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작가 선정

  • 정치/행정
  • 대전

제23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임송자 작가 선정

15일 이동훈기념사업회 이동훈 미술상 심사
30~50대 특별상에는 김은희, 정의철 작가 선정

  • 승인 2025-07-15 15:33
  • 수정 2025-07-15 16:44
  • 신문게재 2025-07-16 1면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KakaoTalk_20250715_105451113
7월 15일 중도일보 4층 대회의실에서 제23회 이동훈미술상 심사가 열렸다./사진=최화진 기자
충청을 대표하는 미술상인 제23회 이동훈 미술상 본상 수상자로 임송자 원로 조각가가 선정됐다.

이동훈기념사업회는 15일 중도일보 4층 대회의실에서 진행한 제23회 이동훈미술상 수상 작가 심사 결과, 본상에 임 작가, 특별상에 김은희, 정의철 작가를 각각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동훈 미술상은 대전·충청 미술의 토대를 다진 고 이동훈 화백의 예술정신을 기리고자 2003년 제정됐다. 대전시와 이동훈기념사업회가 공동 주최하며, 중도일보와 대전시립미술관이 주관한다.

본상은 한국 근·현대미술에 큰 업적을 남긴 원로 작가에게, 특별상은 대전·충청권 30~50대 중견 작가에게 수여된다.



올해 심사는 이종환 상미술회장, 김춘일 한국미술영재연구소장, 전준 서울대 명예교수, 황순규 한국미술협회 부이사장, 나윤찬 상미술회 부회장, 유근영 홍익대 대학원 교수, 정장직 대한창조미술협회 고문, 박진성 중도일보 문화사업국장 등 8명이 맡았다.

common
임송자 작가
본상 수상자인 임 작가는 서울 출생으로 서울대 미대 조소과와 로마미술아카데미 조소과를 졸업했다. 1969년부터 현재까지 '산 자코모 화랑' 등 4회 개인전과 '한국현대미술대전', '아시아국제미술전' 등 23회 단체전에 참여했다. 1986년부터 20년간 중앙대 조소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제4회 가톨릭미술상(1999), 제14회 김세중조각상(2000), 이중섭미술상(2004)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청주시립미술관 등에 소장돼 있다.

최종태 대한민국예술원 고문은 추천서에서 "서구 인물 조각의 정통을 전수받아 한국 조각계에 구상조각의 새 바람을 일으켰다"고 평가했다.

KakaoTalk_20250715_134432965
15일 중도일보 4층 대회의실에서 제23회 이동훈미술상 심사가 열렸다./사진=최화진 기자
KakaoTalk_20250715_154536137
김은희 작가
특별상 수상자 김은희 작가는 한남대 미술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화를 전공했다. 2003년부터 한남대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채색화, 힙트래디션', '그린으로 그리다' 등 개인전 16회를 포함해 국내외 전시에 380여 회 참여했다. 현재 한채색연구소 대표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전지역문화협력위원회 위원, 대전미술대전 운영위원 등을 역임했다.

KakaoTalk_20250715_155439063
정의철 작가
또 다른 특별상 수상자인 정의철 작가는 배재대 서양화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러시아 이르쿠츠크 미술학교를 수료했다. '상실된 한국인의 혼돈스러운 상황', '낯설다' 등을 주제로 22회의 개인전과 45회의 단체전에 참여했으며,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전남도립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등에 소장돼 있다.

이종학 심사위원장은 "수상자들의 작품은 탁월한 예술성과 함께 세밀하고 꼼꼼한 완성도가 돋보였다"고 평했다.

한편, 제23회 이동훈 미술상 수상 작가 시상식은 9월 17일 대전시립미술관에서 열릴 예정이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4.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5.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