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준공 후 미분양 늘어나는데 충청권은 소폭 '감소'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전국 준공 후 미분양 늘어나는데 충청권은 소폭 '감소'

국토부 5월 주택통계 결과 발표
전국 준공 후(악성) 미분양 11년 11개월만 최대
대전 일반 미분양주택 감소율 전국서 가장 높아
지방 미분양 해소 시급… "장기적 대책 마련 필요"

  • 승인 2025-06-30 16:36
  • 신문게재 2025-07-01 5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2025년 5월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2025년 5월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사진=국토부 제공.
전국적으로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5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5월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7013세대로 전월보다 2.2%(591세대) 늘었다. 이는 2013년 6월(2만 7194세대) 이후 11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다. 준공 후 미분양은 2023년 8월부터 2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준공 후 미분양은 지방에서 두드러졌다. 2만 2397세대로 83% 비율에 달했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가 3844세대로 가장 많았고, 경북(3357세대), 경남(3121세대), 부산(2596세대)이 뒤를 이었다. 5월엔 전북(312세대)에서 악성 미분양이 대거 신규로 발생했다.

충청권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먼저 대전은 530세대로 전월(533세대)보다 3세대 줄었고, 충남은 1272세대로 전월(1328세대)보다 56세대 줄어들었다. 수치로 보면 4.2% 감소했다. 충북은 9세대 줄어든 550세대로 집계됐고, 세종은 58세대로 전국에서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가장 적었다. 전국적으로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늘어나는 반면, 일반 미분양 주택은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5월 미분양 주택은 6만 6678세대로 전월보다 1.6%(1115세대) 줄었다. 수도권 미분양(1만 5306세대)이 3.8%, 지방(5만 1372세대)은 1.0% 각각 줄었다.



대전은 5월 미분양 주택이 1794세대로 전월(2105세대)보다 311세대 줄었다. 이는 14.8% 줄어든 수치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감소율을 기록했다. 충남은 1.9% 줄어든 4724세대, 충북은 6.6% 줄어든 2042세대로 집계됐다. 미분양은 건설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는 원인이 되는 만큼, 다주택자 세제 완화, 미분양 주택에 대한 취득세·보유세 경감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업계 관계자는 "미분양 주택의 근본적인 문제는 단기적인 대책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렵다"며 " 단순히 일률적인 대책을 지방에 적용하는 게 아니라 지역 시장의 구조적 요인과 정책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거점국립대 첫 여성총장… 미래인재 육성·교육 균형발전 기대
  2. [사건사고]물놀이 50대 다이빙 후 하반신 마비호소…교통사고 70대 운전자 사망
  3.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4.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5. 갑천 국가습지 보전대책 본격화…교란식물 제거·울타리 설치
  1.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2.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7차 지역정책포럼
  3.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4.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5.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헤드라인 뉴스


일제시대 보문산별장 복원… 한·일교류 상징시설 될까

일제시대 보문산별장 복원… 한·일교류 상징시설 될까

일본인이 조선의 온돌과 일본의 다다미를 결합해 보문산에 지은 별장의 복원 공사가 완료됐다. 별장 주변에 나무를 심어 조경 복원만 남겨두었으며, 쓰지 만타로의 아들이면서 대전에서 나고 자란 쓰지 아츠시(87) 씨의 바람대로 일본과 한국 교류의 상징이면서 시민 휴식시설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전시 공원관리사업소는 보문산 야외음악당에 오르는 길목에 있는 쓰지 만타로(1909~1983)가 지은 근대식 별장의 복원을 최근 마쳤다고 밝혔다. 보문산 중턱에 정남향으로 세워진 2층 건물로 현관과 햇볕 잘 드는 테라스를 겸한 복도, 침실 1·..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대전시 스포츠 마케팅 매력에 `흠뻑`
대전시 스포츠 마케팅 매력에 '흠뻑'

지역 연고 프로야구단인 한화이글스의 성적과 인기가 치솟으면서 대전시가 이를 활용한 도시마케팅에 적극 나서고 있어 주목을 끈다. 6월 30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7월 1일 한화이글스 소속 류현진 선수를 대전시 홍보대사로 위촉한다. 이와함께 류현진·오상욱 선수-꿈씨패밀리 굿즈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홍보대사는 도시브랜드 위상을 높이고 대내외 시정 홍보를 강화하기 위해 지정한다. 대전시는 펜싱황제 오상욱과 트롯가수 김의영, 축구선수 황인범, 배우 이필모 등 20여명을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메이저리그에서도 뛰어난 활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사랑카드 7월1일부터 본격 운영 대전사랑카드 7월1일부터 본격 운영

  • 더위 피하고 밥값 아끼고…구내식당 ‘북적’ 더위 피하고 밥값 아끼고…구내식당 ‘북적’

  • 무더위 날리는 물줄기 무더위 날리는 물줄기

  • ‘장마철 타이어 점검은 필수입니다’ ‘장마철 타이어 점검은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