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0. 대전 서구 도안 18단지 인근 상권 카페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0. 대전 서구 도안 18단지 인근 상권 카페

도안 18단지 카페 63곳으로 1년 전보다 꾸준히 늘어나
월 평균 800만원대 매출... 여성 441만원, 남성 319만원
30대와 40대 매출액 최다로 이들 타겟한 카페가 관건

  • 승인 2025-06-25 15:58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도안동일대상권
대전 서구 도안 18단지 인근 상권.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0. 대전 서구 도안 18단지 인근 상권 카페



직장인 이 모(49) 씨는 카페 창업을 원한다. 저가 프랜차이즈 카페가 우후죽순 늘어나 있는 상황에서 자신만의 색을 입힌 카페로 정면 돌파하려 한다. 20대부터 40대까지 MZ세대와 X세대까지 아우를 수 있는 맛과 인테리어까지 구상을 마쳤다. 가격 경쟁력에서도 저렴하지만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수년 전부터 준비해왔다. 많은 카페가 창업하고 문을 닫는 걸 수없이 지켜본 그는 해당 업종이 하향 추세인 현시점이 적기라고 생각한다. 장소는 대전 서구 도안동 일대로, 도안동뿐만 아니라 인근 관저동에서도 찾아올 수 있는 카페로 만들려고 한다. 해당 상권의 매출액과 경쟁자 등이 궁금하단다.



▲경쟁자는 얼마나=그가 원하는 대전 서구 도안동 일대 카페 수는 2025년 3월 기준 63곳으로 1년 전(57곳)보다 6곳 늘어났다. 같은 기간 서구 전체가 1319곳에서 1238곳으로 81곳 줄어들고, 대전 전체에서도 4112곳에서 3966곳으로 146곳으로 줄어든 걸 보면 해당 상권은 카페 창업이 활발한 편이다. 통상 상권에서 같은 업종이 크게 줄어들면 해당 업종이 하향세를 걷고 있다는 걸 뜻하며, 많이 늘어난다는 건 그만큼 수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 창업 특성상 소규모 자본으로 가게를 내는 게 쉬운 편에 속해 카페가 들어섰다 없어지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는데, 한 곳에서 꾸준한 업력을 통해 해당 상권 소비자들에 맞춘 영업 전략을 발휘한다면 충분한 승산이 있어 보인다.





▲매출은=2025년 3월 기준 해당 상권 카페 월평균 매출액은 800만원대를 유지 중이다. 2025년 3월 기준 815만원으로, 1년 전(849만원)보다 줄어든 모습이지만, 2024년 7월 한때 928만원을 기록한 바 있다. 또 그해 12월 911만원의 매출을 나타내기도 했다. 매출은 서구와 대전시 전체보다는 못 미치는 편이다. 서구 전체 카페 월평균 매출액은 2025년 3월 1113만원, 대전 전체는 989만원이다. 매출은 주중보다 주말이 높았다. 주말 매출은 평균 173만원, 주중은 94만원이다. 주말엔 토요일이 185만원으로 일주일 중 가장 높았으며 일요일은 160만원이다. 주중엔 금요일이 126만원으로 주중 중 가장 높았고 수요일 93만원, 목요일 91만원, 월요일 84만원, 화요일 76만원 등의 순이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오후 2시부터 6시까지 평균 281만원의 매출을 올리며 이 시간대 가장 많은 소비자가 몰렸다. 이어 낮 12시~오후 2시 235만원, 오후 6시~밤 11시 160만원, 오전 9시~낮 12시 122만원 등이다. 카페 특성상 점심식사 이후 카페를 찾는 이들이 많다 보니 오전보다는 낮 시간대에 소비자들이 몰리는 걸 알 수 있다. 시간대별 소비자들의 패턴을 분석해 가게 오픈 시간과 마감 시간 등을 선정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성별로는 여성이 441만원으로, 남성(319만원)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242만원으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으며, 40대 186만원, 20대 148만원, 50대 122만원, 60대 이상 59만원 순이다. 여성과 남성 모두 매출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만큼 성별 구분 없이 30대와 40대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전략을 짤 필요가 있다.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유동인구는 일 평균 기준 남성이 2만 7350명, 여성은 2만 2968명이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이 1만 3632명, 40대 1만 794명, 50대 1만 513명, 30대 6500명, 20대 4875명, 10대 4004명이다. 요일별로 보면 주중엔 5만 729명이, 주말은 4만 9506명이다. 주중엔 금요일이 5만 3164명으로 가장 많았고, 수요일 5만 2119명, 월요일 5만 192명, 목요일 4만 9353명, 화요일 4만 8821명이다. 주말은 토요일이 5만 1711명, 일요일은 4만 7303명이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2시~6시 1만 2962명, 오후 6시~밤 11시 1만 2480명, 오전 9시~12시 7731명, 오전 5시~9시 6617명, 오후 11시~5시 4827명 등이다. 그의 창업에 도움이 됐길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