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27일 대전지방보훈청에 따르면 3·1운동과 항일운동, 임시정부 참여 등 다양한 형태로 나라의 독립을 위해 앞장선 충청지역 독립운동 포상 수여자는 2284명에 달한다. 하지만 이중 독립유공자 527명의 훈·포상은 후손이 확인되지 않아 훈장이 전달되지 못한 채 정부에서 보관 중이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 8명, 충남 350명, 충북 169명의 후손을 찾지못해 정부가 포상한 훈장(건국훈장, 건국포장, 대통령표창 등)을 수여하지 못하고 있다.
생존 독립유공자 수가 점점 줄어들면서 이들을 찾아내기 쉽지 않자 정부는 이들의 후손을 찾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어려운 상황이다.
호적법이 생기기 이전인 1912년에 사망해 그에 대한 호적 부재로 확인이 어렵거나, 유공자의 본적 주소가 제대로 기재돼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혹은 본적지가 확인됐으나 제적 등본이 없거나, 전쟁으로 인해 자료가 소실되고 호적 자체가 북한에 있는 등 여러 이유로 후손을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
독립운동에 헌신한 유공자들이 합당한 예우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 이에 대전지방보훈청은 더 늦기 전에라도 이들의 후손을 찾아 올바른 예우를 하기 위해 올해부터 대대적으로 '독립 유공자 후손 찾기 사업' 진행에 나섰다.
지난해 시범 사업으로 부여군과 협업을 맺고 독립운동을 한 21명의 후손을 찾아 나선 결과 3명의 후손을 찾을 수 있게 돼 충청권 전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대전보훈청은 현재 충남과 충북 지자체와 MOU체결을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보훈청은 지자체와 독립운동 사료 수집 협업 체계를 구성하고 국내외 소장 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 검토해 독립유공자 포상 사각지대를 해소할 계획이다.
강만희 대전지방보훈청장은 "혹시 과거 자료 검토 과정에서 누락된 서류가 없는지 다시 한번 꼼꼼하게 살펴보고 한 분이라도 더 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라며 "현장 조사 등을 통해 나라를 위해 싸워주신 애국지사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꼭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naver.co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