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 동구 가오중, 시청역6번출구 등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유통]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 동구 가오중, 시청역6번출구 등

동구 가오중 인근 상권 두 자릿 수 이상 신규 창업 늘어
서구 시청역6번출구 세 자릿 수 이상 가게 생기며 인기
느리울중, 한우리아파트정류장, 선사유적지 등도 역주행

  • 승인 2025-04-02 16:18
  • 신문게재 2025-04-03 11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스크린샷_1-4-2025_172113_bigdata.sbiz.or.kr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 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월세가 장벽으로 다가온다. 재차 살아나는 상권에 미리 선점한다면 이 같은 고민을 덜 수 있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척도가 되는 매출액과 현재 상권 등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빅데이터 플랫폼 '소상공인 365'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동구 가오중 인근 상권
동구 가오중 인근 상권
▲대전 동구 가오중 인근 상권=빅데이터는 동구 가오중 인근 상권을 신탄진역을 '역주행 핫플레이스'로 보고 있다. 역주행 핫플레이스란 창업하는 가게가 많아져 다시 살아나고 있는 상권을 뜻한다. 신규 점포 수만 따지면 매월 두 자릿수 이상 창업하는 가게가 늘고 있다. 2024년 2월과 3월 각각 20곳이 창업한 이후 4월 16곳, 5월 28곳으로 매월 늘고 있다. 그러다 그해 6월 36곳으로 최근 1년간 최고점을 찍은 뒤 7월 24곳, 8월 16곳, 9월 16곳, 10월 20곳, 11월 8곳, 12월 4곳이다. 올해 1월 기준으로는 16곳이 신규로 창업했다. 해당 상권 인기업종으로는 기타 의류 소매업이 109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카페가 43곳, 백반·한정식 40곳, 김밥·만두·분식 37곳, 돼지고기 구이·찜 35곳, 요리주점 34곳, 유아용 의류 소매업 31곳이다. 이어 여성 의류 소매업과 입시·교과학원 각 29곳, 생맥주 전문 24곳 등이 순위로 자리한다. 방문 고객 성별 비율로는 남성이 8351명, 여성이 8198명으로 비율로는 남성 50.46%, 여성 49.54%로 50대 50이다. 연령·성별 월 평균 소비 매출액은 20대 남성이 84만원, 여성 61만원, 30대는 남성 105만원, 여성 71만원, 40대 남성 108만원, 여성 78만원, 50대 남성 103만원, 여성 76만원, 60대 이상 남성 76만원, 여성 69만원 등이다.

서구 시청역 6번출구 상권
서구 시청역 6번출구 상권
▲대전 서구 시청역 6번 출구 상권=빅데이터에서 바라보는 서구 역주행상권 중 서구 시청역 6번 출구는 서구 중에서도 탑 상권 1위로 꼽히고 있다. 여타 상권과는 달리 해당 상권은 세자리 수 신규 창업 업소가 생기기도 하는 등 뜨겁다. 신규 창업은 매월 꾸준하다. 2024년 2월 64곳에서 3월 들어 128곳까지 크게 늘어났다 4월 72곳으로 재차 낮아졌으나 신규 창업 업소가 요소 곳곳에 생긴다는 건 그만큼 지역에서 각광받는 상권으로 불린다는 뜻이다. 2024년 5월 60곳, 6월 72곳, 7월 52곳, 8월 92곳, 9월 68곳이다. 이어 10월 들어 104곳으로 또 다시 세 자릿수를 기록했다. 11월 72곳, 12월 84곳, 2025년 1월 96곳이다. 해당 상권 인기업종 탑10에는 교육과 관련된 업종 수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입시·교과학원이 260곳으로 가장 많았고, 백반·한정식 169곳, 카페 147곳, 요리주점 121곳, 부동산 중개·대리업 119곳, 일반 유흥 주점 85곳, 돼지고기구이·찜 57곳이다. 편의점과 일식 회·초밥, 김밥·만두·분식 각 44곳 등의 순이다. 방문고객 성별로는 남성이 2만 2108명, 여성 1만 9831명으로 남성 52.71%, 여성 47.29%다. 소비 평균 매출액은 20대 남성 96만원, 여성 70만원, 30대 남성 118만원, 여성 79만원, 40대 남성 127만원, 여성 87만원, 50대 남성 123만원, 여성 89만원, 60대 이상 남성 92만원, 여성 80만원 등이다.

대전 느리울중
서구 느리울중 상권
▲서구 느리울중 상권=이 상권은 인근 아파트 세대수를 반영하듯 백반·한정식 집이 가장 많다. 백반·한정식 업소가 144곳으로 상권 중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기타 의류 소매업은 120곳, 돼지고기 구이·찜 117곳, 카페 98곳, 김밥·만두·분식 75곳, 요리 주점 68곳, 입시·교과학원 67곳, 치킨 62곳, 빵·도넛 53곳, 화장품 소매업 48곳 등이다. 신규 창업 업소 수도 두 자릿수 이상되며 활발하다. 창업 점포 수 추이를 보면, 2024년 2월 40곳에서 3월 68곳, 4월 72곳, 5월 52곳, 6월 36곳, 7월 44곳, 8월 52곳, 9월 48곳, 10월 32곳으로 꾸준하다. 11월 들어 76곳으로 1년 중 가장 많은 신규 점포 수가 발생한 뒤 12월 52곳, 2025년 40곳으로 가게가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생겨나고 있다. 방문 고객 성별로는 남성이 1만 27666명, 여성은 1만 919명으로 남성 53.9%, 여성 46.1%의 비율이다. 성별·연령별 소비 패턴을 봤을 땐 30·40대가 주를 이뤘다. 40대 남성 108만원, 여성 76만원으로 연령대 중 가장 많은 소비를 했으며, 30대는 남성 108만원, 여성 72만원이다. 이어 50대 남성 98만원, 여성 68만원, 20대 남성 87만원, 여성 61만원, 60대 이상 남성 78만원, 여성 61만원 등이다.



한우리아파트정류장1
한우리아파트정류장 상권
▲한우리아파트정류장 인근 상권=해당 상권은 다른 역주행 핫플레이스로 지정된 곳들 보다는 작은 편에 속한다. 그럼에도 신규 창업이 꾸준하게 이뤄지는 곳이기도 하다. 2024년 2월 기준 12곳이 신규 창업했고, 3월 20곳, 4월 12곳, 5월엔 1년 중 가장 많은 28곳이 새로 생겼다. 6월과 7월엔 각 8곳, 8월 16곳, 9월 20곳, 10월 24곳, 11월 8곳, 12월 4곳이다. 2025년 1월 현재 4곳이 새롭게 생기며 수요가 꾸준한 곳이다. 인기 업종으로는 기타 의류 소매업이 84곳으로 업종 중 가장 많았으며 입시·교과학원 48곳, 카페 36곳, 백반·한정식 35곳, 부동산 중개·대리업 28곳, 요리 주점 26곳, 화장품 소매업 25곳, 돼지고기 구이·찜 19곳, 여성 의류 소매업 18곳, 남성 의류 소매업 17곳 등이다. 방문 고객은 여성이 8577명, 남성 8473명으로 여성 50.3%, 남성 49.7%로 비슷했다. 연령대별 소비 평균 매출액은 40대가 주도했다. 40대 남성 134만원, 여성 94만원으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많은 지출을 했다. 이어 50대 남성 129만원, 여성 88만원, 30대 남성 120만원, 여성 81만원, 60대 이상 남성 109만원, 여성 87만원, 20대 남성 101만원, 여성 72만원 등이다.

둔산 선사유적지
둔산 선사유적지 상권
▲둔산선사유적지 인근 상권=선사유적지 인근 상권도 새롭게 역주행하는 상권으로 꼽힌다. 신규 창업 수가 꾸준하게 늘어나며 상권을 유지한다. 신규 창업 수를 보면 2024년 2월 20곳, 3월 24곳, 4월 48곳으로 최근 1년 중 가장 많은 창업수를 기록했다. 이어 5월 16곳, 6월 36곳, 7월 20곳, 8월 12곳, 9월 24곳, 10월 12곳, 11월 44곳, 12월과 2025년 1월 각각 32곳으로 지속해서 업소가 늘어나는 걸 볼 수 있다. 현재 운영 중인 업종별로는 백반·한정식이 49곳으로 가장 많았고 카페 42곳, 요리 주점 31곳, 화장품 소매업 28곳, 입시·교과학원 27곳, 돼지고기 구이·찜 26곳, 김밥·만두·분식 20곳, 부동산 중개·대리업 19곳, 건강보조식품 소매업과 생맥주 전문이 각각 17곳 등의 순이다. 방문고객 주요 성별 비율로는 남성이 9579명, 여성은 7981명으로 남성 54.55%, 여성 45.45% 비율이다. 성별·연령별 소비 평균 매출액은 4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40대 남성 117만원, 여성 83만원으로 전체 중 1위다. 이어 50대 남성 116만원, 여성 79만원, 30대 남성 102만원, 여성 70만원, 20대 남성 88만원, 여성 65만원, 60대 이상 남성 82만원, 여성 72만원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유성복합터미널 경영은 누구에게? 사업권 입찰 소식에 교통업계 '관심'
  3. 진천고, 충주예성여고…교육부 신규 자율형 공립고 선정
  4. '차량에 보조장치' 세종시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막는다
  5. [현장취재]충남대 총동창회 골프대회에서 학교 발전기금 2000만원 기탁
  1. '金金金金' 세종 장애인 유도선수단 잘 나가네~
  2. 충북 치료가능 사망률 전국 '꼴찌'…"지역 의료체계 강화 필요"
  3. 월드비전 대전세종충남사업본부-더오래치과, 꿈꾸는아이들 대상 치과 탐방 및 진로체험 프로그램 성료
  4.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8월27일 수요일
  5. 공장 사망사고 기업대표, 항소심서 징역형 법정구속

헤드라인 뉴스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구상 실행… 주변도 지각변동 온다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구상 실행… 주변도 지각변동 온다

대통령 세종 집무실(최대 25만㎡)과 국회 세종의사당(최대 63만㎡), 시민 공간(최대 122만㎡)을 포함한 210만㎡로 조성되는 '국가상징구역'. 국가상징구역에 대한 마스터플랜 공모가 29일 본격화하면서, 이의 주변 지역에도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국가 최고 권력 기관이 들어서는 입지 인근인 데다 사무공간과 상업시설, 오피스텔 등의 주거 기능, 공원, 문화, 교육, 휴식 등이 어우러질 시민 공간(역사+정신+정체성 내포)이 새로운 콘셉트로 등장한 만큼, 세종동(S-1생활권)과 6생활권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의 추가 도입과 세부 계..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정부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세를 더 감면해 주기로 해 충청권 지자체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또 전국 13만4000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고자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도 깎아주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물류·관광단지 등 지역별 중점산업 조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순으로 지방세 감면율을 높게 적용키로 했다.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수..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멀리뛰기 국가대표를 꿈꾸는 윤여훈(용천초 6)은 교실보다 학교 밖 운동장이 더 친숙하고 즐거웠다. 축구를 가장 좋아했지만, 달리는 운동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았다. 또래 아이들보다 몸이 유연하고 날렵했던 아이를 본 체육담당 교사가 운동을 권유했고 그렇게 육상선수 윤여훈의 꿈이 시작됐다. "처음에는 멀리뛰기라는 운동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달리기는 원래 잘했으니까 선생님이 지도해주신 그대로 뛰니까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윤여훈의 100m 기록은 12초 중반에 이른다. 전국대회 단거리 상위권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윤여훈은 멀리뛰기와 단거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