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배 아프다는 아이의 호소, 쉽게 넘기지 마세요

  • 사회/교육
  • 건강/의료

[건강]배 아프다는 아이의 호소, 쉽게 넘기지 마세요

건양대병원 소아외과 연희진 교수

  • 승인 2025-07-27 16:24
  • 신문게재 2025-07-28 10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2024051301000875600036301
건양대병원 소아외과 연희진 교수
아이를 키우다 보면, 제일 많이 듣는 얘기 중에 하나가 '나, 배 아파'라는 말이다. 그런데, '어디가 어떻게 아파?'라고 물어보면, 설명하지 못하는 때가 많다. 아기들은 어른처럼 어디가 어떻게 아프다고 자세하게 표현을 잘 못한다. 그 대신에 보채거나 우는 양상을 보이게 되는데, 때문에 부모들은 아기가 배가 자주 아프다고 할 때 꾀병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대부분은 심리적인 원인이거나 큰 이상이 없는 경우라 큰 문제는 없지만, 간혹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부모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복통의 동반 증상으로는 잦은 구토, 복부 팽만, 발열, 소변량 감소, 혈변, 체중 감소, 성장 장애, 수면 장애, 만성 설사 등이 있을 수 있고, 5세 이하이거나 14세 이상의 반복적인 복통일 때 기질적 원인에 의한 복통을 의심을 해 볼 수 있다.

만성 반복성 복통 외에 장염이나 식중독, 변비 등으로도 복통을 호소할 수 있다. 열이 복통보다 먼저 발생한 뒤 복통이 있는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배의 문제보다는 배 이외의 감염성 질환, 즉 폐렴, 편도선염, 중이염 등 흔한 질환 등을 의심해 볼 수 있고, 복통이 선행되고 열이 난다면, 장의 염증성, 감염성 질환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가 많이 아파하면 병원을 찾지만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이기 때에는 응급수술이 필요한 신호일 수 있어서 최대한 빨리 병원에 오는 것이 좋다. 1세 전후로 배가 몹시 아픈 것처럼 심하게 보채는 경우, 그리고 그 복통이 수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있는 경우, 붉은 딸기 잼 같은 변을 보는 경우에는 장중첩증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 구토의 강도가 높으면서 특히 금식 중에도 구토가 지속되는 경우, 담즙이 섞인 연둣빛 구토는 장관 폐색 등 심각한 질환을 암시할 수 있다. 복통이 심해서 배에 손을 못 댈 정도로 아파하는 경우나 복부 타박 후에 심한 복통은 복막염 등을 의심할 수 있는 상황이다. 복통의 위치가 복부의 특정 부위에 국한되어 호소하는 경우에도 대표적으로 급성 충수돌기염(맹장염) 등 국소적인 복막염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이고 과거에 복부 수술을 했던 아이라면 장 유착에 의한 장폐색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탈장은 소아외과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다. 태아 시절, 7~8개월 정도에 고환이 복강에서 음낭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고환이 내려온 길(초상돌기)이 잘 닫히지 않아서 생기는 질환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초상돌기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아서 장이 들락날락할 정도로 길이 넓은 경우를 탈장, 그리고 복수가 찰 정도의 작은 길만 있어 음낭 주변에 물이 차는 경우를 음낭 수종이라고 한다. 이름은 다르지만 발생 기전이 같은 비슷한 질환이며 수술방법도 동일하다. 탈장은 남아에서 많으며 미숙아에서 특히 많다. 우측에서 호발하고, 10%에서는 양쪽 탈장으로 나타난다. 음낭수종의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소실되는 경우도 있어서 1~2세까지 기다리기도 하지만, 탈장은 스스로 치유되지 않는 질환이므로 진단되면 바로 수술을 계획하게 된다.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넘어가는 괄약근을 유문이라고 하는데, 비후성 유문협착증은 이 유문이 비후되어 음식물이나 위액이 잘 내려가지 않는 질환이다. 발생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주로 생후 2~8주 사이에 증상이 나타나며 남아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수유 후 1시간 안쪽으로 담즙이 섞이지 않은 구토를 하고 이 구토가 점점 뿜듯이 심해지고 잦아지며, 아기는 구토 이후에 다시 열심히 젖을 빨려고 하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 의심해 볼 수 있다. 유문의 비후는 초음파로 확인이 가능하며 구토로 인한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을 먼저 교정한 후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장중첩증은 장관이 다른 장관 내부로 말려 들어가서 중첩되는 질환이다. 장중첩증도 남아에서 많고, 생후 2개월부터 2세까지에서 주로 발생한다. 담즙성 구토가 있을 수 있고, 딸기잼과 비슷한 혈성 점액성 변을 볼 수 있다. 일차성 장중첩증은 공기-식염수 정복술로 정복될 수 있지만 반복적으로 재발하거나 공기-식염수 정복술로 치료되지 않는 경우, 장이 중첩되면서 발생한 혈류 장애로 장이 손상된 경우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이차성 장중첩증의 수술을 통해 장중첩증을 유발한 병변까지 제거해야 한다. /건양대병원 소아외과 연희진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계획변경 공청회 9월 4일 개최
  2. 장원토건 시공… 대전보건대 여자 기숙사 건립공사 1년 9개월 만에 재개
  3. 대전 아파트 신축 중 근로자 추락사 원·하청대표 각각 '실형'
  4.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5. 與, 특별법 속도전? 로우키? 行首완성 의지 가늠
  1. [사건사고] 홍성 공장 근로자 기계 끼임사고·고속도로 연쇄추돌
  2. [홍석환의 3분 경영] 일할 맛
  3. 정부 R&D 예산 확대 시사에 대전시 '화색'
  4. 대전 바이오산업의 AI 융합 혁신 성장 전략 도출
  5. 2026년 R&D 예산 최대 증가에 과학기술계 "환영… 연구 생태계 정상화 시그널"

헤드라인 뉴스


세종시법 전면 재정비 필요성… 제주·전북·강원특별법과 대조

세종시법 전면 재정비 필요성… 제주·전북·강원특별법과 대조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세종시의 특별법은 2011년 3월 국회 문턱을 넘어 현실과 이상에 맞게 잘 적용되고 있을까. 시 출범 후 13년을 보낸 2025년 이에 대한 전면 재정비 필요성이 시의회로부터 제기됐다. 이순열(어진·도담동) 시의원은 25일 제100회 시의회 임시회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세종시 발전의 기둥인 세종시특별법의 중요성을 되짚어보고, 시대적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한계와 개정 필요성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세종시가 법률적 토대 위에 건설되고 성장하고 있는 도시이고, 세종시법은 이의 주춧돌이나 행정수..

최교진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 후보 인사청문회 9월 2일
최교진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 후보 인사청문회 9월 2일

이재명 정부 초대 교육부 장관 후보인 충청 출신 최교진(53년생) 세종특별자치시 교육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9월 2일 열린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25일 오전 전체 회의를 열고 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 인사청문요청안과 인사청문회 실시계획서, 자료제출 요구안, 증인·참고인 출석요구안을 여야 합의로 의결했다. 여야 교육위원들은 청문회를 위해 모두 43개 기관에 1075건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앞서 8월 19일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교육 발전에 40여년 이상 헌신하며 오랜 교육 현장 경험과 폭넓은 행정 역량을 갖추고..

내달 대전·세종·충남 아파트 입주물량 0건… 전국도 한달 새 33% 감소
내달 대전·세종·충남 아파트 입주물량 0건… 전국도 한달 새 33% 감소

내달 대전과 세종, 충남지역에 입주 물량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입주 물량도 전달보다 3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25일 부동산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9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1만 1134세대로 집계됐다. 이는 이달 물량인 1만 6549세대 대비 33% 감소한 수치다. 내달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은 5695세대로 전체 물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가운데, 이달(9655세대)과 견줘 약 41% 줄었다. 지방 입주 예정 물량은 5439세대로, 이달(6894세대)보다 약 21% 적은 수준이다. 지역별 입주 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 대천해수욕장 폐장일에도…막바지 피서객 ‘북적’ 대천해수욕장 폐장일에도…막바지 피서객 ‘북적’

  • ‘드론테러를 막아라’ ‘드론테러를 막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