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연간(仁祖, 재위 1623-1649) 명나라 장수 모문룡(毛文龍, 1576-1629)이 인조에게 춘의를 예물로 보내자, 인조는 이를 가루를 내서 부셔 버리라는 전교를 내릴 정도였다. 김정중(金正中)은 1791년에 개인적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사람이었다. 그의 연행 기록 중 '유리창(琉璃廠, 現 베이징 화평문 바깥 골동품 거리)에는 사면(四面)의 벽에 춘화도(春花圖)를 붙여 놓고 돈을 받고 판매한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이는 춘화가 중국 시장에서 수요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반면 조선의 춘화는 중국과 일본과 달리 다소 늦은 19세기 전반경에 김홍도와 신윤복에 의해 그려지기 시작하였다.
조선 후기는 상업이 발달하였고, 공사무역을 통한 외래문화가 유입된 시기이다. 특히 조선의 수도 한양에서는 유흥과 여가문화가 성행하였다. 조선 후기 사회적 변화와 함께 유교 분위기에 짓눌린 선조들의 성적(性的) 열망과 본능이 춘화의 부흥기로 이끌어 냈다. 선조들은 유교적 규범에 얽매여 있었고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 춘화 감상을 선택한 것이다. 춘화는 당시 유교의 도덕 개념으로 바라보았을 때 파격적이다. 그래서일까, 전해지는 춘화의 수는 그리 많지 않다.
단원 김홍도의 낙관이 있기에 그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운우도첩(雲雨圖帖)』과 혜원 신윤복의 『건곤일회도첩(乾坤一會圖帖)』화첩에는 다양한 성행위의 장면이 담겨 있다. 남녀의 성희(性戱; 성적 쾌락을 목적으로 하는 놀이)를 소재로 한 춘화에는 풍류와 낭만이 담겨 있기도 하다.
(그림 1) 전(傳) 단원 김홍도, 『운우도첩』, 19세기 전반경, 개인 소장 |
이 외에도 3인의 성관계, 동성애 혼교, 관음증과 같은 장면 등을 묘사한 작품도 존재한다. 장소는 실내와 실외 가리지 않고 그려졌다. 등장인물은 신분을 강조하기 위해 스님의 경우 승복을 옆에 널브러뜨렸고, 양반은 사방관 등으로 그 신분을 가늠케 표현하였다. 조선의 춘화는 중국, 일본과 달리 등장인물의 신분 제약이 없다. 따라서 춘화는 조선시대의 억압적인 사회제도와 신분 갈등의 모순까지 담아내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춘화는 수요자의 직접적인 주문을 받아서 그려졌다고 알려져 있다. 즉 어느 정도의 부를 가지고 있는 상류층의 주문에 의해 비밀리에 그려졌고, 이를 통해 은밀한 사생활을 즐겼던 '에로틱 물건'이었던 셈이다.
춘화는 그림을 보는 이로 하여금 상상의 나래를 펼치도록 철저하게 계산되어 그려졌다. 조선시대의 춘화는 현대의 야동과 같이 말초신경만을 자극하지 않는다. 춘화는 예술과 외설 사이를 오가며 아슬아슬 줄타기하는 듯한 연출이 으뜸이다. 선조들의 낭만과 욕망을 예술로 승화 시켰던 춘화는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폐쇄적이었던 조선시대의 인간 군상을 다루었다는 것에 대해 그 의미가 크다.
최정민/평론가
최정민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