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0. 대전 서구 도안 18단지 인근 상권 카페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0. 대전 서구 도안 18단지 인근 상권 카페

도안 18단지 카페 63곳으로 1년 전보다 꾸준히 늘어나
월 평균 800만원대 매출... 여성 441만원, 남성 319만원
30대와 40대 매출액 최다로 이들 타겟한 카페가 관건

  • 승인 2025-06-25 15:58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도안동일대상권
대전 서구 도안 18단지 인근 상권.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0. 대전 서구 도안 18단지 인근 상권 카페



직장인 이 모(49) 씨는 카페 창업을 원한다. 저가 프랜차이즈 카페가 우후죽순 늘어나 있는 상황에서 자신만의 색을 입힌 카페로 정면 돌파하려 한다. 20대부터 40대까지 MZ세대와 X세대까지 아우를 수 있는 맛과 인테리어까지 구상을 마쳤다. 가격 경쟁력에서도 저렴하지만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수년 전부터 준비해왔다. 많은 카페가 창업하고 문을 닫는 걸 수없이 지켜본 그는 해당 업종이 하향 추세인 현시점이 적기라고 생각한다. 장소는 대전 서구 도안동 일대로, 도안동뿐만 아니라 인근 관저동에서도 찾아올 수 있는 카페로 만들려고 한다. 해당 상권의 매출액과 경쟁자 등이 궁금하단다.



▲경쟁자는 얼마나=그가 원하는 대전 서구 도안동 일대 카페 수는 2025년 3월 기준 63곳으로 1년 전(57곳)보다 6곳 늘어났다. 같은 기간 서구 전체가 1319곳에서 1238곳으로 81곳 줄어들고, 대전 전체에서도 4112곳에서 3966곳으로 146곳으로 줄어든 걸 보면 해당 상권은 카페 창업이 활발한 편이다. 통상 상권에서 같은 업종이 크게 줄어들면 해당 업종이 하향세를 걷고 있다는 걸 뜻하며, 많이 늘어난다는 건 그만큼 수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 창업 특성상 소규모 자본으로 가게를 내는 게 쉬운 편에 속해 카페가 들어섰다 없어지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는데, 한 곳에서 꾸준한 업력을 통해 해당 상권 소비자들에 맞춘 영업 전략을 발휘한다면 충분한 승산이 있어 보인다.





▲매출은=2025년 3월 기준 해당 상권 카페 월평균 매출액은 800만원대를 유지 중이다. 2025년 3월 기준 815만원으로, 1년 전(849만원)보다 줄어든 모습이지만, 2024년 7월 한때 928만원을 기록한 바 있다. 또 그해 12월 911만원의 매출을 나타내기도 했다. 매출은 서구와 대전시 전체보다는 못 미치는 편이다. 서구 전체 카페 월평균 매출액은 2025년 3월 1113만원, 대전 전체는 989만원이다. 매출은 주중보다 주말이 높았다. 주말 매출은 평균 173만원, 주중은 94만원이다. 주말엔 토요일이 185만원으로 일주일 중 가장 높았으며 일요일은 160만원이다. 주중엔 금요일이 126만원으로 주중 중 가장 높았고 수요일 93만원, 목요일 91만원, 월요일 84만원, 화요일 76만원 등의 순이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오후 2시부터 6시까지 평균 281만원의 매출을 올리며 이 시간대 가장 많은 소비자가 몰렸다. 이어 낮 12시~오후 2시 235만원, 오후 6시~밤 11시 160만원, 오전 9시~낮 12시 122만원 등이다. 카페 특성상 점심식사 이후 카페를 찾는 이들이 많다 보니 오전보다는 낮 시간대에 소비자들이 몰리는 걸 알 수 있다. 시간대별 소비자들의 패턴을 분석해 가게 오픈 시간과 마감 시간 등을 선정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성별로는 여성이 441만원으로, 남성(319만원)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242만원으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으며, 40대 186만원, 20대 148만원, 50대 122만원, 60대 이상 59만원 순이다. 여성과 남성 모두 매출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만큼 성별 구분 없이 30대와 40대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전략을 짤 필요가 있다.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유동인구는 일 평균 기준 남성이 2만 7350명, 여성은 2만 2968명이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이 1만 3632명, 40대 1만 794명, 50대 1만 513명, 30대 6500명, 20대 4875명, 10대 4004명이다. 요일별로 보면 주중엔 5만 729명이, 주말은 4만 9506명이다. 주중엔 금요일이 5만 3164명으로 가장 많았고, 수요일 5만 2119명, 월요일 5만 192명, 목요일 4만 9353명, 화요일 4만 8821명이다. 주말은 토요일이 5만 1711명, 일요일은 4만 7303명이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2시~6시 1만 2962명, 오후 6시~밤 11시 1만 2480명, 오전 9시~12시 7731명, 오전 5시~9시 6617명, 오후 11시~5시 4827명 등이다. 그의 창업에 도움이 됐길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4.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5.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