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년 및 신혼부부 지원금 현황<제공=하동군> |
단순한 일회성 지원을 넘어 개인의 생애주기에 따라 섬세하게 설계된 정책들로 '청년이 원하는 대로 하동', '낳기만 하면 키워주는 하동'이라는 도시브랜드를 만들어가고 있다.
군은 청년, 결혼 후 혼인신고 여부, 자녀 출생아 수에 따라 연간 최대 지원금을 차등 지급한다.
청년 1인 가구 270만 원, 결혼 후 혼인신고 한 경우 530만 원, 자녀 1명 출산 시 2120만 원, 자녀 2명 4190만 원, 자녀 3명 4310만 원을 지원한다.
청년 1인 가구와 비교했을 때 자녀 3명 가구의 지원금은 약 16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청년이 지역에 정착하기 위해 가장 먼저 마주하는 장벽인 주거 문제 해소를 위해 '하동형 청년 주거비 지원사업'을 시행 중이다.
만 19세~45세 청년을 대상으로 월세 또는 주거 관련 대출이자의 50%를 최대 월 20만 원까지 지원한다.
'청년 여가활동비 지원사업'은 역량 강화, 문화·여가 생활, 교통비에 대한 활동비를 1인당 연간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한다.
결혼장려금은 부부 중 한 명이 혼인신고일 전 1년 이상 하동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으면 총 600만 원을 3년간 200만 원씩 분할 지급한다.
신혼부부 주거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은 혼인신고 7년 이내의 부부를 대상으로 연간 최대 300만 원까지 지원한다.
출산장려금은 경남 최고 수준으로 첫째아 24개월 동안 440만 원, 둘째아 60개월 동안 1100만 원, 셋째아 60개월 동안 1700만 원, 넷째아 이상 3000만 원이 매월 분할 지급된다.
둘째아 이상 영유아 양육수당도 매월 10만 원씩 72개월간 지원받을 수 있다.
2025년 인구정책 하동군민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자녀 출산 계획이 없는 주된 원인을 경제적 부담(38%)으로 꼽았다.
응답자의 49%는 임신·출산 지원에 가장 필요하고 효과적인 정책으로 '현금 지원 정책'을 선택했다.
군 관계자는 "청년들이 하동에서 안정적인 가정을 꾸리고 아이를 낳아 기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생애주기에 맞춰 '낳기만 하면 키워주는 하동'의 지원 정책을 꾸준히 지원해 결혼·임신·출산 친화 도시로 발전하겠다"고 말했다.
파격적 현금 지원이 실제 출산율 향상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중장기 성과 평가와 함께 지속 가능한 재정 운영 방안 마련이 관건이다.
돈으로 사랑을 살 수는 없지만 사랑이 자랄 터전은 만들 수 있다.
하동의 선택은 미래에 대한 투자다.
하동=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