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인공지능과 정치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인공지능과 정치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3-06-16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꽃놀이패', 바둑 두는 사람이나 아는 말이다. 바둑은 서로 번갈아가며 돌 놓기 하는 놀이 아닌가? 패는 상호 중요한 곳이라 서로가 놓아야만 하는 곳이다. 더 중요한 곳이 있어서 거르게 되면 한쪽이 연속 놓아 문제가 정리된다. 한 사람이 두 번 연속해서 놓아야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 것이다. 일정 피해를 감수하고 해소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전체 승부가 좌우되기도 한다. '꽃놀이패'는 패의 성패와 관계없이 피해가 없거나 미미한 경우를 이르는 말이다. 상대는?패에서 이겨도 소득은 없으나, 패하면 큰 피해가 따른다.

혼자 두 번 연속 놓아, 해당 패에 버금가거나 이득 취할 곳이 많을 경우 패를 만든다. 즐기기 위해서나 단번에 제압하기 위한 꽃놀이패도 있지만, 바둑이 유리한 경우는 굳이 만들지 않는다. 대부분은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만드는 난국 타개용이다. 이판사판인 것이다.

요즘 정치계 패가 그러한 것 같다. 한쪽은 자꾸 패를 만들고 팻감 찾느라 분주한데, 다른 한쪽은 꽃놀이패로 즐기는 듯하다. 패는 번갈아가며 놓아야 하는 규칙이 지켜져야 하는 대결에서나 가능한 일 아닌가? 형평성이 바탕이요, 유불리가 없이 공정해야 한다. 과연 그러한지 의문이다.

어쩌다 바둑강좌 동영상을 보게 되었다. 시청하다 보니 AI가 많이 언급된다. 과거엔 정석이 이랬으나 AI에서는 이렇다 하는 식이다. 이른바 정석이라고 하는 것이 변화되고 있음을 본다. 정석이 무엇인가? 바둑에서는 공격과 수비 모두 최상의 선택이라 인정되는 방식으로 돌 놓기를 하는 것이다. 수도 없는 경험과 창의력이 점철된 것이다. 물론 계속 변화해 왔다. 모든 프로기사가 정석대로 두면 어찌 승패가 갈리며 재미가 있겠는가? 실전에선 기세, 감정 등 심리전도 작용한다. 무엇보다 정석이란, 배우되 버리지 않으면 진정한 고수가 될 수 없다. 여기서 버린다는 것은 미래지향의 창조적인 수이다.



세계 바둑 최강 기사들이 인공지능바둑에 연달아 패하면서, 오히려 사람이 인공지능바둑을 연구하게 되었다. 인공지능이 인간지식과 기억의 한계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초창기 인공지능은 인간이 알고 있는 정보나 패턴으로 작동하였다. 7~8급 수준에 머물렀다. 프로기사와 대적할 상대가 되지 못했다. 그러던 것이 인공지능이 스스로 계산하여 최선의 방법을 찾는 기계학습 방식으로 바뀌었다. 거기에 인공지능은 감정이 없다. 오로지 계산해낸 수치에 따라 작동할 뿐이다.

바둑뿐이랴, 하나 더 살펴보자. 쳇GPT는 채팅과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가 더해진 합성어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계어로 만든다. GPT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으로 사용하는 자연어로 처리하는 인공지능 기반 모델이다. 즉, 쳇GPT는 대화형 인공지능 로봇인 것이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질문을 하면 로봇과 그에 대해 대화할 수 있는 서비스로,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각종 창작활동도 가능하다. 아직은 비현실적이거나 황당무계한 경우가 있어 유의해야하지만, 지속적으로 진화하기 때문에 그 미래가 기대된다.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작동하고 있다. 아직은 인간이 만들어준 정보에 의존하고 있는 수준이지만, 탈피나 초월도 머지않아 보인다. 공존이냐, 풍요로운 삶의 질 향상이냐, 역으로 인간이 인공지능에 통제되느냐, 피격 당하느냐 고민해봐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인공지능이 바둑을 즐기기야 하겠는가? 인간이 즐기기 위해 인공지능바둑이 만들어져야 하지 않겠는가? 인공지능바둑으로 바둑이 진화되고 고차원적인 즐거움이 함께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정치는 정치하는 사람이 즐기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보는 국민이 즐거워야 한다. 정치도 인공지능 도입으로 미래지향적 품위가 만들어지고 고상해졌으면 좋겠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아산시, '신정호정원' 본격 개방
  2. 이재명 "일단 용산 다음은 靑…" 발언에 충청반응 싸늘
  3. 소진공-카카오, 지역 상권 디지털전환 지원사업 업무협약
  4. '제3회 충남도지사배 3쿠션 토너먼트 전국대회' 천안서 성황리 개최
  5. 민주 대권주자 최대승부처 충청서 "세종시대" 합창…각론선 신경전
  1. 아산축협, '사랑의 아산맑은 축산물 나눔행사' 펼쳐
  2. 코닝정밀소재(주), 취약계층 중-고생에 장학금 기탁
  3. 아산시먹거리통합지원센터, "학교급식을 더 안전하게" , 위생점검 실시
  4. 이재명 "충청을 대한민국 성장의 중심으로…세종은 행정수도 완성"
  5. 아산시 인주면행복키움, "어르신 생신 축하드려요"

헤드라인 뉴스


빨라지는 6·3대선시계…정권 교체 vs 재창출 대충돌

빨라지는 6·3대선시계…정권 교체 vs 재창출 대충돌

21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6·3 조기대선 시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정권 재창출에 나선 국민의힘은 본격적인 경선 일정에 돌입하는 가운데 충청권 '배지'들도 당내 각 대선 주자들과의 이합집산이 활발해 지고 있다. 정권 탈환을 노리는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대선 승리를 위해선 반드시 이겨야 하는 충청권 공략을 마친 뒤 영남을 거쳐 호남과 수도권 등으로 컨벤션 효과 극대화에 나서고 있다. 국민의힘의 경우 경선 일정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대선링이 뜨거워 지고 있다. 19~20일 진행된 첫 토론회에서 대선 경선 후보자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재명 충청·영남 경선 2연승…대세론 굳혀
이재명 충청·영남 경선 2연승…대세론 굳혀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충청권과 영남권 경선에서 잇따라 압승했다. 이 후보는 전통적 캐스팅보트로 최대승부처였던 충청에 이어 당의 험지인 영남에서 파죽의 2연승으로 순회경선 반환점을 지나면서 대세론을 탄탄히 했다는 평가다.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에서열린 영남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는 90.81%, 김동연 후보 3.26%, 김경수 후보 5.93% 각각 차지했다. 이재명 후보는 20일 영남 경선 합동연설회에서 "이번 대선은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 대한민국의 국운이 걸린 절체절명의 선택"이라며 "무너진 민생과..

대전 외식비 인상세 지속... 비빔밥·자장면 등 상승
대전 외식비 인상세 지속... 비빔밥·자장면 등 상승

대전 김치찌개 백반이 전국 최고가를 유지하는 가운데 비빔밥과 자장면 등의 가격이 인상세가 지속되며 지역민들의 외식비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1만원 한 장으로 점심때 고를 수 있는 메뉴가 점차 줄어든다. 20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3월 대전 소비자가 가장 많이 찾는 8개 외식 대표 음식 메뉴 일부가 인상된 것으로 집계됐다. 우선 자장면은 3월 7200원으로 2월(7000원)보다 2.8%(200원)로 상승했고, 비빔밥도 이 기간 1만원에서 1만 100원으로 1% 올랐다. 집계된 금액은 지역 외식비 평균 가격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과학을 즐기자’…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인산인해’

  • 책 읽기 좋은 날 책 읽기 좋은 날

  •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