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0차 대전경제포럼] "저성장 위기, 새정부 돌파구는 AI산업"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제250차 대전경제포럼] "저성장 위기, 새정부 돌파구는 AI산업"

세계는 경제위기가 아닌 저성장 고착화 단계
패러다임 전환 必… 세계 자본 미국 쏠림현상
테슬라 매출 11위, 시총 1위 원인은 '미래가치'
韓 R&D 전체 예산=美 글로벌 기업 1곳 예산

  • 승인 2025-06-12 16:24
  • 수정 2025-06-12 16:38
  • 신문게재 2025-06-13 5면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DSC01588
대전상공회의소는 12일 오전 대전 유성 호텔ICC에서 '제250차 대전경제포럼 조찬세미나'를 개최했다.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흥수 기자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이 위기가 아닌 저성장 고착화 단계라는 진단이 나왔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12일 '제250차 대전경제포럼 조찬세미나'에서 한국 경제를 부흥시킬 해법으로 새 정부의 'AI 산업 육성'을 꼽으며, 지금 이 시기를 놓치면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답습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전상공회의소는 이날 오전 대전 유성 호텔ICC에서 제250차 대전경제포럼 조찬세미나를 개최했다. 대전상의가 주관하고 대전시와 하나은행 충청영업그룹이 후원한 이날 포럼에는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을 비롯해 이동열 하나은행 충청영업그룹 부행장, 이택구 대전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 양동훈 대전국세청장 등 지역기업 CEO 및 지역경제 기관·단체장 300여 명이 참석했다.

DSC01579
대전상공회의소는 12일 오전 대전 유성 호텔ICC에서 '제250차 대전경제포럼 조찬세미나'를 개최했다.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흥수 기자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요즘 글로벌 환경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새 정부 출범으로 불확실성이 걷히길 기대한다"면서 "법으로 기업을 강제하기 보다는 노사 간 합의와 소통을 통해 기업들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 일본 엔지니어들에게 기술을 배우던 시절, 일본을 부러워했는데 지금 우리가 일본을 따라가는 게 아닌지 우려된다"면서도 "기업인들의 꾸준한 성장과 발전이 대한민국의 성장과 발전을 이끌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DSC01599
대전상공회의소는 12일 오전 대전 유성 호텔ICC에서 '제250차 대전경제포럼 조찬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이 강의하는 모습. /김흥수 기자
이후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의 '새 정부 경제정책과 기업의 대응전략'에 대한 특강이 진행됐다.



이날 강사로 초빙된 김광석 실장은 먼저 글로벌 경제 동향에 대해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는 지금 경제위기 상황이 아니라 저성장 고착화 단계"라고 진단한 뒤 "의사의 진단이 잘못되면 처방이 잘못되듯,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를 잘못 진단하면 잘못된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글로벌 자본이 채권, 펀드, 주식할 것 없이 미국으로 쏠리며 유일하게 미국 경제만 고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시장은 현재 가치가 아닌 미래 가치에 투자하는 데, 글로벌 자동차 기업 매출 11위인 테슬라의 시가총액이 세계 1위인 이유"라고 설명했다. 계속해서 "미국 기업 한 곳당 R&D 예산에 120조 원을 투입하는데, 한국은 정부와 민간 전체 연간 R&D 예산이 120조 원"이라고 꼬집은 뒤 "우리나라도 AI산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한국은행과 KDI에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0.8%로 전망하고 있는데, 이는 2007~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이라면서 "일본이 스마트폰과 반도체 산업 등을 놓치며 잃어버린 30년이 됐듯이, 한국도 AI 같은 고성장 산업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해법으로는 AI 인프라 확충을 제시했다. 김 실장은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쳇GPT는 미국 경제만 키워주는 것"이라면서 "새 정부가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민간과 청년, 스타트업, 중소기업이 AI 인프라를 자유롭게 쓸 수 있게 하겠다는 게 AI 고속도로 구상"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1968년 멕시코 올림픽 높이뛰기 우승자인 딕 포스베리를 혁신사례로 꼽으며 이날 강의를 마무리했다.

김광석 실장은 "멕시코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선수 부상 방지를 위해 착지 매트가 적용했는데, 포스베리는 정면에서 도약하는 기존 방식이 아닌 뒤로 넘는 배면뛰기 기술로 우승을 차지했다"며 "착지 매트라는 같은 환경이 제공됐지만, 접근 방식의 차이가 승패를 가른 사례"라면서 AI산업 전환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4.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5.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