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2. 대전 서구 도안동 카페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2. 대전 서구 도안동 카페

대전 서구 도안동 일대 상권 카페 14곳으로 꾸준
매출 1420여만원으로 대전과 서구 전체보다 높아
여성이 남성 보다 매출 우위... 20대가 압도적 1위

  • 승인 2025-07-16 16:17
  • 신문게재 2025-07-17 8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유성구 목대 앞 상권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2. 대전 서구 도안동 카페



직장인 김 모(42) 씨는 몇 년 전부터 카페 창업을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20대 때부터 직장생활로 마련한 목돈을 통해 자금을 확보했다. 부족한 건 소상공인 대출을 통해 마련할 계획이다. 그가 카페 창업에 눈을 뜬 건 수년 전부터다. 한 책에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업종으로 창업을 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글귀를 읽고 나서부터다. 바리스타 자격증도 가진 그는 커피 머신부터 어떤 원두로 커피를 내려야 할지 자신만의 레시피가 있다. 주변 사람들에게 외국에서 공수한 원두를 선물하거나 자신의 집에서 커피를 내려 만들어줄 때 가장 큰 행복감을 느낀다. 집안 내 작은 공간을 카페처럼 꾸며 미래 자신의 창업 공간을 꿈꾸며 하루하루 행복한 나날을 지내고 있다. 프랜차이즈 카페가 즐비한 요즘, 자신만의 색을 입힌 카페를 만들고 싶어 한다. 매출은 어느 정도 나오는지, 경쟁 상대는 얼마나 있는지가 궁금하단다.



▲경쟁자는 얼마나=그가 원하는 서구 도안동 상권 내 카페 수는 2025년 4월 기준 총 14곳으로, 1년 전(15곳)보다 1곳 줄어든 상태다. 최근 1년 내 한 곳밖에 줄어들지 않았다는 건 그만큼 수요가 있다는 뜻이다. 서구 전체에서 카페가 2024년 4월 1279곳에서 2025년 4월 1197곳으로, 대전도 이 기간 4025곳에서 3878곳으로 감소한 걸 보면 해당 상권의 수요는 아직 활발하다고 볼 수 있다. 한 번 자리를 잡아 업력을 유지한다면 활력을 이끌어갈 수 있는 여력은 충분하단 뜻으로 해석된다.





▲매출은=매출은 들쭉날쭉하지만 서구 전체와 대전 전체를 놓고 봤을 땐 우위에 있다. 해당 상권 매출은 2025년 4월 기준 1432만원으로, 1년 전(1612만원)보다 줄어든 상태다. 최근 1년 내 가장 높은 매출액은 2024년 5월 1706만원이었으며, 가장 적은 매출은 2025년 2월 729만원이다. 서구 전체 매출이 2025년 4월 기준 995만원, 대전 전체는 895만원으로, 전체적인 카페 매출이 1000만원대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상권 내 매출이 이보다 높다는 건 아직 카페로 도전해볼 만하다는 뜻이다. 매출은 주중이 평균 234만원으로, 주말(132만원)보다 높았다. 주중엔 화요일이 278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월요일 277만원, 수요일 226만원, 목요일 202만원, 금요일 186만원 순이다. 주말엔 토요일이 136만원, 일요일 127만원으로 비슷했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카페 매출은 여성이 725만원으로 남성(643만원)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546만원, 50대 265만원, 30대 223만원, 40대 218만원, 10대 75만원, 60대 이상 41만원이다. 카페 특성상 오후 시간대 찾는 손님들이 많았다. 오후 2~6시가 평균 477만원의 매출을 발생시켰다. 이어 오전 12시~오후 2시 444만원, 오전 9시~낮12시 266만원, 오후 6시~11시 200만원, 오전 5~9시 40만원 순이다. 소비자들이 찾는 시간대별로 매장 오픈 시간과 마감 시간 등을 정할 수 있다. 점심 이후 커피를 마시려는 이들이 주를 이뤘다.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유동인구는 2025년 4월 기준 1만 9989명으로, 1년 전(1만 820명)보다 훌쩍 늘어났다. 매월 지속적으로 유동인구가 늘어나며 2만명대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성별로는 남성이 1만 1561명, 여성은 8428명이다. 연령대별로는 40대 4447명, 60대 이상 4011명, 50대 3975명, 30대 3336명, 20대 2695명, 10대 1525명 등이다. 주중이 2만 694명으로 주말(1만 8007명)보다 많았다. 요일별로는 주중이 2만명대로 고루 유지됐으며, 주말은 토요일 1만 9099명, 일요일은 1만 6916명이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2시~6시 4954명, 오후 6시~11시 4854명, 오전 9시~낮 12시 3249명, 오전 5~9시 2850명, 낮 12시~오후 2시 2209명, 오후 11시~오전 5시 1870명 순이다. 그의 창업에 도움이 됐길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2.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3.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4.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5.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