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시청 전경<제공=창원시> |
시는 지난 3일, 3대 전략과 28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된 'AI 행정혁신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향후 3년간 총 45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AI로 여는 시민 스마트 일상', '첨단 지능형 안전도시망 강화', '혁신 DNA, AI 행정 내재화'를 핵심 축으로 한다.
행정 편의 향상과 도시 안전망 구축, 공직 내 AI 활용 문화 정착을 종합 목표로 삼는다.
시민 일상에는 챗봇 기반의 '창원톡', AI 당직 전문관, 상하수도 민원 콜봇 등 비대면 민원 체계가 확대된다.
노인과 장애인, 외국인 등에게는 'AI 간호사' 전화 돌봄, 스마트 플러그를 통한 안부 확인, 다국어 소통 서비스가 제공된다.
AI 정보화 교육도 본격화되며, 시민 대상 기초과정부터 교사·대학생 대상 생성형 AI 활용 교육까지 계층별 맞춤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생활안전과 재난 대응도 AI가 전면에 나선다.
지능형 CCTV, 아동 안전 플랫폼, 산불 감지 시스템, 디지털 화재경보장치 등 도시 전반에 실시간 분석·대응 체계가 도입된다.
또한 축제·행사장에는 인파관리시스템과 드론 모니터링이 활용돼 군중 밀집과 사고 예방을 지원한다.
시 내부에는 AI 업무비서와 RPA 기반 자동화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으며, 향후 행정용 초거대 AI 공통플랫폼과 벡터 DB 구축 등도 진행될 예정이다.
AI 실무 경진대회, 직원용 업무 챗봇, 게시판 운영 등을 통해 행정조직 내 AI 활용 문화 확산도 병행된다.
다만, 사업별 기술 도입이 '스마트'에 머물지 않고, 정책 간 연계성과 예산 효율성까지 담보할 수 있을지는 지켜볼 부분이다.
AI는 도구일 뿐이며, 그 철학은 데이터를 향한 시선에서 출발해야 한다.
행정은 바뀌었다고 말하지만, 시민은 느낄 수 있을 때만 변화라 부른다.
스마트는 기술이 아니라, 삶의 온기를 덜어내는 방식이어야 한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