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7월분 재산세 4098억 원 부과…전년 대비 86억 원 증가

  • 전국
  • 부산/영남

부산시, 7월분 재산세 4098억 원 부과…전년 대비 86억 원 증가

주택, 건축물, 선박, 항공기 대상 183만 건 부과 완료
개별주택 공시가격 및 건축물 신축가격 기준액 상승 등이 주요 증가 원인

  • 승인 2025-07-15 09:31
  • 김성욱 기자김성욱 기자
부산시청 전경3
부산시청 전경./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올해 7월분 재산세(지역자원시설세 및 지방교육세 포함) 183만 건, 총 4098억 원을 부과·고지했다고 밝혔다.

이번 7월분 재산세는 주택, 건축물, 선박 및 항공기에 대해 부과되며, 이는 지난해 대비 86억 원(2.2%) 증가한 규모다.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토지, 주택, 건축물, 선박, 항공기를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된다. 주택분 재산세는 7월과 9월에 각각 50%씩 나눠 부과되며, 건축물·선박·항공기는 7월에만, 토지는 9월에만 부과된다.

이번 7월분 재산세 증가의 주요 원인은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하락(1.67%)했으나, △개별주택 공시가격 상승(1.47%) △건축물 신축가격 기준액 상승(2.4%) △대단지 공동주택·오피스텔 및 대형 건축물 신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1세대 1주택자의 세 부담 완화를 위해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공시가격 3억 원 이하는 43%, 3억 원 초과 6억 원 이하는 44%, 6억 원 초과는 45%가 적용됐다.

구·군별 부과 현황을 살펴보면 해운대구가 783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강서구 453억 원, 부산진구 391억 원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적은 구는 영도구(69억 원), 중구(92억 원), 서구(108억 원) 순이다.

7월분 재산세 고지서를 받은 납세자는 오는 16일부터 31일까지 납부해야 한다. 납부 기한을 넘길 경우 3%의 납부지연가산세가 추가로 부과되니 유의해야 한다.

시는 시민들이 편리하게 재산세를 납부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 앱(스마트 위택스) △인터넷지로 △위택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납부 전용(가상) 계좌 이체 △자동응답시스템 △은행 자동화기기(ATM) △카카오페이 등을 통해서도 납부할 수 있다. 특히, 전자고지 및 계좌 자동이체를 이용하면 세액공제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

신종배 시 세정운영담당관은 "재산세는 기초자치단체의 자주재원으로 구·군의 공공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소중한 재원"이라며, "공공서비스 확대를 위해 납부 기한 내에 재산세를 꼭 납부해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4.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5.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