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 |
전교조 광주지부는 "세월호를 인양하였으나 생명을 구해내지 못하였다. 유족들의 마음은 저 깊은 바다를 헤매고 있다. 세월호는 시간을 부식했으나 우리 가슴에 그날의 기억은 오롯하다"며 "내란세력 청산이 세월호 진실을 밝히려는 의지로 나아가고 국민 안전을 보장하는 세상으로 이어지길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세월호 참사 11주기에도 우리는 그날의 진실과 마주하지 못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우리나라는 참사를 거듭했다. 국민의 삶을 지켜야 할 국가권력은 국민의 가슴에 오히려 총부리를 겨누었으나 국민들은 내란세력을 심판하고 청산하는 길로 나아가고 있다. 안전한 세상에서 살고 싶다는 국민의 바람을 새 정부는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새 정부는 헌법에 국민 안전권을 담기 바란다. 광주 186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광주비상행동이 최근 실시한 사회대개혁을 위한 시민대상 설문 조사(4443명 참여)에 따르면 2131명(54.5%)이 헌법에 국민 안전권 신설을 국민 기본권 보장 중 1순위로 선택했다. 헌법에 국가 안전이란 구절은 있어도 국민 안전이란 표현은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광주광역시교육청은 교사와 학생들이 안전한 교육환경에서 교육활동을 벌일 수 있도록 책임을 다하기 바란다. 잊을만 하면 여전히 학교 내외부에서 수많은 안전 사고가 발생하고 있고, 교육 당국에서 내놓은 대책들은 여전히 사후약방문에 그치고 있다"며 "모든 재난 참사 피해자들과 연대하기 위해 멈추지 않는 걸음을 이어가시는 세월호 참사 유가족 분들을 기억하며, 현장 교사들과 함께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맞아 진실과 안전을 향한 기억의 교실을 교육활동으로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이정진 기자 leejj053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