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후보는 충청권 경선을 앞두고 페이스북에 "임기 내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집무실을 건립하겠다"며, 완전 이전은 사회적 합의를 거쳐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18일 민주당 경선 후보자 첫 방송 토론회에선 당선될 경우 대통령 집무실 사용에 대한 질문에 "일단 용산(대통령실)을 쓰면서 청와대를 신속히 보수해서 다시 그곳으로 들어가는 게 좋겠다"고 답했다. 지역민들로선 어리둥절할 수밖에 없는 발언이다.
세종시로의 대통령실 완전 이전은 개헌 문제가 걸려 있어 이 후보 발언을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없지 않지만, 역대 대선에서 행정수도 공약이 '희망 고문'으로 반복된 전례가 재현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다. 이 후보는 20일 울산에서 열린 영남권 합동연설회에선 세종청사에 있는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대통령실 완전 이전과 세종의사당 건립을 통해 행정수도를 조기에 완성해야 한다는 지역 염원과 배치되는 공약이다.
대통령실 완전 이전 등 세종 행정수도 완성은 충청지역 현안만이 아닌 국가 백년대계를 위한 시대적 과제다. 국토균형발전의 핵심인 행정수도 문제가 수도권 표심을 살피며 '선거용'으로 한 번 던져보는 공약이 돼선 곤란하다. 각 당 후보들은 대선 직후 세종청사 중앙동 대통령 집무실을 사용하고, 개헌을 통해 대통령실을 완전 이전 하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이 후보뿐 아니라 6·3 대선에 도전하는 모든 후보들이 새길 일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