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이재명 대통령 실용주의 해법은

  • 전국
  • 부산/영남

[기자수첩]이재명 대통령 실용주의 해법은

‘대미투자기업 경영진마저 미국 못 간다?’

  • 승인 2025-06-30 17:18
  • 수정 2025-07-01 11:07
  • 김시훈 기자김시훈 기자
김시훈
경북본부 김시훈 기자
'성공한 쿠데타는 처벌할 수가 없다'라는 발언이 최근 들어 재 거론되며 확산이 되고 있다. 그 연유가 무엇일까?

이 말은 지난 1995년 문민정부 때 검찰에 고발된 신군부 관련 인사들이 내란죄로 기소되면서였다.

당시 서울지검 부장검사는 신군부 인물들을 불기소처분하면서 '성공한 쿠데타는 처벌할 수가 없다'라는 말을 했다고 알려져 있다.

'성공한 쿠데타는 처벌할 수가 없다'라는 말은 오늘날 국제사회의 각종 문리적 행사에 합리성을 부여받게 된 신개념의 商用語가 됐다.



예컨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사태나 △미국의 이란핵시설 폭격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사태들은 국내적 문제가 아니라 국제사회에서 진영 간 행위 주체에 대한 책임이나 문책론이 묵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6.3 대선과정에 외세가 개입된 부정선거였다는 蓋然性이 주장되고 있으나 실제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결과에 그 어떤 영향력도 미치질 못한 사례다.

우리 시간 26일 미국 워싱턴에서는 국제 선거 감시 단(민간기구) 주체로 교민과 국내 인사가 참여한 가운데 대한민국 부정선거 고발이 이어지는 행사가 열려 지구촌을 뜨겁게 달궜다.

이재명 대통령으로서는 미국에서 들불처럼 확산하고 있는 일련의 사태에 대해 상응하는 反論을 펼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부정선거 논쟁이 진영 간 이념논쟁이란 차원임을 차지하고 이 대통령의 경우 이 문제를 '獨立국가에 대한 內政干涉'이란 주장으로 맞설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대통령취임 한 달도 안 된 시점에 대한민국과 미국과의 관계가 이같이 엇박자를 내며 최악의 사태로 치닫고 있다는 사실이다.

현재 우리 기업들은 미국 현지에 거액투자사업을 벌여 놓고도 과거와 달리 기업 경영진마저 자유로이 오 갈 수가 없는 국면이 전개되고 있다는 이야기다.

이는 곧 새 정부 들어 대미 관계가 극히 악화 되면서 우리 경제계는 물론 사회 제 분야가 수렁 속에 빠져들고 있다는 징조로 해석된다.

직설하면 지난 2023년 GDP 기준 세계경제순위 13위의 나라 대한민국이 지금 깊이조차 가늠치 못할 바닥으로 추락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결과는 국제사회의 진영 간 이념 갈등의 일환이며 그 결과는 외교적 마찰에 이어 物理的 행사 즉 신개념의 징벌이란 쿠데타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재명 정부가 미국과 등을 진 채 언제까지 버틸 수가 있을지가 의문인바 이는 곧 국가의 명운이 걸려 있는 중차대한 사안이다.

대선 당시 이 대통령은 국민에게 말했었다. "국민이 밥을 먹고 사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는 빨강 색이던 파랑 색이던 색깔론에 무슨 문제가 있느냐"고 말이다.

또 "부국강성의 나라를 만드는 일에 정치적 진영이나 이념 따위가 무슨 대수 이겠느냐"라고 말이다.

대통령의 유세 당시의 그 공약 발언이 유효하다면 이제라도 대통령은 實用主義 노선을 찾아야만 한다. 좋던 싫던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도 만나야 한다.

이는 곧 이 대한민국의 존망과 직결된 해법의 키(협치)를 대통령이 쥐고 있기 때문이다.

정황이 급 박 한 상황에서도 일탈 된 정치권, 특히 보수로 불리는 국민의힘 지도부는 당권경쟁의 추장놀음에 도끼 자루가 썩어가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듯 보인다.

그동안 두 번씩이나 보수진영 국민이 지지기회를 줬음에도 불구하고 정권을 지키기는커녕 치졸한 당권경쟁으로 두 명의 대통령을 줄 탄핵 시키며 국민의 信義를 져 버렸기 때문이다.

대세가 기울고 세상이 바뀌었다면 부질없는 我執을 버려야 하며 자신들의 무능과 패배를 인정할 줄 아는 겸허의 자세도 배워야 한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쪽박을 찬 와중에도 여당과의 협치나 제1야당으로서의 역할은커녕 특정인 몇 사람을 축으로 패를 갈라 敗者 復活의 당권쟁취의 경쟁을 벌이는 등 자가당착의 모순 속에 빠져 있다.

TK 지역에서의 '국민의힘은 국민에게 힘은커녕 국민 허리를 휘어지게 만드는 등짐'이라는 지적이 결코 過言이 아니라는 점이다.


구미=김시훈 기자 silim5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