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규모 연 소득 3.4배…저소득 자영업자 '흔들'

  • 경제/과학
  • 금융/증권

빚 규모 연 소득 3.4배…저소득 자영업자 '흔들'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자영업자 LTI는 344.5%로 집계
차 의원, "정부가 자영업자 위한 특단의 대책 내놔야"

  • 승인 2025-04-27 11:17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AKR20250425151500002_01_i_P4
최근 3년간 종사상 지위별 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율.(자료=아규근 의원실 제공)
국내 자영업자의 평균 부채가 연 소득의 3배 수준을 훌쩍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진정세를 보이던 자영업자의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LTI)은 지난해 말 비상계엄 사태 발생 이후 다시 상승으로 돌아선 모습이다.

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자영업자의 LTI는 344.5%로 집계됐다.

이는 자영업자들이 연 소득의 3.4배에 달하는 규모의 부채를 갖고 있다는 뜻이다. 같은 시점 자영업자가 아닌 비자영업자 LTI(220.0%)보다 크게 높은 수치다.

자영업자의 LTI는 2022년 4분기 말 350.0%로 고점을 찍은 이후, 지난해 3분기 말 344.4%까지 7분기 연속 하락세를 이어왔다. LTI가 상승세로 돌아선 시점은 지난해 4분기부터다. 이 시점부터 자영업자들의 소득보다 대출이 더 가파르게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2024년 4분기 말 자영업자의 전체 대출 잔액은 1064조 2000억 원, 차주 수는 311만 5000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고소득(상위 30%)과 중소득(30~70%)의 자영업자와 달리 저소득(하위 30%) 자영업자들의 빚이 유독 크게 불어났다. 고소득 자영업자의 대출 잔액은 지난해 3분기 말 737조 원에서 4분기 말 736조 8000억 원으로, 중소득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194조 3000억 원에서 192조 2000억 원으로 각각 감소했다. 그러나 저소득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133조 1000억 원에서 135조 3000억 원으로 불어났다. 이를 두고 차 의원은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취약계층의 자영업자일수록, 경기 불황을 대출에 의존해 버티게 된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수치라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자영업자의 은행권 대출 잔액은 지난해 3분기 말 641조 9000억 원에서 4분기 말 640조 7000억 원으로 감소했지만, 대부업을 포함한 비은행권 대출 잔액은 422조 5000억 원에서 423조 6000억 원으로 오히려 증가했다. 이자 부담이 높은 비은행권 대출 비중이 확대된 만큼 부채의 질 자체도 악화한 셈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내수의 경제 성장 기여도는 -0.2%포인트에 그쳤고, 올해 1분기 들어서는 -0.6%포인트로 더 악화했다.

차 의원은 "추가경정예산안에 자영업자 지원을 위한 예산이 포함됐지만, 시점이 늦었고 규모도 턱없이 부족하다"며 "자영업자들이 코로나19 때보다 더 힘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해 12월 불법 계엄으로 자영업자 피해가 심화한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가 자영업자를 살리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유성복합터미널 경영은 누구에게? 사업권 입찰 소식에 교통업계 '관심'
  3. 진천고, 충주예성여고…교육부 신규 자율형 공립고 선정
  4. '차량에 보조장치' 세종시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막는다
  5. [현장취재]충남대 총동창회 골프대회에서 학교 발전기금 2000만원 기탁
  1. '金金金金' 세종 장애인 유도선수단 잘 나가네~
  2. 충북 치료가능 사망률 전국 '꼴찌'…"지역 의료체계 강화 필요"
  3. 공장 사망사고 기업대표, 항소심서 징역형 법정구속
  4. 수업 중 휴대폰 등 스마트기기 사용 원칙적으로 제한… 초·중등교육법 개정
  5. 해수부 관련 법안 9건, 국회 본회의 통과...원양어선 인력난과 처우 개선 기대

헤드라인 뉴스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구상 실행… 주변도 지각변동 온다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구상 실행… 주변도 지각변동 온다

대통령 세종 집무실(최대 25만㎡)과 국회 세종의사당(최대 63만㎡), 시민 공간(최대 122만㎡)을 포함한 210만㎡로 조성되는 '국가상징구역'. 국가상징구역에 대한 마스터플랜 공모가 29일 본격화하면서, 이의 주변 지역에도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국가 최고 권력 기관이 들어서는 입지 인근인 데다 사무공간과 상업시설, 오피스텔 등의 주거 기능, 공원, 문화, 교육, 휴식 등이 어우러질 시민 공간(역사+정신+정체성 내포)이 새로운 콘셉트로 등장한 만큼, 세종동(S-1생활권)과 6생활권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의 추가 도입과 세부 계..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정부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세를 더 감면해 주기로 해 충청권 지자체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또 전국 13만4000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고자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도 깎아주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물류·관광단지 등 지역별 중점산업 조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순으로 지방세 감면율을 높게 적용키로 했다.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수..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멀리뛰기 국가대표를 꿈꾸는 윤여훈(용천초 6)은 교실보다 학교 밖 운동장이 더 친숙하고 즐거웠다. 축구를 가장 좋아했지만, 달리는 운동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았다. 또래 아이들보다 몸이 유연하고 날렵했던 아이를 본 체육담당 교사가 운동을 권유했고 그렇게 육상선수 윤여훈의 꿈이 시작됐다. "처음에는 멀리뛰기라는 운동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달리기는 원래 잘했으니까 선생님이 지도해주신 그대로 뛰니까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윤여훈의 100m 기록은 12초 중반에 이른다. 전국대회 단거리 상위권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윤여훈은 멀리뛰기와 단거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