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육청, 상상을 현실로 '별별공간' 발간·전시회 개최

  • 전국
  • 부산/영남

부산교육청, 상상을 현실로 '별별공간' 발간·전시회 개최

사용자 참여로 빚어낸 학교 공간 혁신 기록
학생들의 삶과 학습이 어우러진 미래형 공간 공개
총 106개 학교의 변화된 모습 담아…내달 4일부터 전시

  • 승인 2025-07-24 11:05
  • 김성욱 기자김성욱 기자
20250724_105337
2024 부산 교육시설공간재구조화 '별별공간' 사례집 표지./부산교육청 제공
부산시교육청이 지난 한 해 동안 추진한 교육시설 공간 재구조화 사업의 성과를 담은 사례집 '2024 부산 교육시설공간재구조화 별별공간'을 발간하고, 이를 기념하는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는 학생과 교직원 등 교육공동체가 직접 참여해 학교 공간을 미래 교육과정에 맞게 혁신한 기록들을 공유하는 자리다.

'교육시설 공간 재구조화 사업'은 학교를 단순한 학습 공간을 넘어, 학습과 놀이, 휴식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균형 잡힌 삶의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부산교육청은 지난해 총 17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고교학점제형 공간 재구조화 △교무실 개선 △독서 환경 개선 △영어교육 환경 개선 △예술교육 공간 재구조화 △학교 자율 공간 재구조화 △교육기관 공간 재구조화 등 7개 세부 사업을 추진했다. 이번 사례집에는 이 사업을 통해 변화된 총 106개 학교의 모습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사례집은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설계 과정, 디자인 워크숍, 실제 설계 및 공사 과정은 물론, 새롭게 변화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다채로운 교육 활동과 문화예술 활동의 장면들을 상세하게 소개한다.

특히, 올해는 사례집 발간과 연계해 '교육시설 공간 재구조화 사업 갤러리 전시회'도 함께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8월 4일부터 14일까지 시교육청 본관 중앙계단 로비에서 진행되며, 공간 재구조화 사업 과정을 담은 사진, 도면, 사용자 참여 활동 사진 등이 전시될 예정이다.

김석준 교육감은 "학교 공간은 학생들이 미래를 준비하며 감수성과 창의성을 키워나갈 수 있는 교육의 장이 되어야 한다"며, "앞으로도 학생 중심의 공간 혁신을 통해 융복합적이고 유연한 학교 공간을 지속적으로 조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부산교육청은 2019년부터 학교 공간 재구조화 사업을 꾸준히 추진해왔으며, 연도별 사업 완료 학교 수는 2019년 41개교, 2020년 78개교, 2021년 70개교, 2022년 105개교, 2023년 134개교, 그리고 2024년 106개교에 이른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2. "꿀 강의 10만 원에 산다"…지역 대학가 학생 간 강의 매매 성행
  3. 충남대 반도체공동연구소 착공 지연… 교육부 공모사업 난항
  4. 2026년 R&D 예산 최대 증가에 과학기술계 "환영… 연구 생태계 정상화 시그널"
  5. 대청호 상류 녹색 알갱이 둥둥…무더위에 녹조는 확산중
  1. 충남교육청 학교복합시설 '부여 반다비 국민체육센터' 건립 속도
  2. [2026 수시특집] 국립한밭대 올 수시로 2029명(95.1%) 선발… 지역인재 전형 297명
  3. 한국 민주주의의 성숙을 위한 정치적 다원주의와 지방자치
  4. "소리 대신 마음을 적다, 글씨로 세상과 잇다"
  5. 충남도, 상하이서 산학연 협력 구심점 마련… 디지털·친환경 전환 협력 가속

헤드라인 뉴스


헌정사 첫 與野 충청대표 시대…지역현안 탄력받나

헌정사 첫 與野 충청대표 시대…지역현안 탄력받나

국민의힘 새 당 대표로 충청 재선 장동혁 의원(보령서천)이 26일 선출되면서 행정수도특별법과 대전충남특별법 연내 통과 등 충청 현안 탄력이 기대된다. 장 의원의 전당대회 승리로 헌정 사상 처음으로 진보와 보수를 여야 당대표 충청 시대가 활짝 열렸기 때문이다. 장 신임 대표는 국회 도서관에서 속개된 제6차 전당대회 당 대표 결선투표에서 22만301표를 얻어 21만 7935표를 얻은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에 2366표 차로 신승했다. 이로써 장 대표는 앞으로 2년간 국민의힘 당권을 쥐게 됐다. 충청권으로선 현안 관철의 호기를 맞은..

세종 `골대 사망사고` 검찰 송치… 후속조치 어디까지?
세종 '골대 사망사고' 검찰 송치… 후속조치 어디까지?

<속보>=지난 3월 세종시 풋살장 골대 전복으로 인한 초등생 사망 사고와 관련, 시청 소속 공무원 2명이 형사 입건 돼 검찰에 송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도일보 3월 14·15·24일 연속 보도> 26일 세종시와 경찰에 따르면 지난 3월 13일 세종시 고운동 소재 근린공원 공공 풋살장에서 초등학생 A 군(11)이 숨진 사고와 관련해 세종시 시설관리사업소 팀장, 책임자 등 모두 2명이 지난 5월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돼 경찰 수사를 받았으며, 같은 달 대전지방검찰청으로 송치됐다. 현재 검찰의 수사 보완 요청에 따라 경찰이 추가..

9월 충청권 3858세대 공급된다… 전국 3만 8979세대 분양
9월 충청권 3858세대 공급된다… 전국 3만 8979세대 분양

가을 분양 성수기를 맞아 대전을 비롯한 충청권에 3858세대의 아파트가 공급된다. 전국적으로는 3만 9000여 세대가 분양에 나서면서 주택 수요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6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9월 전국 분양 아파트는 53개 단지, 총 3만 8979세대다. 지역별 공급을 보면 수도권 28개 단지(2만 5276세대)에서 분양을 앞두고 있으며, 지방은 25곳 1만3703세대가 공급에 나설 전망이다. 충청권에선 충남 2043세대, 충북 1042세대, 대전 773세대 등 3858세대가 분양에 나선다. 충남에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