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한국미디어계의 거목 원우현 고려대 명예교수

  • 사람들
  • 뉴스

[인터뷰]한국미디어계의 거목 원우현 고려대 명예교수

오기선장학회 장학금 전달식에서 만나다
한국언론법학회 초대 회장, 한국언론학회 회장, 한국피알협회 회장 등 역임한 원로 언론학자, 몽골 고아 대학생 추천헤 장학금 수여한 김정수 신부에게 감사 인사, 본보와 언론에 대한 인터뷰

  • 승인 2023-02-11 23:17
  • 수정 2023-02-12 06:52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원우현 교수
"오기선 신부님의 22년 간 헌신적인 대전 사역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장학재단에 재정적으로 헌납하신 대전 천주교인들의 인간적 의리와 소외된 자들을 향한 사랑을 느끼며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한국언론법학회 초대 회장과 한국언론학회 회장, 한국피알협회 회장 등을 역임한 한국 미디어계의 거목 원우현 고려대 명예교수(81)가 9일 대흥동성당 오기선장학회 장학금 전달식 미사 후 가진 필자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원우현 명예교수는 “오기선 장학회 수상식을 서울이 아닌 대전 대흥동 성당에서 하는 이유를 몰랐는데 제2대 요셉 장학회 회장이신 김정수 신부님이 집전하시는 대흥동성당 미사에 참석하고서 받은 '거목 오기선 신부'란 소책자를 읽던 중 의문이 풀렸다”고 말했다.

원우현 명예교수는 “오기선 요셉 신부님이 1965년 6월 8일 대방동 성당 주임신부로 이동하시기 전, 해방 전인 1944년부터 22년 간 대전에서 사목을 하시며 헌신적인 업적을 이루셨기 때문인 것이었다”며 “서울로 떠나는 기차 승강장 입구까지 행렬로 가득 메운 신도들의 사진이 모든 걸 설명해 주었다”고 말했다.



원 교수는 “오기선 장학회는 2005년 오기선 신부 선종 15주기에 황인국 대표와 김정수 신부님, 장영식 신부님, 오웅진 신부님 등이 발기했다”며 “그해 대전지부, 2008년엔 천안지회가 설립될 정도로 대전이 그 지역적 배경의 중심에 자리했다”고 설명했다.

1676014511628
원 교수는 또 “오기선 장학회는 천주교 장학재단이지만 대상자의 종교적 배경은 물론 학업능력도 고려하지 않는다”며 “오직 누구도 돌보지 않는 고아이거나 가정을 돌보아야 하는 소년소녀 가장의 경우처럼 세상의 도움을 절대로 필요로 하는 학생들을 위한 장학회”라고 말했다.

원 교수는 “제가 추천한 몽골 출신 국민대학생도 일찍이 몽골에서 부모를 여의고 서울에 와서 4남매를 입양한 몽골 목사님 댁에서 일곱 형제자매와 어려운 살림을 하는 고학생”이라며 “이삿짐 아르바이트를 하는 목사님을 종종 도우면서 몽골 예배를 돕는 신실한 학생”이라고 말했다.

원 교수는 “이번에 김정수 신부님을 통해 오기선 장학회를 알게 되면서 더욱 분명히 깨달은 것이 있다”며 “첫째는 주님은 세상 기준으로는 보잘 것 없고 자격 없는 소인들을 들어 크게 사용하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원 교수는 “그 예를 보면 예수님의 열두 제자 면면에서도 로마 사회의 엘리트는 전혀 없었고 어부 등 작은 자들뿐이었다”며 “성경에 예수님의 혈통을 이루고 왕권을 누렸던 다윗 왕도 양치기 소년이었고, 모세도 이집트 왕자가 아니라 살인자, 도망자의 낙인이 찍힌 후 80세에 부름을 받았다”고 말했다. 또 “사도 바울도 하나님의 교회를 박해했기에 사도라 칭할 수도 없는 작고 형편없는 자라고 고백하고 모든 것이 주님의 은혜임을 간증했다”고 말했다.

1667469273500 (1)
원 교수는 이어 “둘째는 하나님은 고아나 과부의 눈물을 닦아주고 축복의 자리로 이끄신다는 것”이라며 “고난 당한 것이 유익이라는 간증이 성경엔 많다”고 말했다. 원 교수는 “엘가나에게는 두 아내가 있었는데 첩인 브닌나가 자녀를 먼저 얻고 한나는 홀대를 당하며 눈물의 기도를 하는 고난의 기간을 보냈다”며 “한나는 아들을 낳고 젖을 떼자마자 하나님께 바쳤는데 바로 사무엘 선지자였다”고 말했다.

그는 “소자요 고아들인 오늘의 주인공, 다섯 명의 오기선 장학생들의 장래에 하나님이 어떻게 역사하실 것인지 기대가 된다”며 “그들을 위해 기도한다”고 말했다.

원 교수는 “ 김정수 요셉 장학회 회장님은 아무런 조건 없이 저의 다문화가족 한국어말하기 대회 칼럼을 보시고 인자하고 긍휼한 손을 먼저 내미셨다”며 “강도 만나 쓰러져 있는 자를 돕는 마음으로 '고아이면 충분하다'는 하늘 아버지의 어버이 마음을 손수 실천하셨다”고 고마워했다.

temp_1675993015817.2026991437
김정수 신부와 원우현 교수.
그는 “몽골에서 고아로, 소외자로 지내온 상담 참츠 학생을 위해 일생 동안 중보하고 보살피던 주님을 믿는 가나 목사님의 오랜 간구에 응답하신 주님께 경배와 찬양을 드린다”고 말했다.

원 교수는 “13일 월요일부터 국민일보 인터넷판에 ‘원우현 선교사역장로의 <나의 삶 나의 인생> 칼럼을 연재하게 됐다”며 “중도일보 독자님들께서도 일독해주시면 감사하겠다”고 말했다.

원 교수는 이날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인 ChatGPT에 대한 견해도 밝혔다.

원 교수는 “사용자와 주고받는 대화에서 질문에 답하도록 설계된 언어모델인 ChatGPT가 우리 의식에 태풍을 일으키고 있다”며 “우리의 모든 사회적 소통과 의식구조가 큰 영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R658x0
원 교수는 “언론의 소비자인 독자나 시청자가 뭘 원했을 때 모든 세계적인 정보를 다 수집해주는 Chat GPT는 언론인이 기사 쓰고 신문 편집할 때 독자들이 원하는 부분에 대해 가급적 많이 수렴하고 이슈화해준다”며 “쟁점에 대해 사회적인 노력을 하고 있는지 생각해봐야 된다”고 말했다.

원 교수는 또 “Chat GPT는 최대한 정보를 수집한 뒤 모르는 것은 잘 모른다고 대답하는데 기자는 모른다고 안 하고 가짜뉴스를 막 써내려가면서 대단한 것처럼 호도하는 경우를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원 교수는 “기독교적으로 풀이하면 현재의 우리 언론계와 사회는 사탄의 역사가 창궐하고 있다”며 “언론이 획기적으로 바뀌어야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시대에는 팬덤이 창조되어 열광적인 사람들이 Chat GPT와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디지털 기술을 휩쓸고 있다”고 말했다.

2021102617490680881_1635238146_0924215082
철우언론법상을 제정해 21년째 시상해온 원 교수는 “천리가 지배하는 우주라는 뜻을 지닌 ‘철우’는 사랑의 법이 지배하는 우주이고 하나님의 에덴동산”이라며 “사랑이 지배하는 언론법, 사랑의법이 지배하는 세계를 꿈꾸며 철우언론법상을 시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 교수는 “철우언론법상은 대법원 판례나 헌법재판 판례 중 언론재판에 기여한 판례를 선정해 매년 시상하는데 사법부 판례와 언론의 자유를 위해 국내 언론에 기여한 언론법학자와 법조인에게 수여하고 있다”며 “ 그해 가장 우수한 논문이나 저술을 한 언론법학자와 현역판사에게 수여하는 이 상은 판례로서는 유일한 상”이라고 말했다. 원 교수는 또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이승선 교수님도 대표적인 철우언론법상 수상자”라고 말했다.

원 교수는 “사랑의 법이 지배하는 철우언론법상의 가치를 알아주시면 감사하겠다”고 전했다.

restmb_allidxmake
원 교수는 게이트키핑 프로세스에 대해 이야기하며 “저널리즘의 기본 원리가 바뀌어가고 있는 풍토속에서 공정성과 객관성, 비판기능이 살아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 교수는 또 “제 어머님 황숙희 삼천교회 권사님이 89세부터 98세까지 류머티스 통증속에서도 성경을 읽으시며 쓰신 책 <남는 건 사랑 뿐일세>가 5쇄를 찍으며 파퓰러셀러가 됐다”며 “어머님은 이 책을 쓰시고 그 이듬해인 99세에 돌아가셨다”고 말했다.

원 교수는 “가장 지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며 “지역적 특성을 살린 엑기스 기사로서의 자긍심을 갖고 지역저널리즘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해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원 교수는 “지금 현재 주어진 작은 것이 겨자씨 하나의 사랑을 떠올리는 감사함을 가져다준다”며 “고아들을 돕는 일을 충실히 하면서 전도와 선교 사역을 잘 감당해나가고 이 사회의 작은 씨알과 밀알이 되고 싶다”고 밝혔다.

1381195423281
201603311728538729_1
한편 원우현 명예교수는 1942년 생으로 서울대 법대 졸업 후 미국 보스턴대에서 언론학 석박사를 받았다. 경희대 신문방송학과 조교수,하버드대 옌칭연구소 방문교수, 고려대 언론대학원장, 한국언론학회 회장,한국언론법학회 회장,한국사회과학협의회 회장,한국 하버드대 옌칭학회 회장,방송위원회 상임 부원장, 한국피알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몽골 Mongolia International University 부총장을 역임했고, 온누리교회 사역장로이다.

주요 저서로 『유언비어론』,『매스미디어와 문화발전』, 『여론선전론』,『한국미디어문화비평』,『현대미디어이론』, 『여론홍보론』,『인터넷커뮤니케이션』 등이 있고, 역서로 <자유언론의 테크놀로지>, <경영커뮤니케이션>,<설득커뮤니케이션> 등이 있다.

영어저서로는 Music at the Margins ( Sage) The Mass Media Climate in Korea ( Korean SICo.2007),Public Relations Strategy: Korean Case Studies (CommunicationBooks 2012 ),Public Relations Case Studies in Korea (CommunicationBooks 2022 December) 등이 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도시철도 2호선 트램 8개 잔여공구 발주 요청… 건설업계 '예의주시'
  2. 세종시 '바로타', 행복도시권 대중교통 편익 극대화
  3. 세종시 '희망2025나눔캠페인' 반전의 역사 쓰고 마무리
  4. '올해가 마지막' 지역대 글로컬대학30 향해 막판 스퍼트
  5. [사설] 지자체 재난관리기금이 의료공백 ‘쌈짓돈’인가
  1. [2025 대전서부교육청] 박세권 교육장 "직원들 힘 합쳐야 일선 학교에 효과'"
  2. [사설] 지역 수출기업 '관세전쟁' 파고 대비를
  3. 점조직 중고거래 사기 활개 쳐 대전도 피해 급증…예방법은?
  4. [2025 대전서부교육청] 인성과 학력, 균형 잡힌 교육으로 미래 준비
  5. 충남도, 올해 첫 추경으로 소상공인 현물 지원 575억 반영 요구

헤드라인 뉴스


대전 `한강 효과` 손 놨나…제2 계룡문고 사태 우려

대전 '한강 효과' 손 놨나…제2 계룡문고 사태 우려

대전시가 올해 지역 서점 활성화를 위한 지원 예산을 대폭 삭감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는 최근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에 따른 독서 문화 확산 등 이른바 '한강 효과'가 커지는 데 찬물을 끼얹는 처사라는 지적이다. 뿐만 아니라 일각에선 이번 행정당국의 예산 삭감으로 지난해 경영난으로 폐업한 계룡문고와 유사한 사례가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3일 대전시와 5개 구에 따르면, 올해 시는 지역서점 관련 지원으로 지역서점위원회 운영만을 계획하고 있으며 해당 위원회의 운영비는 210만 원에 불과하다. 지난해에는 약 1억..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7. 대전 유성구 봉명동 일대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7. 대전 유성구 봉명동 일대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지방 미분양 급증…비수도권 ‘DSR 한시 완화’ 등장할까
지방 미분양 급증…비수도권 ‘DSR 한시 완화’ 등장할까

지방을 중심으로 악성 미분양 사태가 급증하면서 비수도권에 대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한시 완화 시행 여부가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여당은 DSR 한시 완화를 통해 비수도권 미분양 주택 구입을 촉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금융당국은 최대한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5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만 173세대로 집계됐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 6997세대로 전월보다 17.3%(2503세대) 늘었고, 지방은 5만 3176..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새 출발을 응원합니다’…대전보건대학교 학위수여식 ‘새 출발을 응원합니다’…대전보건대학교 학위수여식

  •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용신제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용신제

  • 한파에 춥지 않도록 한파에 춥지 않도록

  • 봄철 산불예방 ‘이상무’ 봄철 산불예방 ‘이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