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소리] 대학 강의실이 시끄러워질수록 교육은 성공한다

  • 오피니언
  • 풍경소리

[풍경소리] 대학 강의실이 시끄러워질수록 교육은 성공한다

김정겸 충남대 교육학과 교수

  • 승인 2023-05-01 13:04
  • 신문게재 2023-05-02 19면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김정겸
김정겸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EBS에서 방영했던 수많은 다큐멘터리 중 오랜 세월이 흘렀어도 아직 기억에 강하게 남아 있는 편이 있다. 바로 2014년에 방영된 '왜 우리는 대학에 가는가' 시리즈의 5부 '말문을 터라'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방한했을 때 아무도 그에게 질문하지 않는 기자들의 모습을 영상으로 담은 프로로도 유명하다. 해당 방송에서는 수업 시간에 질문하는 학생에 대한 다른 학생들의 반응을 지켜보았는데, 다수의 학생이 질문하는 학생을 뒤에서 비웃거나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인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수업이 끝난 후 학생들에게 질문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물어보자, 학생들은 '질문하면 욕먹을 것 같아서' 또는 '질문하면 잘못된 것을 물어볼까 봐 부끄러워서'라고 대답하였다.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입장에서 무척이나 충격적인 영상 내용이었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는 매년 K-CESA(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공개한다. 그런데 2017년부터 2022년 사이의 결과를 살펴보면,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글로벌역량', '의사소통역량', '종합적사고력' 등 K-CESA의 6가지 역량 가운데 '의사소통역량' 및 '종합적 사고력'이 매년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다른 역량들이 평균 50점을 상회하는 반면, 두 역량은 2022년 기준 44.73점과 45.60점에 달할 뿐이다. 심지어 의사소통능력의 경우에는 해당 기간 평균 34.96점으로 나타나 40점에도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수·학습 방법의 혁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그 필요성이 대두된다. 현재 대학교육 분야에서 가장 핫한 키워드 중 하나는 '창의·융합'이지만 이와 같은 역량은 단순히 다양한 분야를 학습한다고 해서 갖춰지는 것은 아니다. 머릿속에만 존재하는 지식은 죽은 지식이다. 학습한 지식을 바탕으로 도출한 아이디어를 동료 학습자들과 공유하고,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보다 나은 방안을 만들어 갈 때 지식은 비로소 생명을 얻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교실은 필연적으로 시끄러워진다.

미국 최고의 명문대 중 하나인 프린스턴 대학에는 '퍼셉토리얼스(perceptorials)'라는 방식의 수업이 존재한다. 이 수업에서 교수는 10명의 학생이 각각 특정 주제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게 하고, 일 대 일로 토론을 하도록 하는 수업 방식을 사용한다. 세인트존스 대학 역시 4년의 재학 기간 약 100여 권에 달하는 인문학 고전을 읽고 자유롭게 토론하여 사유하는 수업을 진행한다. 교수의 역할은 학생들이 원활히 토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일 뿐 직접 지식이나 기술을 가르치지는 않는다. 이 수업방법들의 공통점은 학생들이 교수자, 또는 동료 학습자와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지식과 사고를 확장하고, 다양한 역량을 함양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 대학의 강의실은 너무나도 조용하기만 하다. 이제 강의실의 문화가 바뀌어야 한다. 수업 시간에 질문하는 것이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그런 분위기로 말이다. 학생들의 융복합 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제도의 변화와 혁신 못지않게 교수·학습 방법의 전환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교수자는 학생들의 질문을 끌어내기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이 흥미를 느낄 만한 주제나 사례를 제시하고, 답이 정해지지 않은 열린 질문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사고를 할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한다. 다소 엉뚱한 질문이나 의견이라도 무시하지 않는 태도와 함께 질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언변도 동반되어야 한다.

공자는 '청즉진, 시즉기, 위즉각(聽卽振, 視卽記, 爲卽覺)'이라 했다. 들은 것은 잊어버리고, 본 것은 기억하며, 행한 것은 깨닫는다는 말이다. 더는 듣기만 하는 조용한 교육으로는 부족하다.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자신의 말과 행동으로 옮기는 소리로 강의실이 시끄러워질수록, 우리의 교육은 성공으로 나아갈 것이다. 김정겸 충남대 교육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으로 주말 꽃 나들이 오세요
  2. 세종시 나성동 숙박시설 공급 본격화… 최대 700실 예고
  3. 종촌복지관-도담동, '웃기는 경매'로 이색적 나눔 시작
  4. 6·25전투 중 대전전투 재조명… "희생과 헌신 기억할 교육·시설 필요"
  5.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1. 제74주기 대전 산내골령골 피해자 합동위령제 개최
  2. [날씨] 이번 주말 돌풍 동반 강한 비 내려
  3. 답보상태 '유보통합', 드디어 밑그림 나왔다
  4. '글로컬 본지정 향해' 건양대 K-국방산업 대전환 포럼… 지자체 등 업무협약도
  5. 세종시, 감염병 전문가 토크 콘서트 개최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세권 개발과 맞물린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 `관심`

대전역세권 개발과 맞물린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 '관심'

대전시가 대전역 주변을 중심으로 '메가 충청 스퀘어 조성사업' 등을 추진하면서 '정동·중동 재개발 정비사업'에 관심이 쏠린다. 메가 충청 스퀘어 등 대전역세권 일원이 복합 인프라를 갖춘 공간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전망돼 인근 지역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서다. 27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 도심융합특구는 대전역세권과 선화구역 일원 142만㎡에 2031년까지 사업비 2조3000억 원을 투입해 메가 충청 스퀘어와 복합환승센터, 문화공간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메가 충청 스퀘어는 소제동 일대 1만4301㎡, 연면적 22만9000㎡의..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안기다
6·25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국가의 품에 안기다

"엄마 말씀 잘 듣고 있어라." 6·25 전쟁이 발발하자 27살의 경찰관 아빠는 6살 어린 딸의 머리를 몇 번이나 쓰다듬은 후 집을 나섰다. 쏟아져 내려오는 북한군에 맞서 용감히 싸우다가 전사한 그의 유해는 2007년 발굴된 후 올해 초 신원이 확인됐고, 2024년 6월 27일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지 74년 만에 드디어 국립묘지에 안장됐다. 경찰청은 27일 국립 대전현충원에서 최근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전사 경찰관에 대한 유해 안장식을 거행했다. 이번에 안장되는 전사 경찰관은 6·25 전쟁 당시 서..

대전, 바이오 신약 개발 `날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발판
대전, 바이오 신약 개발 '날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발판

대전시가 정부의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되면서 제약 바이오 글로벌 중심 도시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연구개발(R&D) 인력이 풍부한 대전시에 정부와 지자체의 장기간 대규모 지원이 이뤄지면서 바이오 신약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 분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모' 결과 바이오 의약품 분야에서 대전이 최종 선정됐다. 이로써 대전은 각종 굵직한 예산과 각종 혜택의 주인공이 되면서 신약 개발 과정에서 겪었던 설움을 한 번에 털어낼 수 있게 됐다. 대전은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장마철 앞두고 방치 절개지 ‘아찔’

  •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더 넓은 세상을 향한 장애인들의 아름다운 도전

  •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텅 빈 의원석…대전시의회 의장 선출 못하고 파행

  • ‘최저임금 인상하라’ ‘최저임금 인상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