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3. 대전 유성구 죽동 일대 카페

  • 경제/과학
  • 지역상권분석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3. 대전 유성구 죽동 일대 카페

죽동 상권 카페 2025년 1월 기준 39곳으로 1년 전과 동일
월평균 매출 1299만원으로 유성구와 대전 전체보다 높아
남성 571만, 여성 524만... 연령대는 30대가 353만으로 1위

  • 승인 2025-04-09 15:08
  • 수정 2025-04-09 18:37
  • 신문게재 2025-04-10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죽동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33. 대전 유성구 죽동 일대 카페



직장인 박 모(42) 씨는 카페 창업에 유독 관심이 많다. 바리스타 자격증은 물론이고, 지역 내 유명한 카페 곳곳을 섭렵 중이다. 동네 일반적인 카페보다는 자신만의 인테리어와 맛있는 커피를 통해 소비자의 발길을 이끌 생각이다.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살릴 가구와 커피, 흥을 돋워줄 스윙재즈 등으로 카페를 창업하려 한다. 원수가 있다면 카페 창업을 권유하라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만큼 포화상태인걸 알지만, 더 늦기 전에 도전하려 끝없는 준비를 하고 있다. 그가 원하는 카페랑 잘 어울리는 대전 유성구 죽동 인근이 그의 타겟이다. 그러나 매출은 얼마나 나오는지, 유동인구는 어떤지, 주된 방문 소비자 연령대 등이 감이 안 온단다. 그의 고민을 덜어줘 봤다.



▲경쟁자는 얼마나=박 씨가 원하는 대전 유성구 죽동 일대 상권 카페 업소 수는 2025년 1월 기준 39곳으로, 1년 전과 같다. 1년 내 크게 늘거나 줄지 않고 상권을 유지한다는 건 그만큼 소비자들의 수요가 있다는 걸 의미한다. 유성구 전체 카페 수는 2025년 1월 기준 1164곳으로, 1년 전(1179곳)보다 15곳 줄었다. 같은 기간 대전 전체로는 4049곳에서 3911곳으로 138곳 감소했다. 유성구와 대전 전체 카페 수가 줄고 있는 데 반해 죽동 상권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한 자리에서 카페를 오래 유지하는 곳도 대다수였다. 유성구에서 카페 업력을 5년 이상 유지하는 곳은 260곳이었고, 3~5년 251곳, 2~3년 279곳, 1~2년 256곳, 1년 미만 202곳 등이다. 카페는 손쉽게 창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경쟁력이 필요로 하다.





▲매출은=해당 상권 카페 월평균 매출은 잘 나오는 편에 속했다. 죽동 상권 카페 월평균 매출액은 2025년 1월 기준 1229만원으로, 1년 전(1336만원)보다 내려앉은 상태다. 그러나 유성구 전체 카페 월평균 매출액이 1209만원인 점과 대전 전체 평균이 1035만원인 점을 고려하면 매출은 곧잘 발생하는 수준이다. 매출 건수로 계산해보면, 2025년 1월 죽동 상권 카페 주문 건수는 1434건으로, 1년 전(1326건)보다 높다. 일주일 중 매출은 주중이 주말보다 많았다. 주중엔 평균 189만원, 주말은 142만원이다. 주중엔 목요일이 21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화요일 207만원, 금요일 188만원, 수요일 183만원, 월요일 158만원 순이다. 주말엔 토요일이 152만원이었고, 일요일은 131만원이다.



▲주요 고객층과 방문 시간대는=주요 고객은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비슷했다. 남성의 매출액은 571만원, 여성은 524만원으로 남성이 우위를 가져갔다. 연령대 별로는 30대가 353만원의 월평균 매출액을 올리며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많은 소비를 했다. 이어 40대 285만원, 20대 191만원, 50대 187만원, 60대 이상 78만원 순이다. 방문 시간대는 카페 특성상 점심 시간대에 주로 몰렸다.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가 월평균 45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오후 2시~5시 329만원, 오후 5시~밤 9시 207만원, 오전 6시~11시 203만원이었고 다른 시간대 매출은 10만원 이하로 책정됐다. 주된 소비층은 30대와 20·40대를 잘 공략한다면 충분한 승산이 있어 보인다.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유동인구는 해당 상권의 경우 2025년 1월 기준 4만 5318명이다. 1년 전(2만 6331명)보다 크게 늘어난 수준으로, 점차적으로 해당 상권을 방문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는 걸 볼 수 있다. 연령대별로는 남성이 2만 4697명으로 여성(2만 621명)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9788명으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많이 몰렸다. 이어 60대 이상 9158명, 50대 7801명, 20대 7472명, 30대 7412명, 10대 3686명 등이다. 주중(4만 1564명)보단 주말(5만 6034명)이 유동인구가 더 많았다. 주중엔 수요일이 3만 9303명으로 가장 저조했고 나머지 요일은 4만명 초반대를 유지했다. 주말엔 토요일이 일주일 중 가장 많은 5만 8134명이었고, 일요일은 5만 3937명이다. 박 씨의 제2의 인생 시작이 순조롭기를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유성복합터미널 경영은 누구에게? 사업권 입찰 소식에 교통업계 '관심'
  3. 진천고, 충주예성여고…교육부 신규 자율형 공립고 선정
  4. '차량에 보조장치' 세종시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막는다
  5. [현장취재]충남대 총동창회 골프대회에서 학교 발전기금 2000만원 기탁
  1. '金金金金' 세종 장애인 유도선수단 잘 나가네~
  2. 충북 치료가능 사망률 전국 '꼴찌'…"지역 의료체계 강화 필요"
  3. 월드비전 대전세종충남사업본부-더오래치과, 꿈꾸는아이들 대상 치과 탐방 및 진로체험 프로그램 성료
  4.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8월27일 수요일
  5. 공장 사망사고 기업대표, 항소심서 징역형 법정구속

헤드라인 뉴스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구상 실행… 주변도 지각변동 온다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구상 실행… 주변도 지각변동 온다

대통령 세종 집무실(최대 25만㎡)과 국회 세종의사당(최대 63만㎡), 시민 공간(최대 122만㎡)을 포함한 210만㎡로 조성되는 '국가상징구역'. 국가상징구역에 대한 마스터플랜 공모가 29일 본격화하면서, 이의 주변 지역에도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국가 최고 권력 기관이 들어서는 입지 인근인 데다 사무공간과 상업시설, 오피스텔 등의 주거 기능, 공원, 문화, 교육, 휴식 등이 어우러질 시민 공간(역사+정신+정체성 내포)이 새로운 콘셉트로 등장한 만큼, 세종동(S-1생활권)과 6생활권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의 추가 도입과 세부 계..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정부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세를 더 감면해 주기로 해 충청권 지자체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또 전국 13만4000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고자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도 깎아주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물류·관광단지 등 지역별 중점산업 조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순으로 지방세 감면율을 높게 적용키로 했다.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수..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멀리뛰기 국가대표를 꿈꾸는 윤여훈(용천초 6)은 교실보다 학교 밖 운동장이 더 친숙하고 즐거웠다. 축구를 가장 좋아했지만, 달리는 운동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았다. 또래 아이들보다 몸이 유연하고 날렵했던 아이를 본 체육담당 교사가 운동을 권유했고 그렇게 육상선수 윤여훈의 꿈이 시작됐다. "처음에는 멀리뛰기라는 운동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달리기는 원래 잘했으니까 선생님이 지도해주신 그대로 뛰니까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윤여훈의 100m 기록은 12초 중반에 이른다. 전국대회 단거리 상위권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윤여훈은 멀리뛰기와 단거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