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사진./영광군 제공 |
영광군에 따르면 총 11GW에 달하는 발전 설비와 80조 원의 민간자본이 투입되는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전력 생산을 넘어 군민 소득 환원, 지역 산업 전환, 기후위기 대응을 포괄하는 한국형 에너지 대전환 모델로 평가된다.
영광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전국 17개 민간 기업이 100% 민간 투자 방식으로 추진하는 초대형 에너지 사업이다. 국내 최대 해상풍력 단지로 기록될 이번 사업은 기존 중앙정부 의존형 에너지 정책과는 달리, 지방정부와 지역사회가 중심이 되는 탈중앙적, 분권형 에너지 정책의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하고 있다.
지난 2025년 3월 27일, 영광군과 참여 기업들은 '영광군 해상풍력 발전사 협의회(이하 협의회)'를 출범시켰다. 협의회는 발전이익 공유제 도입, 산업 생태계 조성, 주민과의 소통강화 등 세 가지 핵심 과제를 공동으로 수행하며, 지역과의 공생을 명문화했다.
특히 협의회는 영광군이 추진 중인 '햇빛 바람연금' 정책을 전면적으로 뒷받침하겠다는 뜻을 공식화했으며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은 발전 수익을 '햇빛 바람연금'이라는 형태로 군민에게 직접 환원하는 소득 분배 구조에 있다.
장세일 영광군수가 제안한 '햇빛 바람연금'은 해상풍력과 태양광 등 공공성 높은 지역 자원에서 발생한 이익을 주민에게 현금 또는 지역 화폐로 분배하는 구조다. 단순한 일회성 지원이 아닌, 자산 소득 기반의 연금 구조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현재 영광 앞바다에는 총 17개 해상풍력 단지가 계획돼 있으며, △운전 중 0.06GW △발전 허가 완료 4.1GW △공사 진행 중 0.36GW △계측 및 인허가 절차 중 6.9GW로 총 11GW 규모의 발전소가 차례로 추진 중이다. 이 중 낙월해상풍력 (364.8MW)은 송이도 인근 해상에 건설되고 있으며, 2027년 상반기 상업운전이 시작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안마해상풍력(주), △한화오션(주), △현대건설(주), △SK에코플랜트(주), △낙월블루하트(주), △크레도오프쇼어 등 국내 유수의 대기업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총 80조 원에 달하는 민간 투자금이 투입되며, 정부 보조금이나 국책자금이 아닌 순수 민간자본만으로 구성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다만, 발전 설비의 증가 속도보다 전력 송·변전 인프라가 미비하다는 점은 여전히 해소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현재 영광군의 전력망은 154kV급에 머물러 있어, 11GW 규모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345kV급 이상의 국가기간 송전망 확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영광군은 한국전력에 공식 건의서를 제출했으며, 한국수력원자력의 기존 원전송전망을 공유하는 방안도 협의 중이다.
영광군은 난개발을 막기 위해 송전탑 설치를 최소화하는 '대용량·집중형 설비 도입 전략'을 병행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설명회와 공청회도 지속해서 개최하고 있다.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해상풍력 발전의 장기적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 변수이기 때문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에너지 생산을 넘어 지역 산업 전체를 재편하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송전망 확충, 항만인프라 개발, O&M(운영·유지보수) 센터 구축, 지역 기업 유치 등 연계 산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되며, 장기적으로는 수천 명의 일자리 창출과 수백 개의 협력 기업 육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오는 8월 예정된 '영광형 기본소득 비전 선포식'에서는 영광군과 협의회 간 공식 업무협약(MOU) 체결이 예고돼 있다. 이 행사는 광풍(光風)연금 제도화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이며, 제도적 신뢰도를 한층 끌어올릴 전망이다.
영광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탄소 중립, 지역균형, 에너지 독립,소득 재분배라는 네 가지 국가 과제를 하나의 지역 모델로 통합한 실험이다. 바다 위에서 생산된 전기가 지역 주민의 소득이 되고, 그 수익이 다시 지역산업으로 재투자되는 선순환 구조는 향후 대한민국 지역 정책의 새로운 모델로 확장될 가능성이 크다.
영광=이승주 기자 1314191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