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복지재단 설립 하반기 출범 목표

  • 전국
  • 수도권

성남시, 복지재단 설립 하반기 출범 목표

  • 승인 2025-03-17 15:54
  • 신문게재 2025-03-18 3면
  • 이인국 기자이인국 기자
423
성남시가 시민 복지 체계 강화를 위한 '복지재단' 설립을 하반기 출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시는 경기연구원에 의뢰해 최근 7개월간 진행한 연구용역 결과 '복지재단 설립 타당성 있음' 이란 종합 결론이 나와 하반기 출범을 목표로 행정절차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기 연구원은 설립 계획의 적정성, 기대효과 등 11개의 항목을 타당성 '높음', '보통', '낮음' 등 3개 단계로 구분해 평가했다.

'높음' 평가 나온 항목은 적정사업 주체 여부, 조직 및 인력 수요, 출자·출연 계획의 적정성, 예산안과 기대 성과의 정합성, 지역경제 파급효과, 지방재정 효과 등 6개로 나타났고, 나머지 공공 수행 여부, 공무원 정원감축 계획 등 5개 평가 항목은 '보통' 수준으로 평가됐다.



지역경제 파급효과 항목은 생산 유발효과는 5년간 210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40억 원, 고용 유발효과는 200명으로 각각 예측했다.

19세 이상 성남시민 700명을 대상으로 25개 항목을 묻는 모바일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에서 복지재단 설립 필요성에 대해 응답자 700명 중 61.3%(429명)가 '긍정', 30.1%(211명)가 '보통'이라고 답했고, 부정응답은 8.6%(60명)에 그쳤다.

복지재단 설립으로 인한 기대효과(복수응답)에 관한 질문엔 복지사업 확대와 품질 향상 40.1%(281명), 복지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 39.4%(276명), 복지 사각지대 해소 38.4%(269명) 등을 꼽았다.

시는 출자·출연기관 운영심의위원회 심의, 경기도 출자·출연기관 운영심의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를 밟아 성남시 복지재단 출범을 본격화 하고, 자본금 30억원과 초기비용 6억원, 운영비 5억원 등 총 41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복지재단은 민과 관을 잇는 중심 기관으로서 지역 특성에 맞는 사회복지 정책을 수립하고, 지역주민에게 통합형·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해 성남시의 복지 체계를 더욱 강화하게 될 것"이라면서 "남은 절차를 차질 없이 추진해 성남시의회와의 긴밀한 소통 협력하여 성공적으로 출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겠다"고 말했다.

현재 복지재단을 운영 중인 전국의 기초자치단체는 41곳 중 경기도는 김포시, 시흥시, 평택시, 가평군, 화성시, 남양주시 등 6곳에 복지재단이 운영 중이다. 성남=이인국 기자 kuk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도시공사, ESG거버넌스협의체 본격 추진
  2. 중진공 충남지역본부, '찾아가는 현장소통 간담회' 개최
  3. 천안시, '의료돌봄 통합지원' 선도 모델로 우뚝…세종서 벤치마킹
  4. 충남창경센터, SK에코플랜트와 반도체 산업 개방형 혁신 협력 나선다
  5. 김이태안과, 순천향대천안병원에 새병원 건립기금 1000만원 기부
  1. 세종시 복사꽃 전국 마라톤대회 성료...4000여 명 건각, 뜨거운 열기
  2. 독거 고위험군 인지건강 증진 지원 '안심케어홈' 생활지원사 교육
  3. 노인자원봉사자 필수교육 후 105개 봉사단 2100명 자원봉사 시작
  4. [독자칼럼]AI,전기차,스마트팜의 공통점
  5. 대전 급식 갈등 사태 지속, 단체 병가로 대체식 학교도… 교육청-노조 입장은 평행선

헤드라인 뉴스


[대선 D-50] 최대승부처 충청 대망론 대통령실 세종이전 촉각

[대선 D-50] 최대승부처 충청 대망론 대통령실 세종이전 촉각

조기대선이 14일로 5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최대 승부처 560만 충청권에선 충청대망론과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이 메가톤급 이슈로 꼽히고 있다. 보수-진보 양 진영 모두 대선 승리를 위해선 중원에서 반드시 이겨야 한다는 불문율을 감안할 때 충청권 대선 화두는 앞으로도 대선링을 뜨겁게 달굴 것으로 보인다. 1948년 제헌 헌법이 제정된 이후 우리나라에는 1~20대 대통령 13명을 배출했는데 충청 출신은 제2대 윤보선(아산) 대통령 단 1명에 불과하다. 윤보선 전 대통령의 경우 내각제하에서 간접선거로 선출됐고 재임 기간이 1년밖에 불..

[대선 D-50] 출마선언부터 선거준비 분주…레이스 본격화
[대선 D-50] 출마선언부터 선거준비 분주…레이스 본격화

6·3 조기 대선이 5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대권 레이스가 본격화되고 있다. 대선 주자들의 출마 선언과 본격적인 활동이 펼쳐지는 가운데 지역에서도 지지세 확산을 위한 각종 움직임과 경선 체제 전환이 이뤄져 대선 분위기가 점차 달아오르는 모습이다. 50일 앞으로 다가온 조기 대선은 일정이 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원내 1·2당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규칙을 확정했고, 각 당의 주자들도 대권 행보를 정하면서 대진표도 완성되어 가는 중이다. 충청에선 이장우 대전시장을 향한 관심이 높다. 충청의 위상 강화와..

대전 숙박·음식점 장기 불황에 쪼그라든다... 소비심리 위축에 위기 깊어지나
대전 숙박·음식점 장기 불황에 쪼그라든다... 소비심리 위축에 위기 깊어지나

대표적인 서비스 내수 업종으로 꼽히는 대전 숙박·음식업이 장기 불황으로 그 수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국내 정치적 혼란과 미국 트럼프 행정부 관세 등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으로 자영업자들의 위기가 깊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3일 국세청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2025년 2월 기준 대전의 여관·모텔은 431곳으로, 매년 크게 감소하고 있다. 지역 여관·모텔 사업자 수는 코로나19가 시작됐던 2020년 2월부터 빠르고 축소되고 있다. 2020년 2월 642곳이던 지역 여관·모텔은 2021년 2월 586곳, 2022년 2월 51..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50여 일 앞둔 제21대 대통령선거 50여 일 앞둔 제21대 대통령선거

  • 휴일 맞아 꽃나들이…유림공원 튤립 만개 휴일 맞아 꽃나들이…유림공원 튤립 만개

  • 시민 안전 위협하는 이륜차 시민 안전 위협하는 이륜차

  • 대전시 선관위, 제21대 대선 ‘엄정하고 공정하게’ 대전시 선관위, 제21대 대선 ‘엄정하고 공정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