 툭 던진 말이나 흘린 단어 하나까지도 전부 노트에 받아 적었습니다. 낯선 단어와 한자가 많아 국어사전 사이트를 틈날 때마다 찾아보고 익혔고 그렇게 하나씩 익혀갈수록 이 일이 점점 재미있어졌습니다.

제가 만든 편집이 지면에 실리고 그 신문이 다음 날 독자의 손에 닿는다는 사실이 신기했습니다. 처음 쓴 제목이 그대로 반영된 날엔 하루 종일 기분이 좋았습니다. 그 지면을 부모님께 보여드리며 괜히 어깨를 으쓱했고 반대로 많이 바뀐 날엔 혼자 속상하기도 했습니다.

요즘은 제 제목이 제법 살아남습니다.

그럴 때마다 편집기자로서 조금은 '인정받고 있구나' 싶은 마음이 듭니다. 하지만 그런 순간일수록 스스로에게 다시 묻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나는 무엇을 더 배워야 할까?"

제목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누군가는 이 제목이 괜찮다고 하고 다른 누군가는 어색하거나 과하다고 말합니다. 같은 기사를 두고도 누구는 A를 누구는 B를 선택합니다.

결국 편집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독자만 있을 뿐입니다.

그래서 저는 매일 스스로 묻습니다. "이 제목,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을까?", "기사를 읽지 않아도 이 문장이 무슨 뜻인지 알 수 있을까?" 물론 감정 소모도 있습니다. 제목이 반려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수정이 들어올 때면 마음이 뒤숭숭해집니다.

"이건 좀 어색해"라는 말을 들었을 때 제가 아는 단어와 감각으로 최선을 다해 만든 문장이 가볍게 느껴져 속상했던 적도 많습니다. 하지만 공부하면 할수록 단어 하나의 무게와 어휘가 주는 감각, 문장 배치의 미묘한 차이를 조금씩 알아가고 있습니다.

편집기자는 '언어의 마술사'라는 말도 있지요. 같은 뜻을 전해도 어떤 단어를 쓰느냐에 따라 전달되는 강도와 온도, 감정의 결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예를 들면 '시동', '탄력', '발돋움' 모두 '무언가를 시작한다'는 뜻이지만 '시동'은 정책적이고 선언적인 느낌, '탄력'은 추진력과 가속, '발돋움'은 조심스럽지만 위로 향한 기대를 담고 있습니다.

그 감각을 익히고 고르는 일이 저는 참 재미있습니다. 그래서 요즘도 여전히 단어를 붙잡고 고민합니다.

오늘도 저는 제목을 짓고 다듬습니다. 짧은 문장 한 줄로 독자가 '아'하고 고개를 끄덕였다면 그걸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오늘 기억에 남는 제목이 있었다면 그건 어떤 편집기자의 하루가 조금은 당신에게 닿았다는 뜻일지도 모릅니다.

저는 그 '닿음'을 만들기 위해 오늘도 덜어내고 다시 다듬으며 배웁니다. 독자 한 사람의 시선과 마음에 닿기 위한 조용한 연습을 계속합니다.

안희연 편집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형복합화력 증설 멈추고 재생에너지 확대에 주력을
  2. 대전건설건축자재협회 'AI 전문가 초청강연' 개최
  3. 대전시감염병관리지원단, 재가노인지원기관과 보건 업무협약
  4. 세종시의회 100회 임시회 "힘차게 나아갈 것"
  5. 이너사이드, 현대백화점 충청점서 '유얼거트' 팝업스토어 개최
  1. 세종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40건… "완충 후 즉시 분리"
  2. 유성선병원, 치유의 공간 김인홀서 '힐링 콘서트' 개최
  3. 대전대 펜싱팀, 대통령배 전국펜싱선수권대회 에뻬 단체전 3위
  4. 충남대-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중국서 그린바이오 인재 교육
  5. 폐교 예정 대전 성천초 주민 편의 복합시설 추진 협약

헤드라인 뉴스


투석환자 교통편의 제도정비 시급…지자체 무관심에 환자안전 사각

투석환자 교통편의 제도정비 시급…지자체 무관심에 환자안전 사각

<속보>20일 대전 한 병원에서 만난 조한영(49·가명)씨는 이틀에 한 번씩 인공신장실을 찾아 혈액 투석을 8년간 이어왔다. 월·수·금 오전 7시 병원에 도착해 4시간동안 투석을 받고 나면 체중은 많게는 3㎏까지 빠지고 어지럼증이 쉽게 가라앉지 않는다. 당뇨 합병증으로 콩팥이 먼저 나빠졌고, 오른쪽 눈은 실명했으며, 발에도 질환이 생겨 깁스처럼 발 전체를 감싸고 목발을 짚어서야 겨우 걸음을 뗀다. 투석은 생명을 지키는 일인데 집과 병원을 오가는 병원의 교통편의 제공마저 앞으로 중단되면 혼자서 투석을 이어갈 수 있을지 그는 심각하게..

[날씨] 12호 태풍 `링링` 영향…폭염·열대야 강화
[날씨] 12호 태풍 '링링' 영향…폭염·열대야 강화

주말인 23~24일 폭염과 열대야 현상이 강화됨에 따라 무더위가 이어질 가운데 내륙 곳곳에 국지적 소나기가 내릴 전망이다. 21일 기상청에 따르면 제12호 태풍 '링링'이 동북 동진 중이다. 태풍은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일본 남동쪽 해상 가장자리를 따라 규슈를 통과할 예정이다. 이번 주말(23~24일)은 티베트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결합해 한반도 고기압이 두터워지며 지금보다 온도가 1~2도 더 올라 폭염이 다소 강화된다. 또한, 내륙 중심에 5~40㎜의 국지적 소나기가 내리겠다. 특히 대전·세종·충남 전 지역에 폭염특보 발효에..

충남도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 요구… 정부 "추가 지급 결정"
충남도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 요구… 정부 "추가 지급 결정"

충남도가 지난달 기록적인 폭우에 따른 지원금을 정부에 지속 건의한 결과, 정부가 추가지원을 결정했다. 21일 도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폭우 피해 지원대책 기자회견에서 정부에 피해 지원금 현실화를 건의하겠다는 입장 발표를 시작으로, 정부부처의 현장점검 등에서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를 요청해 왔다. 김태흠 지사도 1일 열린 대통령 주재 제1차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분야별 지원금 현실화를 공식 건의한 바 있다. 당시 김 지사는 농업 분야와 관련해 정부의 지원기준인 복구비(대파대) 50%를 100%로 상향하고 농업시설 복구비도 기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드론테러를 막아라’ ‘드론테러를 막아라’

  •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