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원장 방승찬)은 이러한 ICT 분야 기술사업화의 '산증인'이다. 대한민국을 ICT 강국으로 이끈 반도체(DRAM)와 디지털이동통신시스템(CDMA)은 물론 수많은 핵심 ICT의 기술사업화와 창업 활성화를 견인하고 있다. ETRI는 2022년 공공 연구기관 중 최초로 기술료 누적 1조 원을 달성하며 존재를 증명했다. ETRI 자체개발 기술을 사업화하거나 직접 창업한 기업은 172개에 달한다. ETRI의 기술사업화 노력과 성과를 살펴본다.
![]() |
창업 지원을 돕는 ETRI 기술사업화 전담 조직이 회의를 하고 있다. ETRI 제공 |
![]() |
ETRI는 기술이전에 대한 보상으로 연구자의 사기 진작과 연구 성과에 대한 인정에도 힘쓰고 있다.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라 기술료 수입 50%를 연구자에게 지급하고 있다. 특허기술 사용업체로부터 기술료 100억 원을 받으면 그중 50%인 50억 원을 발명자에게 보상하는 것이다. 민간기업에서 기술료 수익의 5~10% 수준을 지급하는 데 비해 상당한 보상체계를 갖추고 있다. 최근 우수성과 창출에 기여해 10억 원 이상 보상금을 받은 연구자가 15명 이상인 것으로 집계되기도 했다. 방승찬 ETRI 원장은 "최근 기술 성공에 대한 명예가 낮아지고 성과에 대한 보상 또한 미흡하다"며 "성과보상에 대한 체계를 보완해 열정적 연구 분위기를 만드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 |
방승찬 ETRI 원장 |
이 같은 성과는 ETRI의 체계적인 기술창업 지원체계 덕분이다. ETRI의 창업·출자 전주기 지원 플랫폼 'CSS'(Challenge-Start-Scale UP)는 창업 도전과 성공의 3가지 요소인 창업도전자, 아이디어·R&D성과, 지원제도를 기반으로 기획 창업과 기업성장을 지원한다. 연구원 내 창업도전 문화를 조성하고 창업아카데미를 통해 예비창업자를 발굴해 창업을 위한 사전기획, 비즈니스 모델 고도화, 외부사업 연계 등 창업 전 주기를 지원함으로써 창업 이후의 안정적인 운영까지 이어지도록 지원한다. CSS 플랫폼 외에도 최근에는 △제4차산업혁명 기반 기술을 접목해 대형·융합성과 창출을 도모하는 '기획 창업' △R&D단계부터 시장 수요-비즈니스모델 수립-창업까지 전주기를 고려하는 '창업일체형 R&D사업' △기술사업화플랫폼, E-케어프로그램, 내·외부 사업 연계를 통한 '법인설립 후 사후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ETRI의 창업 성과에는 기술지주회사 에트리홀딩스㈜의 역할도 컸다. 에트리홀딩스㈜는 ETRI 공공기술 사업화 투자를 목적으로 2010년 5월 ETRI가 100% 출자해 설립된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최초의 기술사업화 전문 투자기관이다.
![]() |
![]() |
ETRI 연구진들이 3D 프린팅 테스트베드 시설에서 제작한 결과물과 업무 논의를 하고 있다. |
ETRI 관계자는 "기술사업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자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R&D 역량뿐만 아니라 시장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적절한 기술사업화 프로그램, 정부 정책방향이 모두 필요하다"며 "기술패권경쟁의 시대,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해나가기 위한 ETRI의 기술사업화 노력에 국민의 관심과 응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이 기사는 ETRI의 지원으로 작성됐습니다.>
![]()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