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생의 시네레터] 비극적 공포와 사회적 정황 '노이즈'

  • 오피니언
  • 김선생의 시네레터

[김선생의 시네레터] 비극적 공포와 사회적 정황 '노이즈'

김대중 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 승인 2025-07-10 17:05
  • 신문게재 2025-07-11 10면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KakaoTalk_20250709_150647649
영화 '노이즈' 포스터.
공포는 어디서 오는 걸까요? 이 영화는 그걸 예리하게 포착해서 끈질기게 캐들어갑니다. 사람이 사라졌는데 어디로 갔는지, 어떻게 됐는지 모릅니다. 심각하고 예민한 문제일수록 사람들에게는 경원의 대상이 됩니다. 같은 아파트에서 벌어졌고, 이전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음에도 재건축과 관련한 경제적 손해에 대한 우려가 더 크고 비정하게 작동합니다.

이 영화가 그러하듯 한국 공포 영화의 많은 경우는 사회적 정황과 관련됩니다. 외국의 공포 영화들이 대체로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사는 동네가 아니라 외딴 성이나 숲, 섬 등 특별한 장소에서 벌어지는 일을 다루는 것과 다릅니다. 역대 한국 최고 영화로 꼽히는 김기덕의 <하녀>(1960)가 끼친 영향이 큽니다. 근대적 도시화 상황 속에 이전에 경험한 적 없는 사회경제적 계층 차이, 비인간화, 관계와 소통의 단절에 따른 소외, 피해의식 등이 공포의 요인이 됩니다.

영화는 근대 건축의 상징과도 같은 아파트와 관련한 이기심, 소외, 트라우마를 다룬다는 점에서 <콘크리트 유토피아>(2023)와 유사한 정황이 있습니다. 젊은 미혼 자매가 겪는 공포라는 점에서 <장화, 홍련>(2003)을 닮았고, 아파트 지하실을 미스터리와 공포의 공간으로 다룬다는 면에서 <플란다스의 개>(2000), 어린아이가 의심스러운 공간을 유심히 들여다보는 장면에서 <살인의 추억>(2003)을 떠올리게 합니다. 정인이 주영을 공격할 때 들고 있는 장도리에서 <올드보이>(2003), 샤워실은 아니지만 세면대의 구멍을 클로즈업한 장면에서는 히치콕의 고전 스릴러 <싸이코>(1960)가 생각납니다.

이 영화는 여러 유명 장면을 영리하게 끌어다 쓰지만 가장 특징적으로는 공포의 심리를 소리와 연관 짓습니다. 아파트 층간 소음이라는 물리적 현상이 어떻게 사람의 심리에 작동하여 피해의식과 혐오, 공격 행동으로 나타나도록 하는지 관객들은 영화 속 인물들과 사건, 내러티브의 진행을 통해 절실하게 경험합니다. 또한 소리와 공포의 심리가 연관되는 상황을 공간과 밀착시킴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마치 일이 벌어지는 그곳에 있는 듯한 느낌이 들도록 만듭니다.



영화가 보여주는 공포의 근저에 소통의 단절과 관계의 소멸이 있다는 것은 실로 비감한 일입니다. 실상 층간 소음이란 것이 물리적 현상 이전에 인간 존재의 근거라는 점에서 이 영화를 더욱 비극적으로 느끼게 합니다. 그곳에 나와 같은 인간이 살고 있고, 소중한 가족과 삶의 이야기가 있다는 것. 주영이 말미에 이르러 만난 공감의 진실이 큰 슬픔으로 다가옵니다.

김대중 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AIST 장영재 교수 1조 원 규모 '피지컬 AI' 국책사업 연구 총괄 맡아
  2. 건양대, 'K-국방산업 선도' 글로컬 대학 비전선포식
  3.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4.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5. 2027년 폐교 대전성천초 '특수학교' 전환 필요 목소리 나와
  1. 충남도 "도내 첫 글로컬대학 건양대 전폭 지원"
  2. 충남도 ‘베트남 경제문화 수도’와 교류 물꼬
  3. '디지털 정보 문해교육 선두주자' 충남평생교육인재육성진흥원, 교육부 장관상 수상
  4. 충남대-하이퐁의약학대학 ‘글로벌센터’ 첫 졸업생 배출
  5. 국내 3대 석유화학산업단지 충남 서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헤드라인 뉴스


국가상징구역 공모 착수… 지역사회 일제히 "환영"

국가상징구역 공모 착수… 지역사회 일제히 "환영"

행정수도 세종의 밑그림이 될 '국가상징구역' 건립이 본격화되면서 대한민국 국가균형 발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을 포함한 국가상징구역 국제설계 공모착수 소식에 지역사회는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세종시(시장 최민호)는 8월 29일 논평을 통해 "국가상징구역 마스터플랜 공모 시작은 대통령 세종집무실 임기 내 완공 첫발을 내디딘 것"이라며 평가하면서 "그동안 시가 조속한 건립을 지속적으로 건의해 온 데 대한 정부의 호응이자, 행정수도 완성을 향한 확고한 의지의 표현"이라고 밝혔다. 시는 그간..

예술과 만난 한글…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9월 1일 개막
예술과 만난 한글…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9월 1일 개막

세계 유일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가 9월 1일 한글문화도시 세종시에서 화려한 막을 올린다. 세종시(시장 최민호)와 세종시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박영국)은 9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 42일간 조치원 1927아트센터, 산일제사 등 조치원 일원에서 '2025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그리는 말, 이어진 삶'을 주제로 열리는 한글 비엔날레 기간에는 한글의 가치를 예술, 과학, 기술 등과 접목한 실험적인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한국, 영국, 우루과이, 싱가포르 등 4개국의 39명 작가가 참여해 한글..

특검, 김건희 `영부인 첫` 구속기소… 헌정최초 전직 대통령부부 동시재판
특검, 김건희 '영부인 첫' 구속기소… 헌정최초 전직 대통령부부 동시재판

김건희 여사가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로 29일 구속기소됐다. 전직 영부인이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헌정사상 역대 대통령 부부가 동시에 구속 상태로 재판받는 것도 처음 있는 일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앞서 내란 특검에 구속기소 돼 재판받고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특검은 오늘 오전 김건희씨를 자본시장법 위반, 정치자금법 위반,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로 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이 7월 2일 수사를 개시한 지 59일 만이다. 김 여사에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