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수 위험 지역인 대전 동구 대동 주택가의 반지하 주택. 여름철 침수 우려가 큰 곳이지만 반지하에 을어오는 빗물을 막아 줄 안전 장치는 없었다. (사진=김지윤 기자) |
이어지는 침수 우려에도 이곳 반지하 주택은 쏟아지는 비를 막아 낼 최소한의 안전장치조차 없었다. 오로지 아스팔트 바닥에 놓여 있는 맨홀 1개 만이 모든 비를 막아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반지하 창문은 외부인의 출입을 막기 위해 방범창이 단단히 고정돼 있어 침수 시 거주자가 긴급 대피해야 할 상황까지 막고 있었다.
2018년 8월 갑작스럽게 쏟아진 비로 대전 유성구 일대 상가와 주택 곳곳이 물에 잠기는 큰 피해가 났다.
이날 찾은 유성구 장대동 연립주택 반지하 역시 빗물에 잠기는 피해가 발생한 곳이었으나, 5년이 지난 현재까지 침수를 대비할 환경이 전혀 조성되지 않았다. 여름마다 범람이 반복되는 반석천과 불과 60m 거리에 있어 비가 올 때마다 집 안으로 물이 들어차던 사태가 이어졌던 곳이다 보니 주민들의 불안도 커지고 있다.
매년 장마철 반지하주택 침수가 되풀이되는 가운데 올해 여름 엘니뇨 영향으로 인한 게릴라성 폭우까지 예고되면서 침수 대책 필요성이 커진다.
13일 중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현재 대전 지역에 있는 반지하는 1530호다. 구별로 보면 서구가 881호로 가장 많았으며, 유성구가 282호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 동구 174호, 대덕구 116호, 중구 77호의 반지하 주택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2년 8월 서울 관악구 반지하에 있던 일가족이 폭우로 사망하는 비극이 나자 대전시는 반지하 주택 침수를 막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으나 여전히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시는 6월 말까지 이동식 물막이판을 지원할 예정이지만, 지원 대상은 57동으로 지역의 반지하 주택 수 대비 현저히 적다. 과거 침수 피해를 입었던 경우만 지원 대상자가 되는 것도 효과적인 침수대책 마련에 한계를 만들 수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7월부터 엘니뇨 현상에 의한 게릴라성 폭우가 올 가능성이 크다. 특히, 한 곳에 집중적으로 쏟아내는 게릴라성 폭우뿐만 아니라 불확실성 강우 특성도 크다. 이는 어디서 국지성 호우가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결국 과거 피해 전적이 없던 곳에서도 갑작스러운 폭우로 인한 피해가 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전시는 "우선적으로 침수 피해로 인해 재난지원금을 받았던 시민들을 대상으로 물막이판 지원을 하려 한다"라며 "매년 침수 피해 우려가 예상되는 가구 대상으로 지원을 확대해 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