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500㎜ 폭우에 3명 사망… 충남 비 피해신고 1883건 (종합)

  • 사회/교육
  • 사건/사고

충청권 500㎜ 폭우에 3명 사망… 충남 비 피해신고 1883건 (종합)

서산과 당진서 침수로 인명사고
충북, 세종, 대전도 비 피해 속출

  • 승인 2025-07-17 17:15
  • 수정 2025-07-17 22:20
  • 신문게재 2025-07-18 1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나무 쓰러짐
16일 저녁부터 내린 폭우로 대덕구 평촌동의 한 도로에서 차량 위로 나무가 쓰러져 소방이 안전조치 중인 모습 (사진=대전소방본부 제공)
16일 밤부터 17일 오후까지 충청권에 500㎜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곳곳에서 인명사고 등 비 피해가 속출했다.

시간당 110㎜ 이상 기록적 폭우가 내린 서산에선 2명이 사망했고, 당진에서도 1명이 물에 잠겨 숨지는 등 충남에서 인명사고가 잇따랐으며, 1800건이 넘는 비 피해가 접수됐다. 세종에서는 폭우로 인해 소정면 광암교 다리가 일부 붕괴 돼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17일 충청권 4개 시·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까지 충남 지역에만 1883건, 충북 222건, 세종 48건, 대전 36건의 비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서산과 당진에서는 침수로 인한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이날 오전까지 시간당 최대 114.9㎜ 극한 호우가 쏟아진 서산에서는 2명이 숨졌다. 오전 3시 59분께 서산시 석남동 일대 도로에서 4명이 탄 차량이 침수돼 소방당국이 구조에 나섰다. 이중 심정지 상태로 발견된 60대 남성 1명은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같은 날 오전 11시 30분께 석남동 침수 지역 수색 중 80대 남성이 심정지 상태로 발견되기도 했다.



당진에서도 이날 낮 12시께 당진시장 인근 침수 주택 지하실에서 80대 남성이 숨진 채 발견됐다. 청양에선 산사태가 발생해 매몰된 주민 2명이 구조되기도 했다. 공주시 정안면에서도 배수로 정비 작업을 하던 주민 3명이 폭우에 쓸려 내려온 토사에 신체 일부가 매몰돼 중경상을 입었다.

clip20250717165951
17일 밤사이 내린 비로 충남 공주시 유구읍 마을이 침수돼 주민이 고립되거나 차량이 침수되는 피해가 발생한 모습 (사진=충남소방본부 제공)
이밖에도 주택·상가, 도로 침수, 산사태, 나무 전도 등 크고 작은 피해가 이어졌고, 충남 지역 284세대, 주민 1026명이 안전한 곳으로 대피했다.

세종에선 같은 날 오전 10시 6분께 소정면 소정2리 마을회관 근처 광암교 다리가 붕괴했고 대곡리 주민 30여 명이 대피소인 인근 식당으로 대피했다. 앞서 오전 6시께 전의면 서정리의 한 가정집에서 물이 차 주민 2명이 구조돼 마을 회관으로 대피했다. 같은 날 오전 9시께 전동면 청송리 일대 도로도 물에 잠겨 차량이 고립되면서 운전자가 자력으로 대피했다.

이날 대전에서도 호우로 인한 도로침수 등 안전조치 필요 20건, 간판 떨어짐 2건 등 호우 피해가 잇따랐다. 다행히 현재까지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기상청은 전날부터 충청권에 호우 특보를 발효한 상태다. 주요 지점 누적 강수량(16일 밤부터 17일 오전 11시 기준)은 서산 518.9㎜, 홍성 411.4㎜, 신평(당진) 376.5㎜, 아산 349.5㎜, 태안 348.5㎜, 유구(공주) 346㎜, 세종전의 344㎜, 청양 339㎜, 춘장대(서천) 333.5㎜, 원효봉(예산) 328.5㎜, 천안 319.9㎜, 부여 271.6㎜, 보령 228.4㎜, 대전 188.6㎜, 계룡산 170.5㎜, 연무(논산) 76㎜, 금산 25㎜다.


정바름·내포=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2. 충남대 반도체공동연구소 착공 지연… 교육부 공모사업 난항
  3.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4. 충남교육청 학교복합시설 '부여 반다비 국민체육센터' 건립 속도
  5.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1.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2.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3. 한국 민주주의의 성숙을 위한 정치적 다원주의와 지방자치
  4. "소리 대신 마음을 적다, 글씨로 세상과 잇다"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대전에서 도로를 횡단하던 50대가 차량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보행자 안전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인도를 걷고 차도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차량에 충돌하는 사고가 대전에서 매년 1200여 건씩 발생하고 있으며, 지난해 사망자 20명 가운데 절반은 65세 이상 노인이었다. 26일 중도일보가 한국도로교통공단을 통해 확인한 대전의 보행자 교통사고는 2023년 1335건에서 2024년 1220건으로 다소 줄었다. 이에 따른 보행자 사망자 수도 26명에서 20명으로 감소했으며 부상자 역시 1365명에서 1259명으로 줄었다. 그..

헌정사 첫 與野 충청대표 시대…지역현안 탄력받나
헌정사 첫 與野 충청대표 시대…지역현안 탄력받나

국민의힘 새 당 대표로 충청 재선 장동혁 의원(보령서천)이 26일 선출되면서 행정수도특별법과 대전충남특별법 연내 통과 등 충청 현안 탄력이 기대된다. 장 의원의 전당대회 승리로 헌정 사상 처음으로 진보와 보수를 여야 당대표 충청 시대가 활짝 열렸기 때문이다. 장 신임 대표는 국회 도서관에서 속개된 제6차 전당대회 당 대표 결선투표에서 22만301표를 얻어 21만 7935표를 얻은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에 2366표 차로 신승했다. 이로써 장 대표는 앞으로 2년간 국민의힘 당권을 쥐게 됐다. 충청권으로선 현안 관철의 호기를 맞은..

세종 `골대 사망사고` 검찰 송치… 후속조치 어디까지?
세종 '골대 사망사고' 검찰 송치… 후속조치 어디까지?

<속보>=지난 3월 세종시 풋살장 골대 전복으로 인한 초등생 사망 사고와 관련, 시청 소속 공무원 2명이 형사 입건 돼 검찰에 송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도일보 3월 14·15·24일 연속 보도> 26일 세종시와 경찰에 따르면 지난 3월 13일 세종시 고운동 소재 근린공원 공공 풋살장에서 초등학생 A 군(11)이 숨진 사고와 관련해 세종시 시설관리사업소 팀장, 책임자 등 모두 2명이 지난 5월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돼 경찰 수사를 받았으며, 같은 달 대전지방검찰청으로 송치됐다. 현재 검찰의 수사 보완 요청에 따라 경찰이 추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학사모 하늘 높이…충남대 학위수여식

  •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 코로나19 환자 증가세…재확산 조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