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남 신라벨트 골목골목 경청투어에 나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10일 경남 창녕군 창녕공설시장에 도착한 뒤 우서영 밀양창녕의령함안지역위원장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은 연합뉴스 |
대전이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핵심 브레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역량 결집이 요구된다.
이 후보는 10일 페이스북에 올린 '항공·방위·우주 산업 정책 발표문'에서 "방위·항공·우주산업은 부가가치가 높고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첨단 미래 산업의 대표 핵심 산업"이라면서 "대한민국을 항공·방위·우주산업 강국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이 후보는 "경남 우주항공국가산업단지를 글로벌 우주항공 중심지로 키우겠다"며 "발사체·위성체·지상 장비 등 우주산업 전반의 R&D(연구·개발)를 대폭 확대해 선진국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우주청 청사는 조기에 완공하고, 진주와 사천지구에 우수 인재와 기업이 모이도록 정주환경 조성을 적극 지원하겠다"며 "고흥의 발사체 산업도 더욱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경남을 방문해 영남 민심을 얻으려는 이 후보 입장을 이해하겠지만, 우주산업클러스터에서 연구와 인재 양성을 주도하는 특구 역할을 담당하는 '대전'을 제외한 점은 아쉽다.
이 후보는 게시글을 올린 지 1시간 만에 대전과 고흥 등 다른 우주산업클러스터 도시를 의식해 "경남 우주항공국가산업단지를 글로벌 우주항공 중심지로 키우겠다"는 문구를 "K-우주산업 기반을 확실히 다지겠다"고 수정했지만 이미 다수 언론의 보도가 나간 상황이다.
더욱이 고흥은 짧게라도 언급을 했지만, '대전'은 아예 거론조차 되지 않았다.
대전은 우주분야 핵심 연구기관, 교육기관, 기업이 밀집한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 전문성과 인프라를 보유한 지역이다. 우주산업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할 수 밖에 없다. 이에 정부에서도 이 부분을 인정해 우주산업 클러스터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 육성을 약속한 것이다.
벌써부터 경남 사천은 우주항공청 연구개발(R&D)본부의 대전 설치에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9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대전 유성구을)은 '우주항공기술의 연구개발 관련 사업을 담당하는 본부의 소재지는 대전으로 한다'는 조항을 담은 우주항공청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지만, 과방위 문턱을 넘지 못했다. 대전에서는 이를 대선 지역 공약에 담아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아직 다른 대선 후보들은 우주산업 관련 공약을 발표하지는 않았다.
지역 정가 한 인사는 "대선 과정에서 우주산업의 핵심 브레인 역할은 대전이 맡아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해야 한다"면서 "우주산업은 최첨단 R&D 역량의 결집체다. 인재를 중심으로 한 첨단산업의 융복합이 중요한 만큼 대전이 핵심이 되어야 대한민국 우주산업이 발전한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