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원시 인구정책위원회 2025년 첫 회의 개최<제공=창원시> |
창원시는 16일 시청 시민홀에서 30명의 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제1차 인구정책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제4기 위원 위촉장 수여를 시작으로 부위원장 선출, 24년 인구정책 추진결과 및 25년 추진계획 보고와 심의, 전문가 자문 순으로 진행됐다.
올해 창원시 인구정책은 ▲혁신산업 일자리 창출 ▲청년세대 미래보장 ▲사회적 돌봄체계 강화 ▲초고령사회 적응 ▲외국인 유입 및 정착 ▲사회변화 대응체계 등 6대 전략을 중심으로 수립됐다.
특히 일자리·교육·주거·문화 등 4대 핵심 분야에 집중 지원할 방침이며, 단기적인 양적 조절보다 사회경제적 구조 전환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계획이다.
제4기 위원회는 일자리·청년·외국인·교육·문화·돌봄·고령사회·주거·통계·홍보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 22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향후 2년간 정기·분과 회의를 통해 시정 전반 인구정책을 점검하고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그러나 창원시가 발표한 인구정책 시행계획에는 인구감소 추세를 실질적으로 반전시킬 수 있는 구체적 성과지표나 목표치는 제시되지 않았다.
특히 청년층 유출 방지를 위한 핵심 요소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방안과 저출생 대응책의 실효성에 대한 검증 메커니즘도 미흡한 실정이다.
인구감소는 세수 감소와 지역경제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어 장기적 재정계획과의 연계성도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은 "인구위기 극복을 위해 인구정책위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시의 정책이 시민에게 실질적 효과를 발휘하는지, 중복 또는 사각지대가 없는지 세심한 자문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창원시의 인구정책이 단순한 계획 나열이 아닌 실질적 효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분기별 성과 점검과 시민 체감도 조사, 전문가 그룹의 지속적 모니터링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