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8일 기초과학연구원(IBS)에 따르면 수리및계산과학연구단 데이터사이언스그룹 차미영 CI(Chief Investigator·KAIST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은 이화여대 차지영 교수팀·(주)심심이와 펜데믹 상황에서의 AI 챗봇의 역할을 규명했다.
챗봇은 대화 형식으로 필요한 정보를 알려주는 디지털 플랫폼으로 연구진은 국내 기업이 개발한 '심심이'의 대화 데이터를 분석했다. 심심이는 2002년 출시돼 현재는 81개 국가에서 서비스 중이다.
연구진은 2020년과 2021년 심심이를 가장 많이 사용한 미국·영국·캐나다·말레이시아·필리핀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코로나19 관련 대화 1만 9752건을 살폈다. 주제를 추려내는 기계학습법인 '토픽 모델링'과 감정 분석을 위한 '자연어처리기법'(NLP)을 적용해 주요 대화 테마 5개와 주제 18개를 찾아냈다.
![]() |
사용자들은 심심이를 통해 감정을 털어놨다. '마스크', '봉쇄', '감염 우려' 등 주제에 대해선 부정적 감정을 보였다. 심심이와의 잡담을 통해 챗봇에서 "조심해", "건강해" 등 인사를 나누기도 했다.
연구를 통해 미국 사용자가 아시아 사용자보다 코로나19에 대한 대화에서 부정적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1저자인 진효진 IBS 선임연구원은 "국민비서 '구삐'처럼 코로나19 펜데믹 때 활약한 챗봇들은 대부분 사용자의 질문에 가장 적절한 대답을 제시하는 목적지향 대화 시스템"이라며 "향후 여기에 사용자와 잡담을 나누는 소셜 챗봇의 기능까지 보강한다면 24시간 정보 전달과 정서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차미영 CI는 "코로나19 펜데믹 동안 대중의 SNS 이용과 역할을 분석한 연구는 많았지만 챗봇을 주제로 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막연하게 효과적일 것으로 추측한 챗봇이 재난 상황에서 정보 전달과 사용자들의 심리적 도우미로서 유의미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규명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