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벼 재배면적 조정제<제공=하동군> |
이는 2024년 벼 재배면적 3925.1㏊의 10.8% 수준이다.
쌀값 안정 대책으로 도입된 농림축산식품부의 '재배면적 조정제'에 따른 것이다.
군은 벼 재배면적을 줄이는 농가에 공공비축미 우선 배정과 농기계·식량특작 지원사업 가점 부여 등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또 전략작물 직불금, 논 타작물 재배지원금, 벼 경영안정자금 등을 감축 면적에 따라 차등 지원할 계획이다.
전략작물 직불금은 ㏊당 가루쌀·두류 200만 원, 하계 조사료 500만 원 등이다.
도 자체 논 타작물 지원금도 작물별로 ㏊당 50만~150만 원까지 지급된다.
올해부터는 벼 경영안정자금도 조정제 참여 면적에 따라 최대 600만 원까지 지원된다.
예를 들어, 벼 재배를 1ha 줄이고 2ha를 유지한 농가는 400만 원을 받게 된다.
군은 쌀 수출 실적도 감축 실적에 반영된다고 밝혔다.
2023~2024년 쌀 621t 수출로 101㏊ 감축을 인정 받았고, 올해 700t 수출 목표가 달성되면 135ha가 인정된다.
이 경우 실제 감축해야 할 면적은 287.9㏊로 줄어든다.
군 관계자는 "콩·사료작물 재배가 장기적으로 수익성이 높을 수 있다"며 "작물 전환에 따른 배수 문제 개선과 농기계 확보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재배면적 감축의 실질적 효과나 농가 참여율에 대한 구체적 전망은 제시되지 않았다.
실제 쌀값 안정에 얼마나 기여할지는 향후 결과 분석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하동=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