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평동 폐수관로 구간 공동조사 및 CCTV 조사 자료화면<제공=진주시> |
시민 불안을 해소하고 사고를 사전에 막기 위한 대응체계를 강화 중이다.
시에 따르면 진주 관내 하수관로 총 연장은 1621㎞이며, 이 중 49%에 해당하는 796㎞가 2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로다.
시는 2016년과 2021년에 국비를 지원받아 정밀조사를 진행했으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순차적인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상평산업단지 일대 노후 폐수관로 정비사업이 있다.
시는 이 지역에 2020년부터 총 432억 원을 투입해 침하 사고 예방을 위한 공사를 진행 중이다.
또한 2026년까지 1542억 원을 들여 노후 하수관로 87.8㎞를 교체하는 대규모 정비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지하 안전 강화를 위한 제도적 대응도 확대됐다.
시는 「지하안전법」에 따라 시도 28개 노선에 대해 2023년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완료했으며, 매년 육안 점검을 병행하고 있다.
또한 국토안전관리원의 수요조사에 따라 시군별 GPR 탐사를 계속 진행 중이다.
지반침하 발생 시에는 현장 출장과 긴급 보수, 상황 접수와 보고 등 신속한 대응 체계를 가동한다.
소방서, 경남도와 함께 지반침하 사고 대응 TF팀도 구성돼 있다.
특히 우수기 침하 사고 예방을 위해 하수과 현장점검반의 상시 순찰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상 징후 발견 시 즉시 응급 보수에 착수한다.
올해부터는 지하도상가에 대한 정밀 안전진단도 새롭게 실시할 계획이다.
진주시는 「2025년 지하안전관리계획」에 따라 사고 발생 시 신속 대응이 가능하도록 매뉴얼을 갖췄으며, 실무자 중심의 일일 점검과 CCTV 확인, 보수작업을 상시 수행 중이다.
제도 기반도 보완됐다.
시는 지난 3월 '진주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조례'에 따라 지하안전위원회를 새롭게 구성했다.
위원회는 전문가 5명과 관련 부서장 5명으로 이뤄졌으며, 지하시설물 관리제도 개선과 중점관리대상 심의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조규일 진주시장은 "노후 하수관로를 철저히 관리해 지반침하 사고와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예방 중심의 대응은 정비사업의 일관성과 체계적인 성과 평가로 완성된다.
단기 보수에 머물지 않고, 중장기 지하 인프라 전략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진주=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