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번 기후변화 주간 일정별 주요 행사 안내. 사진=세종시 제공. |
기후위기 상황이 온몸으로 체감되는 2025년. 탄소중립 실천으로 기후위기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특별한 이벤트가 세종시에서 열린다.
'해보자고 기후행동! 가보자고 적응생활!'이란 캐치프레이즈를 내건 제17회 기후변화주간 이벤트가 오는 4월 21일부터 26일까지 다채로운 참여 일정으로 진행된다.
4월 22일부터 26일까지 주요 행사를 일정별로 보면, ▲2025 탄소중립 녹색성장 세종 포럼(4월 22일 오후 2시 어진동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세종 그랜드볼룸) ▲세종시 전 지역 '지구의 날' 소등행사(4월 22일 오후 8시~8시 10분) ▲기후·환경 작품 전시회(4월 21일~26일 시청 로비 또는 중앙공원 행사장) ▲'탄소중립 실천 온라인 캠페인(~4월 30일)'으로 요약된다.
메인 행사일인 26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세종중앙공원 일대에선 가족·지인·연인 단위로 참여 가능한 행사들이 줄줄이 선보인다.
오전 10시~낮 12시에는 제2회 세종시 기후·환경 장원급제 어린이 시·그림대회, 오후 1시~오후 4시 사이에는 '도전! 탄소중립 달인 걷기 행사(세종FM의 라디엔티어링 방식)', 오후 4시~5시 사이에는 '소등의 날 선포식 및 경품 추첨' 행사가 이어진다.
걷기 행사 참여자는 6개 코스마다 완주 시 경품 추첨권 1장씩 받을 수 있다. 행사 당일 버스 또는 자전거를 이용한 참가자들에겐 특별히 추첨권을 덤으로 증정한다.
![]() |
걷기와 자전거, 버스 이동수단 선택 '참가신청' QR. 사진=기후환경네트워크 제공. |
오후 들어 연계 행사로는 '2025 자전거 타고 세종시 한바퀴'가 중앙공원을 최종 목적지로 두고, 기후위기 공동 대응의 장으로 합류한다. 이와 별도의 부대 행사로는 오전 10시부터 낮 12시까지 종촌동 복합커뮤니티센터에서 '기후환경 영화제'도 열린다.
이날 경품 추첨권은 '사전 접수(1장)', '걷기(만보기 5000보 이상) 또는 자전거(대여 기록 또는 함께 찍은 사진) 또는 버스(내부 사진 또는 교통카드 기록)로 이동 인증(1장)', '중앙공원 걷기 6개 코스(각 1장)'까지 최대 8장을 받을 수 있다.
메인 이벤트의 주요 경품으로는 LED TV와 타이어 교환권, 건강검진권, 자전거, 쌀(4kg), 베어트리파크 이용권, 한화이글스 사인볼 등으로 준비되고 있다.
행사 참가 신청은 오는 24일 자정까지 제17회 기후변화주간 이벤트 접수폼(https://naver.me/58Nud8db)으로 하면 된다.
![]() |
26일 오후 메인이벤트 주요 내용(좌), 이날 중앙공원 잔디광장에 펼쳐질 25개 기후변화 주간 이벤트 부스. 사진=기후환경네트워크 제공. |
손경희 세종기후환경네트워크 상임대표는 "폭염과 집중호우, 산불, 기상이변 등의 자연재난이 보여준 기후위기 징조는 이제 더는 먼 나라의 일이 아니라 우리의 현실"이라며 "올해로 제17회를 맞는 기후변화 주간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시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함께 지금부터 실천에 동참해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행사는 세종시가 주최하고, 세종기후환경네트워크, 세종지속가능발전협의회, 고려대 세종에코업혁신융합대학사업단 등이 공동 주관한다.
세종시의회와 세종시 산림조합, 한국중부발전 세종발전본부, 세종시 주민생계조합, 한국전력 세종지사, NH농협은행 세종본부, 타이어뱅크(주), 삼성전기, NK세종병원, 한화첨단소재, 농협쌀 공동법인, 대전지방 변호사회, 베어트리파크(주), 한화이글스, 세종도시교통공사 등은 후원으로 이번 행사의 의미를 더한다.
이외에도 (사)국제정원관광네트워크와 백수문학회, 대전지방기상청, 종촌동도서관, (주)가람수풀생태환경연구소, 제 시민사회단체 등은 협력기관으로 힘을 보탠다.
시는 오는 22일 지구의 날 시청을 비롯한 공공기관, 공동주택, 한두리대교 등 주요 다리와 관내 대학교 기숙사 등은 오후 8시부터 10분간 소등해 환경의 소중함을 되새긴다. 같은 시간 시민들은 가정과 상가 등에서 자율적으로 동참할 수 있다.
시는 앞으로 매월 22일을 '소등의 날'로 정하고 오후 8시부터 10분 간 소등 캠페인을 펼쳐 가정과 기업 등에 에너지 절약과 온실가스 감축, 탄소중립 실천 문화를 확산할 계획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