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슈투트가르트시' 협력 소식...독일 넘어 유럽으로 전파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슈투트가르트시' 협력 소식...독일 넘어 유럽으로 전파

25일 LOI 체걸 후 프랑크 노퍼 시장 SNS 통해 세종시와 교류 소식 확산
개별 도시로는 사실상 국내 첫 교류 협력...구속력 없으나 새로운 시작점 의미
유럽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 협의회 소속 독일 지부 사이트에도 소개

  • 승인 2025-07-28 23:09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50728_214027397
슈투트가르트 프랑크 노퍼 시장의 사회관계망서비스에 올라온 협약 소식. 사진=슈투트가르트시 제공.
세종시와 슈투트가르트시 간 우호 협력 의향서(LOI) 체결 소식이 지역을 넘어 유럽으로 전해지고 있다.

최민호 시장을 비롯한 세종시 대표단은 지난 25일(현지 시각) 오전 독일 슈투트가르트 시청사에서 프랑크 노퍼(Frank Nopper) 시장과 시의회 의원 및 집행부 등이 함께한 가운데 스마트 모빌리티와 스타트업 분야 등의 협력을 담은 우호 협력 의향서(LOI)를 체결한 바 있다.

대한민국 도시로서는 사실상 첫 교류의 물꼬를 튼 의미를 담고 있어 이목을 끌었다. 슈투트가르트시는 방문지 2곳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등 대한민국 행정수도 방문단에 대한 예의를 다했다.

LOI가 법적 구속력이 없는 협력 관계의 시작점이라 볼 수 있으나 앞으로 실질 교류 가능성은 분명히 확인했다. 양 도시는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행정·산업·도시 정책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교류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공식화했다.



세종시 방문단의 흔적은 프랑크 노퍼 시장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함께 유럽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 협의회 산하 독일 지부 사이트에서 확인되고 있다.

노퍼 시장은 자신의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을 통해 세종시와 교류 소식을 올렸다.

그는 이 글에서 "대한민국 세종시는 13년 전 서울 남동부에 위치한 새로운 행정수도이자 미래 도시 모델이자 선도적인 혁신 허브로 계획돼 설립됐다"라고 소개한 뒤, "세종시와 슈투트가르트는 창의적 혁신과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 분야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LOI를 체결했다. 앞으로 스마트 시티와 모빌리티, 공동 연구, 환경 보호, 스타트업 지원, 교육 및 문화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의 현대자동차를 예로 들며, "세종시 역시 현대 도시 개발의 전형이며, 비전과 결의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국가의 상징이다. 오늘 우리는 지식 이전, 기술 협력, 그리고 도시뿐 아니라 지역 전체의 발전을 위한 솔루션 개발을 위한 문을 연다"고 덧붙였다. LOI 직후 시청 내빈실 앞 발코니에서 함께 감상한 베토벤의 교향곡 '환희의 송가' 연주 이야기도 담았다.

노퍼 시장의 임기가 2021년부터 2029년까지 8년인 만큼, 세종시의 지속 협력 의지 여부에 따라 실질적인 교류 성과가 창출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모으는 대목이다.

당장의 가능성은 슈투트가르트시가 보유한 킬레스베르크 공원 노하우와 독일 뮌헨 다음의 2대 맥주 축제를 세종시에 접목하는 방안으로 확인되고 있다.

부시장은 이어진 저녁 만찬 자리에서 슈투트가르트시의 행정력이 집중되는 9~10월 옥토버 페스티벌을 피한 4~5월을 교류의 최적 시기로 제안하기도 했다. 프랑크 노퍼 시장은 앞서 "킬레스베르크 공원과 함께 독일의 유명 맥주 페스티벌을 세종시에서 꼭 점목하길 바란다"는 덕담을 건넨 바 있다.

KakaoTalk_20250728_225356092
유럽 지자체 및 지역 협의회 소속 독일 지부 사이트에 올라온 협약 소식. 사진=슈투트가르트시 제공.
이번 LOI 소식은 유럽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 협의회 소속 독일 지부 사이트에도 올라왔다.

한편, 슈투트가르트시는 독일 16개 연방주의 하나인 바덴뷔르템베르트주의 주도이자 6번째로 인구가 많은 '슈투트가르트 시'. 벤츠와 포르쉐 등 자동차 산업의 심장이자 혁신 기업의 진원지로 통한다. 세계적인 자동차 기업 메르세데스-벤츠, 포르쉐의 본사를 보유하고,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앞선 행정 역량과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장원토건 시공… 대전보건대 여자 기숙사 건립공사 1년 9개월 만에 재개
  2.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계획변경 공청회 9월 4일 개최
  3. 대전 아파트 신축 중 근로자 추락사 원·하청대표 각각 '실형'
  4. 與, 특별법 속도전? 로우키? 行首완성 의지 가늠
  5. [사건사고] 홍성 공장 근로자 기계 끼임사고·고속도로 연쇄추돌
  1. [홍석환의 3분 경영] 일할 맛
  2. 정부 R&D 예산 확대 시사에 대전시 '화색'
  3. 2026년 R&D 예산 최대 증가에 과학기술계 "환영… 연구 생태계 정상화 시그널"
  4. 대전 바이오산업의 AI 융합 혁신 성장 전략 도출
  5. "꿀 강의 10만 원에 산다"…지역 대학가 학생 간 강의 매매 성행

헤드라인 뉴스


세종시법 전면 재정비 필요성… 제주·전북·강원특별법과 대조

세종시법 전면 재정비 필요성… 제주·전북·강원특별법과 대조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세종시의 특별법은 2011년 3월 국회 문턱을 넘어 현실과 이상에 맞게 잘 적용되고 있을까. 시 출범 후 13년을 보낸 2025년 이에 대한 전면 재정비 필요성이 시의회로부터 제기됐다. 이순열(어진·도담동) 시의원은 25일 제100회 시의회 임시회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세종시 발전의 기둥인 세종시특별법의 중요성을 되짚어보고, 시대적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한계와 개정 필요성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세종시가 법률적 토대 위에 건설되고 성장하고 있는 도시이고, 세종시법은 이의 주춧돌이나 행정수..

최교진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 후보 인사청문회 9월 2일
최교진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 후보 인사청문회 9월 2일

이재명 정부 초대 교육부 장관 후보인 충청 출신 최교진(53년생) 세종특별자치시 교육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9월 2일 열린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25일 오전 전체 회의를 열고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 인사청문요청안과 인사청문회 실시계획서, 자료제출 요구안, 증인·참고인 출석요구안을 여야 합의로 의결했다. 여야 교육위원들은 청문회를 위해 모두 43개 기관에 1075건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앞서 8월 19일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교육 발전에 40여년 이상 헌신하며 오랜 교육 현장 경험과 폭넓은 행정 역량을 갖추고..

내달 대전·세종·충남 아파트 입주물량 0건… 전국도 한달 새 33% 감소
내달 대전·세종·충남 아파트 입주물량 0건… 전국도 한달 새 33% 감소

내달 대전과 세종, 충남지역에 입주 물량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입주 물량도 전달보다 3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25일 부동산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9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1만 1134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이달 물량인 1만 6549세대 대비 33% 감소한 수치다. 내달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은 5695세대로 전체 물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가운데, 이달(9655세대)과 견줘 약 41% 줄었다. 지방 입주 예정 물량은 5439세대로, 이달(6894세대)보다 약 21% 적은 수준이다. 지역별 입주 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 대천해수욕장 폐장일에도…막바지 피서객 ‘북적’ 대천해수욕장 폐장일에도…막바지 피서객 ‘북적’

  • ‘드론테러를 막아라’ ‘드론테러를 막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