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중소기업 연체율 역대 최고 1%대 초과... 눈덩이 23조 채무부담 어쩌나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대전 중소기업 연체율 역대 최고 1%대 초과... 눈덩이 23조 채무부담 어쩌나

대전 중소기업 연체율 4월 기준 1.01%로 역대 최고치
자금 여력 부족한 기업 많단 뜻... 연체상승 가능성도

  • 승인 2025-07-01 16:30
  • 신문게재 2025-07-02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머리야
대전 중소기업들의 부채 상환 능력에 비상등이 켜졌다. 기업들이 은행에 빌린 돈을 갚지 못하며 연체율이 1%대를 초과한 건 이번이 처음인데, 대출 총액도 역대 최고치로 불어나 23조원을 넘어섰다. 원리금 상환을 못하는 이들이 많아 내수 중심 중소기업이 많은 대전 특성상 지역 경제 침체 상황까지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4월 기준 대전 중소기업이 시중은행에서 빌린 대출액은 총 23조 2011억원으로, 1년 전(21조 9533억원)보다 1조 2478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4월 대출 잔액은 한은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9년 12월 이후 최고치다. 매월 지속적으로 상승하던 대전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2024년 11월 22조 9523억원에서 12월 22조 7729억원으로 한 차례 감소한 뒤 4개월 매월 상승하며 23조원을 넘어섰다. 1월부터 4월까지 불어난 금액만 4282억원이다.

문제는 불어난 금액만큼 갚지 못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는 점이다. 대전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4월 1.01%로 사상 처음으로 1%대를 돌파했다. 한은이 지역 연체율을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연체가 급증했다. 연체율은 2025년 2월 0.97%를 나타내며 최고점을 기록한 뒤 두 달 만에 1%를 넘으며 기록을 갈아치웠다. 코로나19로 내수경기가 쪼그라들었던 2020년 2월 0.72%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전국 평균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이 0.83%인 것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대출 연체율이 급증했다는 건 그만큼 자금 여력이 녹록지 않는다는 걸 뜻한다. 원리금을 제때 상환하지 못하는 데는 물가와 원자재 가격 인상 이후 내수 경기 침체로 매출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1%대를 넘어선 대출 연체율이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제조업이 대부분은 지역 특성상 매출이 잘 나와야 이익이 생기고, 이를 바탕으로 대출을 갚을 수 있는데 관련 지수가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전 제조업의 업황 지수는 6월 기준 65로, 5월(72)보다 7포인트 빠졌다. 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으면 긍정적으로 답한 이들이 많음을, 이하면 그 반대다. 제조업 매출 지수도 이 기간 78에서 70으로 8포인트 감소했고, 생산지수도 80에서 76으로 4포인트 내려앉았다. 매출·생산 지수가 동시에 빠졌다는 건 그만큼 제조업이 피부로 느끼는 경영 상태가 좋지 않음을 의미한다. 자금사정지수도 68에서 70으로 2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으며 원자재구입가격지수는 6월 117로 기준치를 훌쩍 넘어섰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연체율 상승은 한계에 몰린 기업이 많아진 것과 같다"며 "경기 회복이 이뤄져야 숨통이 트이는 이들이 많을텐데, 어려운 경기 상황에 이런 기조는 당분간 이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3.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4.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5.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1.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2.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3.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4.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5.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헤드라인 뉴스


대전 7月 인구 순이동률 0.9% 전국 1위… 살기좋은 도시 입증

대전 7月 인구 순이동률 0.9% 전국 1위… 살기좋은 도시 입증

대전이 지난달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인구 순이동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충북이었고 충남 역시 높은 인구 순이동률을 보였다. 다만, 충청권 4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세종만 전입자보다 전출자 수가 많아 인구 순이동률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는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7월 국내인구이동통계'에서 시도별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이동을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대전시는 지난달 총전입 1만 9473명, 총전출 1만 8429명으로 순유입 1044명을 기록했다. 순이동률 0.9%인데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전국에서 대전이..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