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악성 미분양' 감소폭 전국 최대… 충남은 증가폭 전국서 세번째로 높아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대전 '악성 미분양' 감소폭 전국 최대… 충남은 증가폭 전국서 세번째로 높아

국토부 3월 주택통계 발표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증가세… 11년 7개월만 최대치
대전 10%·충북 7.1% 각각 감소… 충남은 18.9% 증가
"대선 앞 다양한 공약, 실효성 있는 대책 발굴 필요"

  • 승인 2025-04-29 16:32
  • 수정 2025-04-29 17:15
  • 신문게재 2025-04-30 5면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2025년 3월 말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 현황
2025년 3월 말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 현황.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대전이 전국에서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감소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충남은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국토교통부가 29일 발표한 '3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5117세대로 한 달 전(2만 3722세대) 보다 5.9% 늘었다. 이는 2013년 8월(2만 6453세대) 이후 11년 7개월 만에 최대치다.

특히 지방에서 준공 후 미분양이 두드러졌다. 지방의 경우 2만 543세대로 전달(1만 9179세대)보다 1364세대 늘며 2만 세대를 넘어섰다.

충청권에서는 대전과 충북의 감소율이 전국에서 가장 컸다. 대전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522세대로 전달(580세대)보다 10%(58세대) 감소했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큰 감소율이다. 충북은 565세대에서 525세대로 7.1%(40세대) 줄었다. 대전에 이어 두 번째로 감소율이 높다.



반면, 충남은 준공 후 미분양이 1376세대로 전달(1157세대)보다 18.9%(219세대)로 늘어 전국에서 증가율이 세 번째로 컸다. 세종은 3세대가 늘어난 58세대를 기록했다.

전북은 520세대 늘며 한 달 새 28.4% 증가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고, 경남은 3026세대로 전달보다 23.1% 증가해 뒤를 이었다. 세대수 기준으로는 대구(3252세대), 경북(2715세대), 부산(2438세대) 순으로 준공 후 미분양이 많았다.

충청권 미분양 주택 수도 준공 후 미분양과 흐름을 같이 한다. 대전은 전달(2001세대)보다 190세대 줄어든 1811세대를 기록해 9.5%가 줄었으며, 충북은 2305세대로 4.1% 감소했다. 반면, 충남은 5084세대로 전달(4921세대)보다 163세대가 늘어 3.3%의 증가율을 보였다.

지방에서 심화하는 미분양 문제는 지역 부동산 침체와 건설 경기 불확실성을 키우는 등 악영향을 미치는 만큼,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나아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다양한 공약과 실효성 있는 대책이 발굴돼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대전 건설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정부에서 부동산 정책을 내세워왔는데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고, 윤석열 정부가 내세웠던 공약 정책들도 동력을 잃을 가능성이 커졌다"며 "이번 대선에선 악성 미분양을 비롯해 수도권 쏠림현상을 줄일 수 있는 지역을 위한 공약이 제대로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학교 급식 파행 사태 초등학교까지 번지나…학부모 우려
  2. 행정수도특별법 드디어 국회 심사 돌입…충청 총력전 시급
  3. 국정과제 포함된 2차 공공기관 이전… 충남도 유치 재시동
  4. 수강 안한 의대생 위해 학칙 개정?… 개강 앞둔 지역 의대 구제 방안 고심
  5. 충남건설본부-전문건설업계 상생발전 방안 모색
  1.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개별1:1 지원서비스 제공지관 역량강화 특강
  2. "그린캠퍼스 조성"… 충남도-도내 7개 대학, 다회용기 사용 협약
  3. [2026 수시특집-우송정보대] 지역혁신 넘어 글로벌브랜드-K 선도… 전문기술인재 키운다
  4. '공연예술 특화도시' 세종시, 하반기에도 즐거움 가득
  5. 충남교육청 원문 공개율 87.4%… 전국 최고 수준

헤드라인 뉴스


의대생 유급 대신 특별학기?… 개강앞둔 지역대 구제방안 고심

의대생 유급 대신 특별학기?… 개강앞둔 지역대 구제방안 고심

2학기 개강을 앞두고 지역 의과대학들이 의대 정원확대 갈등 여파로 1학기를 수강하지 않았거나 시험을 치르지 않은 학생들에 대한 구제 방안을 고심 중이다. 당초 교육부는 미복귀 의대생에 대해 유급 처분을 지시했으나, 새 정부가 출범한 뒤 의대 정상화가 시급하다고 판단해 유급 대상자들의 2학기 복귀를 허용하면서다. 이에 따라 각 대학은 특별학기 개설이나 1학기 연장 등을 통해 정상 진급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방침이지만, 학사 일정 조정은 물론 학칙 개정까지 필요해 골머리를 앓는 분위기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최근 교육부의 기조에..

`아산 경찰병원` 예타 통과로 건립 본격화… 300병상 규모 건립
'아산 경찰병원' 예타 통과로 건립 본격화… 300병상 규모 건립

충남 아산 경찰병원 건립이 본격화된다.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면서다. 충남도는 이번 예타 통과로 제2중앙경찰학교 유치에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도는 20일 임기근 기획재정부 제2차관 주재로 연 '2025년 제8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아산 경찰병원 건립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밝혔다. 전액 국비 사업인 아산 경찰병원은 총사업비 1724억원을 투입해 아산시 초사동 일원 경찰종합타운 내 8만 1118㎡ 부지에 심뇌혈관센터 등 6개 전문의료센터와 24개 진료과, 3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 수준으로 건립될 예..

충남도, 전국 최초 민간 참여 지역 모펀드 결성… 김태흠 "시너지 기대"
충남도, 전국 최초 민간 참여 지역 모펀드 결성… 김태흠 "시너지 기대"

충남도가 전국 최초 민간 참여 지역 모펀드를 결성했다. 도는 이를 통해 대한민국 미래 경제를 이끌 '유니콘'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도는 20일 소노벨 천안에서 김태흠 지사와 노용석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이대희 한국벤처투자 대표이사, 김인태 IBK기업은행 부행장, 백남성 NH농협은행 부행장, 이동열 하나은행 부행장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 기업성장 벤처펀드' 결성식을 개최했다. 충남 기업성장 벤처펀드는 비수도권 벤처 투자 활성화를 위해 중기부가 실시한 모펀드 공모에 도가 선정됨에 따라 조성한다. 펀드 규모는 1011억..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드론테러를 막아라’ ‘드론테러를 막아라’

  •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폭염에도 가을은 온다

  •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