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 라복평야 4년째 수해…구조적 문제에 인재(人災) 논란

  • 전국
  • 부여군

부여군 라복평야 4년째 수해…구조적 문제에 인재(人災) 논란

수확 직전 물에 잠긴 수박·멜론…배수장 펌프 고장 겹쳐 농민들 ‘분통’

  • 승인 2025-07-19 14:58
  • 수정 2025-07-20 12:24
  • 신문게재 2025-07-21 13면
  • 김기태 기자김기태 기자
KakaoTalk_20250719_145347438_01
한 농부가 물에 떠 있는 오이를 살펴보고 있다.
부여군 라복평야가 7월 16∼17일 내린 폭우로 4년째 수해를 입었다. 공교롭게 라복1 배수장 펌프가 고장 나 피해가 컸다며, 하우스 재배 농가들은 "인재(人災)"라고 주장하고 있어 추후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이틀간 내린 비로 라복리뿐만 아니라 합송리, 내리, 장암면 일대 하우스가 물에 잠겨 수확을 앞둔 수박과 멜론, 오이가 상품성을 잃었다. 농민들은 4년째 수해를 겪으면서 사실상 빚더미에 오르게 됐다.

내리에서 수박 농사를 짓는 한 농가는 "남편도 하우스 일을 하다가 과로로 세상을 등졌는데, 나도 떠나고 싶다"며 울음을 터뜨려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이 농가는 A업체와 한 동당 1,100만 원에 계약을 하고 출하를 앞둔 상황에서, 이번 폭우로 1억 원이 훌쩍 넘는 돈이 날아갔다.

라복평야도 쑥대밭이 됐다. 배수로 물이 역류하면서 이 일대 하우스가 물에 잠겼다. 라복1·2 배수장에서 금강으로 물을 밀어냈지만 역부족이었다. 폭우가 그친 뒤에도 역류 현상은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하우스 내부까지 물이 차올랐다.



이유는 배수로 구조 차이에 따른 병목현상 때문이다. 백제문화단지 배수로는 직선이고 라복평야 배수로는 곡선이라 배수장에서 병목이 생겨 라복평야로 물이 역류한 것이다. 때마침 배수장 펌프 7기 중 1기(초당 2.5t 방류)가 고장 나 수리 중이었다.

KakaoTalk_20250719_145700245_02
수확을 앞둔 오이가 물에 잠긴 장면
인근에서 수박 하우스 30 여동을 짓는 박모 씨는 "펌프가 고장 나지 않았더라면 피해는 훨씬 줄었을 것"이라며 "관리 주체인 농어촌공사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장마가 일찍 끝났는데도 펌프를 제때 수리하지 않은 점에 대한 불만이 거셌다.

이에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6월 펌프가 고장 났고, 관내에 전문 수리업체가 없어 외지 업체를 어렵게 섭외해 수리 중이었다"며 "이곳은 1980년대 말 수도작 기준으로 배수장이 설치돼 이틀간 내린 폭우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해명했다. 이어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해 라복평야 인근에 추가 배수장 설치를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수확 직전 배수 펌프가 고장 난 상태에서 농민들이 막대한 피해를 입으면서, 이번 사태는 단순한 자연재해를 넘어 관리 책임을 둘러싼 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부여군 라복평야는 4년째 반복되는 수해로 인해 농민들의 피해와 시름이 누적되고 있으며, 구조적인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부여=김기태 기자 kkt05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2. 충남대 반도체공동연구소 착공 지연… 교육부 공모사업 난항
  3. 충남교육청 학교복합시설 '부여 반다비 국민체육센터' 건립 속도
  4. 한국 민주주의의 성숙을 위한 정치적 다원주의와 지방자치
  5. "소리 대신 마음을 적다, 글씨로 세상과 잇다"
  1. 충남도, 상하이서 산학연 협력 구심점 마련… 디지털·친환경 전환 협력 가속
  2. 대전 문창동서 50대 보행자 도로횡단 중 교통사고 사망
  3. [문예공론] 마음 닦고 입 닫고
  4. 충남도, 늘어나는 빈집 해결 위해 다각도 노력
  5.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헤드라인 뉴스


헌정사 첫 與野 충청대표 시대…지역현안 탄력받나

헌정사 첫 與野 충청대표 시대…지역현안 탄력받나

국민의힘 새 당 대표로 충청 재선 장동혁 의원(보령서천)이 26일 선출되면서 행정수도특별법과 대전충남특별법 연내 통과 등 충청 현안 탄력이 기대된다. 장 의원의 전당대회 승리로 헌정 사상 처음으로 진보와 보수를 여야 당대표 충청 시대가 활짝 열렸기 때문이다. 장 신임 대표는 국회 도서관에서 속개된 제6차 전당대회 당 대표 결선투표에서 22만301표를 얻어 21만 7935표를 얻은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에 2366표 차로 신승했다. 이로써 장 대표는 앞으로 2년간 국민의힘 당권을 쥐게 됐다. 충청권으로선 현안 관철의 호기를 맞은..

세종 `골대 사망사고` 검찰 송치… 후속조치 어디까지?
세종 '골대 사망사고' 검찰 송치… 후속조치 어디까지?

<속보>=지난 3월 세종시 풋살장 골대 전복으로 인한 초등생 사망 사고와 관련, 시청 소속 공무원 2명이 형사 입건 돼 검찰에 송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도일보 3월 14·15·24일 연속 보도> 26일 세종시와 경찰에 따르면 지난 3월 13일 세종시 고운동 소재 근린공원 공공 풋살장에서 초등학생 A 군(11)이 숨진 사고와 관련해 세종시 시설관리사업소 팀장, 책임자 등 모두 2명이 지난 5월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돼 경찰 수사를 받았으며, 같은 달 대전지방검찰청으로 송치됐다. 현재 검찰의 수사 보완 요청에 따라 경찰이 추가..

9월 충청권 3858세대 공급된다… 전국 3만 8979세대 분양
9월 충청권 3858세대 공급된다… 전국 3만 8979세대 분양

가을 분양 성수기를 맞아 대전을 비롯한 충청권에 3858세대의 아파트가 공급된다. 전국적으로는 3만 9000여 세대가 분양에 나서면서 주택 수요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6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9월 전국 분양 아파트는 53개 단지, 총 3만 8979세대다. 지역별 공급을 보면 수도권 28개 단지(2만 5276세대)에서 분양을 앞두고 있으며, 지방은 25곳 1만3703세대가 공급에 나설 전망이다. 충청권에선 충남 2043세대, 충북 1042세대, 대전 773세대 등 3858세대가 분양에 나선다. 충남에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