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유는 특유의 색채와 하나의 인물을 무한히 그려 넣는 일루전 화면 양식을 통해 한국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지나온 시대를 담아낸다. 전시는 '오래된 이미지', '수집된 이미지', '더블 이미지 : 전체와 부분의 술래잡기'라는 세 개의 섹션으로 구성돼 김동유의 미학적 지표를 통해 대전미술의 가치와 가능성을 재조명했다.
첫 번째 섹션 '오래된 이미지'에서는 '박정희' 도상이나 '새마을운동'과 같은 특정 시간대의 문화적 감성을 매개 삼아 우리의 현실과 통속적 문화를 불러낸다. 이미지를 단순히 재현하는 것을 넘어 표상과 사상의 재현을 다양하게 드러낸 것이 주목할 만하다. '수집된 이미지'에서는 김동유의 양식의 변주와 패턴의 연구 과정을 소개한다. 작가는 역대 대통령의 초상이 담긴 우표를 수집, 캔버스 위로 옮겼다. 그는 이렇게 채집되고 탐구된 절대적 기억을 고유의 방식으로 관람자에게 제공, 근대화의 시간을 감지할 수 있게 했다.
김동유의 대표작인 '더블 이미지' 연작으로 구성된 마지막 섹션에서는 케네디, 마릴린 먼로, 오드리 햅번 등 냉전 시대의 하이 컬쳐(high-culture)를 대변하는 인물들을 소개한다. 특히 미국 대중문화와 소비문화를 대변하던 마릴린 먼로의 작은 초상들이 반복되어 케네디나 박정희, 마오쩌둥 등의 초상화를 빚어냄으로써 냉전시대의 종식을 암시한 것이 흥미롭다.
당시 서문에서는 '대전미술이라는 정체성의 가치와 기능성을 통해 미술계의 새로운 지평을 만드는 데 기여한 김동유의 초기작과 그가 시도한 형식 실험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작품을 바탕으로, 대전의 미술을 통해 예술계의 큰 흐름 중 한 가래를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의의를 밝혔다.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