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전월세 거래량 한 달 만에 증가세 전환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충청권 전월세 거래량 한 달 만에 증가세 전환

국토부 2월 주택통계 결과
전국 거래량 27만 8238건으로 38.6% ↑
대전 53.3% 늘어 오름폭 전국 5번째
전월세 중 월세 비중 지방 63.5% 달해

  • 승인 2025-04-01 16:36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2025년 2월 전월세 거래량
2025년 2월 전월세 거래량.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충청권 주택 전월세 거래량이 한 달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전국적으로 월세 거래량은 4년 만에 20%포인트가량 상승하며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전국 전월세 거래량은 27만 8238건으로 전달(20만 677건)보다 7만 7561건(38.6%) 늘었다. 최근 5년 평균과 비교하면 15.9% 증가한 수치다.

충청권 전월세 거래량의 오름폭이 컸다. 대전은 2월 1만 432건으로 전달(6803건)보다 3629건 늘었다. 이는 53.3% 증가한 수치로 전국에서 전북(71.8%), 경북(64.6%), 부산(57.5%), 경남(56.7%)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오름폭을 보였다.

충남은 8864건으로 전달(6831건)보다 2033건(29.8%) 증가했고, 충북은 5785건으로 지난달(5142건) 대비 643건(12.5%) 늘었다. 세종은 전월(2238건)보다 258건 오른 2496건으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월세의 증가세도 두드러졌다. 올해 2월 누계(1~2월) 전국 전월세 신규 거래 중 월세(보증부 월세·반전세 포함) 비중은 61.4%에 달했다. 이는 2021년 41.7%에서 2022년 47.1%, 2023년 55.2%에 이어 지난해 57.5%로 급격히 늘어난 뒤 올해 처음으로 60%를 넘어섰다. 4년 만에 19.7% 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수도권보다 지방의 월세 증가 폭은 더욱 컸다. 수도권은 60.2%로 1년 새 3.1%포인트 증가했고, 지방은 63.5%로 5.4%포인트 늘었다.

이는 전세사기가 영향을 미쳤다는 시각이다. 주택 수요자들이 전세 대신 자가나 월세로 이동했다는 것이다. 여기에 지역 부동산 침체가 월세화를 가속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집값이 오르지 않는 상황에서 투자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임대인들이 월세로 전환하고 있고, 기준금리 인하로 은행 예금금리가 떨어지면서 월세 선호가 더 강해졌다는 분석이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금리 인하 기조와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일부 임대인은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가입이 가능할 만큼 전가세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금 비율)을 낮추고, 나머지는 월세로 전환하며 월세화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다만, 월세나 전세, 자가 소유 등 부동산 거래는 역대 정권의 부동산 정책 변화와 대내외적인 경제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 결과인 만큼 해석을 신중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