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의 출산장려정책 A~Z까지… 아이낳기 좋은도시 만든다

  • 전국
  • 충북

충북도의 출산장려정책 A~Z까지… 아이낳기 좋은도시 만든다

2023년부터 출산육아수당, 2024년 초다자녀 가정지원사업, 맘 편한 태교 패키지 지원 등 시행
올해 신규 사업으로 인구감소지역 4자녀 가정지원, 다태아 출산가정 조제분유지원, 다자녀 가정 주거환경 개선 등 추진

  • 승인 2025-08-03 05:43
  • 수정 2025-08-03 10:57
  • 엄재천 기자엄재천 기자
행사사진 2
김영환 충북지사<가운데>가 초다자녀 가정지원사업 간담회에 참석해 관계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충북도가 펼치는 정책사업 가운데 가장 역점을 두고 시행하는 사업은 출산정책사업이다. 김영환 충북지사가 가장 신경쓰고 있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출산장려사업에는 다양한 지원사업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런 지원사업들이 아이들을 키우는 육아부모들에게는 무엇보다 절실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3일 충북도에 따르면 지원사업 가운데 가장 빠르게 시행된 지원사업은 2023년 시행된 ▲ 출산육아수당 이다. 이어 2024년에 ▲초다자녀 가정지원사업 ▲맘 편한 태교 패키지 지원사업이다.

올해 신규 지원사업들은 ▲인구감소지역 4자녀 가정지원 ▲다태야 출산가정 조제분유지원 ▲다자녀 가정 주거환경 개선사업 등이다.



2023년 통계청에 따르면 충북의 출생아수는 1만3600명이다. 출산장려정책 사업의 기본이 여기서부터 시작됐다. 충북도는 이 출생아수를 기반으로 예산 206억원(도비 50% 103억원, 시군비 50% 103억원)을 마련했다. 도는 2023년 이후 출생자 1인당 100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출생아 지원사업
출산육아 지원사업 (단위: 만원)
출산육아수당은 해당연령이 돌아오면 지급된다.

2025년 6월말 기준 추진실적은 7180명에게 104억 5800만원이 지원됐다. 2023년에는 7287명에게 218억 4900만원, 2024년에는 7525명에게 82억 7400만원이 지원됐다.

2024년 시행된 지원사업은 초다자녀 가정 지원사업과 맘 편한 태교 패키지 지원사업이다.

초다자녀 가정 지원사업은 자녀 5명 이상 가정 중 18세 이하 자녀 1명 이상 양육가정에게 18세 이하 자녀 1명당 매년 100만 원 지원한다. 미성년 자녀가 5명 이상인 가구는 연 최대 500만원까지 지원된다. 지원 대상은 950명이었다. 사업비도 9억 5000만원(도비 40% 3억 8000만원, 시군비 60% 5억 7000만원)으로 출발했다. 분기별 연 4회 지역화폐로 지급됐다.

2025년 6월말 기준 추진실적은 1005명에게 4억 8600만원이 집행됐다.

맘(Mom)편한 태교 패키지 지원도 2024년 시행됐다. 인구감소지역에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중인 임신부가 지원대상이다. 4자녀 가구당 연 100만원 지원된다. 총사업비는 2억 8000만원(도비40% 1억1200, 시군비60% 1억6800)이다.

인구감소지역 거주 임신부를 대상으로 태교를 위한 도내 휴양시설 연계 태교 패키지 프로그램 제공(인당 40만원 상당)한다.

동반 1인 포함 지원된다. 태교 패키지 구성(안)은 객실(1박2일)+조식 또는 석식+부대시설 이용권(스파, 인피니티풀, 워터파크 등)+특화 프로그램(산전 테라피, 마사지, 요가, 명상 등)이다.

올해부터는 인원과 시설이 확대됐다. 인원은 300명애서 600명, 시설은 4곳에서 10곳(청남대, 조령산 자연휴양림 등 공공시설 추가)으로 확대됐다. 신청요건은 인구감소지역 6개월 거주 임신부이거나 배우자가 6개월 거주 시에도 신청 가능하다.

2025년 7월 21일 기준 10개시설과 협약하고, 임신부 429명 신청했다.

올해 신설된 인구감소지역 4자녀 가정 지원은 인구감소지역의 18세 이하 자녀 1명 이상을 포함한 4자녀 가정에 지원되는 사업이다. 4자녀 가구당 연 100만원이 지원된다. 지원대상은 260가구로 사업비는 2억 6000만원도비)이다. 분기별 연 4회 지역화폐 지급된다. 2025년6월말 기준 172가정에 8500만원이 지원됐다.

다태아 출산가정 조제분유 지원은 대상이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다태아 출산가정의 12개월 이하 영아다. 영아 1명 당 분유 구입비용 월 최대 10만 원 지원된다. 2023년 통계청 기준 도내 쌍태아 이상 출생아 수 508명 고려 산정됐다. 사업비는 3억원(도비)이다. 지원대상에게 현금으로 지급(실 구입 비용 사후정산 지급)된다.

2025년 6월말 기준 221명에게 6900만원이 지급됐다.

이어 다자녀 가정 주거환경 개선사업이 올해 처음으로 세워졌다. 추진주체는 도, 공동모금회, 충북개발공사다. 지원대상은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한 저소득 다자녀 가정(5곳)이다. 미성년 자녀 가정 우선 선발된다. 5개 가정(충주, 보은, 옥천, 괴산, 단양) 에게 주거 환경 개선 및 정비(리모델링)하는 사업이다. 1곳당 5000만원씩 2억 5000만원이 마련됐다. 도는 저출생 성금 5000만원)+공동모금회는 1억2000만원, 충북개발공사 8000만원을 지원했다. 2025년 7월말 기준 2가정이 준공을 완료헸다.
청주=엄재천 기자 jc00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형복합화력 증설 멈추고 재생에너지 확대에 주력을
  2. 세종시의회 100회 임시회 "힘차게 나아갈 것"
  3. 대전시감염병관리지원단, 재가노인지원기관과 보건 업무협약
  4. 세종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40건… "완충 후 즉시 분리"
  5. 이너사이드, 현대백화점 충청점서 '유얼거트' 팝업스토어 개최
  1. 유성선병원, 치유의 공간 김인홀서 '힐링 콘서트' 개최
  2. 장동혁 "새로운 투쟁과 혁신 이끌 것"… 당 대표 결선 진출 각오
  3. 장동혁, 국민의힘 당 대표 김문수와 결선… 26일 최종 승자 가린다
  4. [세종시 인사] 2025년 하반기 6급 이하 420명 발령
  5. 대전건설건축자재협회 'AI 전문가 초청강연' 개최

헤드라인 뉴스


투석환자 교통편의 제도정비 시급…지자체 무관심에 환자안전 사각

투석환자 교통편의 제도정비 시급…지자체 무관심에 환자안전 사각

<속보>20일 대전 한 병원에서 만난 조한영(49·가명)씨는 이틀에 한 번씩 인공신장실을 찾아 혈액 투석을 8년간 이어왔다. 월·수·금 오전 7시 병원에 도착해 4시간동안 투석을 받고 나면 체중은 많게는 3㎏까지 빠지고 어지럼증이 쉽게 가라앉지 않는다. 당뇨 합병증으로 콩팥이 먼저 나빠졌고, 오른쪽 눈은 실명했으며, 발에도 질환이 생겨 깁스처럼 발 전체를 감싸고 목발을 짚어서야 겨우 걸음을 뗀다. 투석은 생명을 지키는 일인데 집과 병원을 오가는 병원의 교통편의 제공마저 앞으로 중단되면 혼자서 투석을 이어갈 수 있을지 그는 심각하게..

[날씨] 12호 태풍 `링링` 영향…폭염·열대야 강화
[날씨] 12호 태풍 '링링' 영향…폭염·열대야 강화

주말인 23~24일 폭염과 열대야 현상이 강화됨에 따라 무더위가 이어질 가운데 내륙 곳곳에 국지적 소나기가 내릴 전망이다. 21일 기상청에 따르면 제12호 태풍 '링링'이 동북 동진 중이다. 태풍은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일본 남동쪽 해상 가장자리를 따라 규슈를 통과할 예정이다. 이번 주말(23~24일)은 티베트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결합해 한반도 고기압이 두터워지며 지금보다 온도가 1~2도 더 올라 폭염이 다소 강화된다. 또한, 내륙 중심에 5~40㎜의 국지적 소나기가 내리겠다. 특히 대전·세종·충남 전 지역에 폭염특보 발효에..

충남도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 요구… 정부 "추가 지급 결정"
충남도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 요구… 정부 "추가 지급 결정"

충남도가 지난달 기록적인 폭우에 따른 지원금을 정부에 지속 건의한 결과, 정부가 추가지원을 결정했다. 21일 도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폭우 피해 지원대책 기자회견에서 정부에 피해 지원금 현실화를 건의하겠다는 입장 발표를 시작으로, 정부부처의 현장점검 등에서 '호우 피해 지원금 현실화'를 요청해 왔다. 김태흠 지사도 1일 열린 대통령 주재 제1차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분야별 지원금 현실화를 공식 건의한 바 있다. 당시 김 지사는 농업 분야와 관련해 정부의 지원기준인 복구비(대파대) 50%를 100%로 상향하고 농업시설 복구비도 기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드론테러를 막아라’ ‘드론테러를 막아라’

  •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