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제218편 위효불관(爲孝佛寬)

  • 오피니언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제218편 위효불관(爲孝佛寬)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5-07-01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218편 위효불관(爲孝佛寬) : 효도(孝道)를 위한 길은 부처님도 용서한다.

글 자 : 爲(할 위), 孝(효도 효), 佛(부처 불/ 석가모니), 寬(용서할 관/ 너그럽다).

출 처 : 佛敎大事典(불교대사전) 韓國의 故事成語(한국의 고사성어)

비 유 : 효도(孝道)는 그 어떤 일보다 큰 덕목이라는 것을 강조한 말.



요즈음 우리의 미풍양속(美風良俗)이 점점 사라져가는 현실을 보고 있자니 매우 안타까운 심정을 금할 길이 없다. 곧 충(忠), 효(孝), 예(禮)의 숭고한 전통의 미풍양속이 서서히 우리의 생각에 멀어져 가는 듯한 느낌이다.

충, 효, 예는 한 때 나라를 지키는 호국사상이기도 했고,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공로는 법(法)을 지키는 일보다 더 진실했다. 이는 옛적으로부터 우리와 함께 존재해왔던 국민의 정신(精神)이자 문화(文化)의 기반이었던 것이다.

특히 효(孝)는 조직구성의 가장 작고 기본단위인 가정(家庭)으로 부터 시작된 것이다.

이는 국가를 보위하는 충(忠)의 근본이 되고,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법(法)의 근간이기도 하다.

또한, 효(孝)는 삼국유사 등의 기록을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매우 중시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정조의 명으로 편찬된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에도 효를 중시하는 내용들이 수록되어있다. 다만 조선시대에는 본격적인 봉건적 중앙집권국가로 바뀌면서 근본이념에서 충(忠)보다 한 단계 하락하는 처지가 되기는 했지만, 나라의 근간된 사상이었던 것 또한 부인 할 수 없는 사실이다.

"Honer your father and mother(네 부모를 공경하라)." 이는 성경(聖經/출애굽기 20:12)에 나오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인간에게 주신 십계명 중 5번째 계명이다. 자녀는 부모에게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품고, 잘 돌보아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효도를 위한 일은 부처님도 용서한다. 이는 고려시대의 효자 석주(釋珠)스님의 고사에서 유래했다. 효도는 그 어떤 일보다 큰 덕목이라는 것을 강조한 말이다.(불교대사전(佛敎大辭典)

석주(釋珠./1146~1183)는 고려 제11대 문종(文宗. 1019~1083) 때 스님으로 효성이 지극했다. 그는 불심이 두터워서 입산한 것이 아니라 가정 형편이 너무나 어려워서 호구지책(糊口之策)으로 집을 떠나 입산하게 되었다. 그는 동자승(童子僧) 시절, 생전의 부모님 모습을 떨칠 수가 없었다. 그럴 때마다 부처님에 대한 믿음이 강해지면 괜찮아지겠지, 하고 더욱 더 불경 공부에 매진했다. 그런데 날이 갈수록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은 더해만 갔다. 하여 그리움을 잊기 위해 부모님의 모습을 나무에 조각하기 시작했다. 조각에 대해 아무런 지식이 없는 그였지만 일심으로 정성을 다해 부모님의 형상을 만들어 갔다. 그는 처음 얼굴을 조각할 때 코는 크게 해서 다듬어 들어가고, 눈은 적게 해서 점점 섬세하게 다듬어서 드디어 부모의 모습을 재현 해냈다. 그리고 평소 부모님이 즐겨 입으시던 옷 색깔로 채색하였다. 그는 완성된 부모님 조각상을 자기의 방 선반 위에 따로 모셔놓고 마치 살아계신 부모님을 대하듯 정성껏 배례했다. 그러던 어느 날, 큰스님이 찾아와 말했다.

"너는 속세의 인연을 끊고 석가에게 귀의한 비구가 아니냐? 그런데 돌아가신 부모님을 그토록 못 잊어 하니 안타깝도다. 그 지극한 효심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불제자는 부처님께 정성을 바치는 일이 더 우선되어야 하느니라."

"스님, 저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 마음속에 게시는 부모님을 어떻게 내쫓는단 말입니까? 벌써 20여 년이 지났지만 부모님의 모습이 하루도 잊히는 일이 없었습니다. 근자에는 더욱 사무쳐 미쳐버릴 것만 같습니다. 그래서 부모님 상을 새겨 문안을 드리고 배례를 했더니 마음이 조금씩 안정되는 듯합니다. 저도 부처님을 모시는 절에서 부모님의 형상을 모시는 것이 옳지 않다고 생각되어 어찌해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허허! 후한(後漢)시대의 정란(丁蘭)이라는 사람도 너처럼 부모의 상을 새겨서 모셔놓고 조석으로 문안드리고, 밖에 나갈 때에는 '어디에 다녀오겠습니다'하고 또 돌아왔을 때에는 '다녀왔습니다' 하고 문안을 드렸느니라. 그런데 그의 아내는 남편의 그런 모습이 영 싫어서 남편이 없을 때 바늘로 그 시아버지 상의 손가락을 찌르니 피가 흘렀다고 한다. 그런 그날 밤, 정란의 꿈에 아버지가 나타나 그날 낮에 있었던 아내의 소행을 일러 주었단다. 그래서 화가 난 정란은 자기 아내를 내좇아 버렸는데 사람들은 그런 정란을 일러 하늘이 낸 효자라고 했다. 너 또한 그에 못지않은 효자로구나, 이제부터는 매년 기일에 맞추어 추모하되 부처님을 섬기는 일 또한 소홀함이 없도록 하여라!"

"예, 잘 알겠습니다."

석주는 스님의 말씀대로 산 너머에 초당을 짓고 부모님의 상을 모신 다음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고 나면 초당으로 달려가 부모님께도 문안을 드렸다. 석주의 이 같은 효심은 마침내 문종에게까지 알려졌다.

"오, 갸륵한지고. 석주의 효가 정란의 효에 뒤지지 않는도다."

문종은 석주에게 후한 상을 내리고 칭찬했다. 그 후부터 문종은 죄인에게도 부모가 있을 시에는 형을 면케 하여 부모를 봉양케 해주었다.

효(孝)에 관한 가르침은 고전(古傳) 여러 곳에서 교훈으로 제시되어 있고, 우리나라 에서는 전래설화(說話)나 소설(小說) 등으로 많은 효자(孝子), 효녀(孝女)의 이야기가 전(傳)해지고 있다.

이 시대 자기만 알고 부모를 등한시하는 풍조나 날마다 접하는 범죄, 이 모든 것이 선조들의 소중한 유산을 멀리하는 탓 아닐까?

우리의 소중한 정신적 문화가 점점 사라지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선조들의 미풍양속이 계승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장상현/전 인문학 교수

장상현 교수님-수정
장상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7차 지역정책포럼
  1.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2.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3.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4.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5.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